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한국의 정치민주주의와 정치 공고화 과정
2.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과정에서의 시민사회의 역할
(1) 6월 항쟁(1987체제)이전까지의 시민사회 특징
(2) 6월 민주화 운동과 시민사회단체의 등장
(3) 87년 체제와 시민사회의 역할
(4) 문민정부와 시민사회의 성장
(5)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와 시민사회의 발전
(6) 이명박 정부와 시민사회
3.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과정에서의 시민사회의 한계
4. 결론
2.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과정에서의 시민사회의 역할
(1) 6월 항쟁(1987체제)이전까지의 시민사회 특징
(2) 6월 민주화 운동과 시민사회단체의 등장
(3) 87년 체제와 시민사회의 역할
(4) 문민정부와 시민사회의 성장
(5)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와 시민사회의 발전
(6) 이명박 정부와 시민사회
3.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과정에서의 시민사회의 한계
4. 결론
본문내용
1.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과정의 특징
1. 위로부터의 보수적 민주화
- 보수적, 제한적, 점진적 민주화
2. 민중배제적 민주화
- 6.29 타협: “최소한의 절차적 민주주의 회복이라는 양보” 대신에 권위주의
권력담당자들이 현직의 이점을 유지한 채 선거경쟁에 임할 수 있도록
보장
1987년 한국사회는 국가의 억압이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자유민주주의적 기본권이 신장
BUT
위로부터의 민중 배제적 민주화라는 유형적 경로에 내장되어있는 내재적 한계 때문에
사회경제적 민주주의는 물론이고 정치적 민주주의조차 아직까지 제약을 받고 있음
(1) 6월 항쟁(1987체제)이전까지의 시민사회 특징
1970년대 : 시민사회 영역 성장, 팽창 억압
1980년대 : 민중부문, 지식인 ․ 학생 집단 조직 역량 신장
국가 반공, 경제발전 등의 이유로 시민권 탄압
VS
시민사회 국가권력의 부정부패, 비민주성에 대해 저항
시민운동의 주된 대상은 국가, 주된 목표는 정치체제의 민주화
(2) 6월 민주화운동과 시민사회단체의 등장
(3) 87년 체제와 시민사회의 역할
87년 체제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의 진전으로 특징 지워지는 1987년 이후의 시기
시민사회의 역할
① 국가의 억압적 지배를 약화
② 단기간에 사회 여러 영역에서의 민주화를 실질화
87년 체제 하의 시민사회의 참여정치의 특징
① 시민운동은 그 방식에 있어 여론 형성에 주력하는 영향력의 정치를 보여줌
② 시민사회의 참여정치는 국가 담론에 밀접히 상관적인 운동의 모습을 보여줌
③ 87년 체제 하의 시민운동은 그 운동 형태에 있어 시민적 대리기능을 수행하
는 준 정당적 모습을 보여줌
1. 위로부터의 보수적 민주화
- 보수적, 제한적, 점진적 민주화
2. 민중배제적 민주화
- 6.29 타협: “최소한의 절차적 민주주의 회복이라는 양보” 대신에 권위주의
권력담당자들이 현직의 이점을 유지한 채 선거경쟁에 임할 수 있도록
보장
1987년 한국사회는 국가의 억압이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자유민주주의적 기본권이 신장
BUT
위로부터의 민중 배제적 민주화라는 유형적 경로에 내장되어있는 내재적 한계 때문에
사회경제적 민주주의는 물론이고 정치적 민주주의조차 아직까지 제약을 받고 있음
(1) 6월 항쟁(1987체제)이전까지의 시민사회 특징
1970년대 : 시민사회 영역 성장, 팽창 억압
1980년대 : 민중부문, 지식인 ․ 학생 집단 조직 역량 신장
국가 반공, 경제발전 등의 이유로 시민권 탄압
VS
시민사회 국가권력의 부정부패, 비민주성에 대해 저항
시민운동의 주된 대상은 국가, 주된 목표는 정치체제의 민주화
(2) 6월 민주화운동과 시민사회단체의 등장
(3) 87년 체제와 시민사회의 역할
87년 체제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의 진전으로 특징 지워지는 1987년 이후의 시기
시민사회의 역할
① 국가의 억압적 지배를 약화
② 단기간에 사회 여러 영역에서의 민주화를 실질화
87년 체제 하의 시민사회의 참여정치의 특징
① 시민운동은 그 방식에 있어 여론 형성에 주력하는 영향력의 정치를 보여줌
② 시민사회의 참여정치는 국가 담론에 밀접히 상관적인 운동의 모습을 보여줌
③ 87년 체제 하의 시민운동은 그 운동 형태에 있어 시민적 대리기능을 수행하
는 준 정당적 모습을 보여줌
키워드
추천자료
《 데모크라시와 시민사회는 공생할 수 있는가? 》
국가와 시민사회
한국민주주의 현황과 문제점
행정학의 의미, 행정학과 시민사회, 행정학의 쟁점, 행정학의 개선방안, 행정학의 비전과 시...
시민사회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마음가짐, 현대사회과학, 시민사회언론보도, 동성애자, 노인]현대사회과학에 대한 마음가짐,...
[독일, 독일 시민문화, 독일 시민교육, 독일 시민사회단체, 시민운동, 시민참여, 시민미디어]...
[시민][시민단체][비정부기구][NGO][시민문화][시민채널][시민사회][시민교육][시민정치][시...
[시민연대][시민][연대][시민연대 역할][시민연대 문화연대][시민연대 총선시민연대][시민연...
[정치사회적 태도][정치][사회][태도][종교]정치사회적 태도와 시민사회변화, 정치사회적 태...
[시민][시민정보문화][시민사회][시민운동][시민단체][NGO][비정부기구][시민행동][시민방송]...
시민사회단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