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도의 정의
2. 개념도 작성의 효과
3. 개념도 작성을 위한 학습과제 분석
4. 개념도 작성 단계
5. 개념도 점수 산정
2. 개념도 작성의 효과
3. 개념도 작성을 위한 학습과제 분석
4. 개념도 작성 단계
5. 개념도 점수 산정
본문내용
추출한 개념 간의 위계를 배열하고 이와 관련되어 연결선을 추가한다. 그리고 이렇게 추가한 연결선에 알맞은 연결어를 표기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후 수정 및 보완하는 방식으로 개념도를 작성하게 된다. 여기서 연결선이란 개념과 개념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나타내기 위해 연결한 선을 의미하며 보통 개념 간의 위계를 나타낼 때 직선의 형태로 연결한다. 반면, 교차연결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곡선의 형태로 연결선을 긋는다. 교차연결이란 다른 개념 사이의 관계를 명시하기 위해 그은 선으로 교차연결은 다른 위계의 개념 사이의 연결을 찾아 적절한 연결어를 넣어야 하기 때문에 통합적인 이해가 필요하며 창의적인 사고를 요구한다. 고로 개념도를 통한 채점이 이루어질 때 교차연결은 가장 높은 배점을 배정 받게 된다.
5. 개념도 점수 산정
개념도 작성에 대한 점수를 선정할 때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서술하는 연결어가 타당하면 2점, 위계관계가 타당하면 5점, 교차연결이 타당하고 유의미하면 10점, 교차연결이 타당하지만 통합이 미흡한 경우는 5점을 받게 된다. 또한, 실례가 타당하면 2점을 받게 된다. 개념도를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는 경우, 점수 계산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5. 개념도 점수 산정
개념도 작성에 대한 점수를 선정할 때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서술하는 연결어가 타당하면 2점, 위계관계가 타당하면 5점, 교차연결이 타당하고 유의미하면 10점, 교차연결이 타당하지만 통합이 미흡한 경우는 5점을 받게 된다. 또한, 실례가 타당하면 2점을 받게 된다. 개념도를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는 경우, 점수 계산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추천자료
[교실수업개선,장학활동,놀이활동]교실수업개선의 정의, 교실수업개선의 조건, 교실수업개선...
[영재교육][수학영재][과학영재]영재의 개념, 영재의 특징과 영재교육의 고려사항, 영재교육...
국어과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목적, 분류, 필요성, 국어과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지도중점과 지도내용,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와 지도교사, ...
체육과(체육교육)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과 구성체제,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의 교수학...
공업계 고등학교(공고) 직업교육 개념, 목적, 원리, 공업계 고등학교(공고) 직업교육 진로결...
영어말하기지도(영어말하기교육) 특징, 영어말하기지도(영어말하기교육) 원칙과 내용, 영어말...
국어과(국어과교육)의 의미, 국어과(국어과교육)의 성격, 국어과(국어과교육)의 변화, 국어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정의와 특징,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과 운영 방향, ...
통일교육의 개념, 통일교육의 변천과정, 통일교육의 중요성, 통일교육과 청소년단체, 통일교...
에너지절약교육(에너지교육)의 중요성과 실태, 에너지절약교육(에너지교육)의 내용과 환경조...
[환경교육][환경교육의 외국 사례]환경교육의 특징, 환경교육의 목적, 환경교육의 중요성, 환...
E-learning(이러닝)의 개념, E-learning(이러닝)의 필요성, E-learning(이러닝)의 역할, E-le...
[인성교육][인성지도][인성]인성교육의 개념, 인성교육의 목적, 인성교육의 일반원리, 인성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