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간부터 다시 기록을 시작한 셈이다. 기록을 남겨야 된다는 사명감이었는지, 자신과의 약속이었는지 정확히는 알지 못한다.
역사학자 E. H. 카는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했다. 기록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가장 훌륭한 도구이다. 난중일기 기록 덕분에 임진왜란 같은 혼란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우린 반성하며 발전하고 있는 게 아닐까.
역사학자 E. H. 카는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했다. 기록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가장 훌륭한 도구이다. 난중일기 기록 덕분에 임진왜란 같은 혼란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우린 반성하며 발전하고 있는 게 아닐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