목차
1. 현대의 서양문화 들어가기
2. 권력과 진리의 문제 – 니체의 관점
1) 니체 철학의 근본 개념 <권력에의 의지>
2) 니체가 바라보는 권력과 진리의 문제
3. 권력과 진리의 문제 – 푸코의 관점
1) 푸코의 <판옵티콘>
2) 푸코가 바라보는 권력과 진리의 문제
4.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니체와 푸코의 유사점
5. 결론
참고문헌
2. 권력과 진리의 문제 – 니체의 관점
1) 니체 철학의 근본 개념 <권력에의 의지>
2) 니체가 바라보는 권력과 진리의 문제
3. 권력과 진리의 문제 – 푸코의 관점
1) 푸코의 <판옵티콘>
2) 푸코가 바라보는 권력과 진리의 문제
4.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니체와 푸코의 유사점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가 최고 가치를 향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지배관계가 형성되고 결국 권력이 탄생된다고 보고 있다. 즉, 그들은 모두 힘의 구조에 의해서 차이가 발생하고 계급의 구분짓기가 형성된다고 보았던 것이다. 힘을 가진 지배를 하는 자와 힘이 없는 지배를 받는자의 구분짓기가 결국 권력의 탄생인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권력을 향해 나아가는 다양한 개인적 가치나 판단 등이 비도덕적일지라도 모두 정당화되어 간다는 것이다.
5. 결 론
이번 과제를 작성하면서 유독 관심이 있었던 주제는 바로 푸코가 제시한 감시라는 용어였다. 사회의 질서 유지의 측면에서 감시 체제는 어느 정도 존재 가능성이 있다. 만약 권력에 의한 감시체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아마도 우리는 모든 범죄에 고스란히 노출되고 말 것이다. 하지만 개인의 모든 정보가 사회에 노출되어 모든 생활을 감시당하는 체제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면을 내포하고 있다. 현대인들은 무료로 제공해주는 작은 보상에 자신의 정보를 거리낌 없이 내어주고, 어떠한 보상 없이도 자신의 정보를 인터넷 상에 거리낌 없이 내어주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자신의 정보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얼마나 오랫동안 노출될 것인지에 대해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카드사용 내역이나 통화기록 만으로도 자신의 일상생활의 동선이 사회에 노출되고, 거리의 CCTV나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블랙박스 등으로 인해서 온갖 감시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 현대인들에게 이러한 자율적인 감시체제가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것 같다.
권력이란 인간과 함께 존재하는 일종의 구조라고 생각이 된다. 인간은 공동체를 이루기 때문에 결국은 하나의 사회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그 속에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힘은 모든 인간에게 동등하게 부여될 수 없기 때문에 힘에 의한 계급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니체나 푸코는 이러한 힘의 불균형으로 인한 권력의 탄생이라는 점에서 권력을 바라보고 있다. 권력 구조의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권력으로 이득을 볼 수도 있고, 권력에 의해서 피해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권력이라는 구조는 인간과 떼어낼 수 없는 구조임을 니체나 푸코가 역설하고 있는 듯 하다.
* 참고문헌
김정락, 김태우, 민유기, 박구병, 박준규, 백영경, 손화철, 여국현, 이용철, 이태주, 이희수, 장일 지음 <현대의서양문화>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오생근 역, 나남, 2011
강용수 <니체의 권력의지와 정의> 철학과 문화 Vol.24 No.-, 2012
박홍기 <철학방법론으로서의 '계보학' 연구> 계명대학교 2004 국내박사
서창훈 <하버마스와 푸코 읽기 : 판옵티콘의 교훈 - 푸코 권력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위하여> 한국정치연구회 정치비평 Volume 2 1997 pp:384-398 P.388
송영선 <해석으로서 "권력에의 의지">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양해림 <연구논문 : 니체의 권력이론> 동서철학연구, Vol.76 No.-, 2015
5. 결 론
이번 과제를 작성하면서 유독 관심이 있었던 주제는 바로 푸코가 제시한 감시라는 용어였다. 사회의 질서 유지의 측면에서 감시 체제는 어느 정도 존재 가능성이 있다. 만약 권력에 의한 감시체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아마도 우리는 모든 범죄에 고스란히 노출되고 말 것이다. 하지만 개인의 모든 정보가 사회에 노출되어 모든 생활을 감시당하는 체제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면을 내포하고 있다. 현대인들은 무료로 제공해주는 작은 보상에 자신의 정보를 거리낌 없이 내어주고, 어떠한 보상 없이도 자신의 정보를 인터넷 상에 거리낌 없이 내어주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자신의 정보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얼마나 오랫동안 노출될 것인지에 대해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카드사용 내역이나 통화기록 만으로도 자신의 일상생활의 동선이 사회에 노출되고, 거리의 CCTV나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블랙박스 등으로 인해서 온갖 감시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 현대인들에게 이러한 자율적인 감시체제가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것 같다.
권력이란 인간과 함께 존재하는 일종의 구조라고 생각이 된다. 인간은 공동체를 이루기 때문에 결국은 하나의 사회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그 속에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힘은 모든 인간에게 동등하게 부여될 수 없기 때문에 힘에 의한 계급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니체나 푸코는 이러한 힘의 불균형으로 인한 권력의 탄생이라는 점에서 권력을 바라보고 있다. 권력 구조의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권력으로 이득을 볼 수도 있고, 권력에 의해서 피해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권력이라는 구조는 인간과 떼어낼 수 없는 구조임을 니체나 푸코가 역설하고 있는 듯 하다.
* 참고문헌
김정락, 김태우, 민유기, 박구병, 박준규, 백영경, 손화철, 여국현, 이용철, 이태주, 이희수, 장일 지음 <현대의서양문화>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오생근 역, 나남, 2011
강용수 <니체의 권력의지와 정의> 철학과 문화 Vol.24 No.-, 2012
박홍기 <철학방법론으로서의 '계보학' 연구> 계명대학교 2004 국내박사
서창훈 <하버마스와 푸코 읽기 : 판옵티콘의 교훈 - 푸코 권력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위하여> 한국정치연구회 정치비평 Volume 2 1997 pp:384-398 P.388
송영선 <해석으로서 "권력에의 의지">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양해림 <연구논문 : 니체의 권력이론> 동서철학연구, Vol.76 No.-, 2015
키워드
추천자료
동양과 서양문화의 차이점
[서양현대사]유럽 패션의 역사 - 18-19c 프랑스를 중심으로
[서양문화유산] 불을 찾아서
[술][음주][술문화][음주문화][동서양술문화(음주문화][술주정][숙취]술(음주) 유래, 술(음주...
[서양문화의이해]독일의 음식문화에 대하여(A+리포트)
수원대학교 서양문화사의이해 필기내용
우리나라 서양음식문화의 변천사
스페인,이탈리아,포루트갈,그리스음식문화,세계의음식문화,서양음식과문화,치즈,방문화
2013년 2학기 서양복식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서양복식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서양복식문화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영화와 서양문화] 역사적 시학 - 인셉션을 통하여 (역사적 시학, 역사적 시학을 통한 분석)....
2015년 2학기 서양복식문화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서양복식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