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허혈성 심장 질환의 종류
2. 심근경색증
1) 경색과정
2) 경색에 대한 생리적 반응
3) 위치에 따른 심근경색의 분류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5. 합병증
6. 치료와 간호
III. 결론
Ⅳ. 참고문헌
Ⅴ. 의학용어
II. 본론
1. 허혈성 심장 질환의 종류
2. 심근경색증
1) 경색과정
2) 경색에 대한 생리적 반응
3) 위치에 따른 심근경색의 분류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5. 합병증
6. 치료와 간호
III. 결론
Ⅳ. 참고문헌
Ⅴ. 의학용어
본문내용
k)
- 좌심실의 40% 이상 괴사가 일어났을 때 산소와 영양이 조직에 불충분하게 공급되어 일어남
- 사망률은 65~100%
- 증상 : 빈맥, 저혈압, 소변량 시간당 30mL이하, 차고 축축한 피부, 약한 말초 맥박, 불안, 혼돈, 폐울혈, 빈호흡, 지속적인 흉부 불편감 등
- 부정맥 치료, IABP(intraaortic balloon pump) 치료, 약물 요법이 필요
- 산소 공급을 최대화해 심근손상을 감소시키고 급성 신부전의 합병증을 예방
유두근 기능부전
(Papillary muscle dysfunction)
- 수축기 잡음으로 발견되는데 승모판막 역류를 초래하여 좌심실 기능을 악화
- 유두근이 파열되면 무호흡, 폐수종, 심박출량 감소 등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초래
- 치료 : nitroprusside 투여, 대동맥내풍선펌프(IABP) → 과부하를 급속히 감소, 개심술로 판막성형술 시행
심실성 동맥류
(Ventricular aneurysm)
- 허혈 상태의 심근 벽이 심장수축 시에 얇아지고 팽창해서 발생
- 난치성 심부전, 부정맥, 협심증 뿐만 아니라 혈전을 만들어 색전성 뇌졸중을 일으킴
심외막염(Pericarditis)
- 심외막의 염증으로 심장 수축력이 저하되어 심부전증을 일으킬 수 있음
- 급성 심근경색 후 2~3일 안에 발생
- 통증 : 경한 흉통부터 심한 흉통까지 다양한 증상, 흡기·기침·상체의 움직임이 있을 때 약화됨
- 심막부위에서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인 마찰음과 발열 현상
- EKG로 진단, aspirin이나 corticosteroids, NSAIDs로 통증을 경감
드레슬러 증후군
(Dressler syndrome)
- 심근경색 4~6주 후 발열 현상과 삼출물을 동반한 심외막염
- 개심술 후 발생하거나 괴사된 심근에 항원-항체 반응으로 생김
- 심장의 통증, 발열, 마찰음, 늑막삼출물, 관절통 등을 경험
- 백혈구와 적혈구 침강 속도(ESR) 상승
- 치료로 Corticosteroids을 단기간 사용
6. 치료와 간호
<간호 문제>
<간호 진단>
- 부정맥 위험성
- 심부전 위험성
- 증상의 재발과 광범위한 손상의 위험성
- 급성 신부전의 위험성
- 심근의 혈류 부족과 관련된 흉통
- 동맥혈 흐름의 방해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조직관류
- 산소 공급과 요구 간의 불균형에 따른 피로와 관련된 활동 장애
- 생활 패턴의 변화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대처
- 질환, 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성생활
- 움직임에 대한 공포 및 통증과 관련된 신체활동 제한
1) 통증 조절
목적 : 심근 산소 요구도를 감소, 심근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켜 통증을 경감
(1) 통증 사정
: 흉통은 바로 완화해야 함
- 환자가 표현하는 흉통 양상을 확인
-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산소를 공급
- 처방에 따른 통증 완화 약물이나 아스피린을 투약
- 필요시 12유도의 심전도를 촬영
- 처방된 산소요법을 제공
- 통증이 완화되지 않고 환자의 활력징후가 안정적이면 처방된 약물을 재투약, 5분마다 사정
- 활력징후가 나빠지거나 3회 니트로글리세린(NTG) 투여 후에도 통증이 완화되지 않으면 의사에게 보고
(2) 약물 요법
: 통증을 완화하면 심근의 산소공급이 증가, 산소 요구도가 감소
nitroglycerin, morphine, 산소, 구강 아스피린 325mg 등을 투여함
Nitroglycerin, NTG
- 관상동맥을 확장시킴
- 혀 밑으로 녹여서 흡수되도록 하고, 필요하다면 5mL의 물을 마셔 약이 녹도록 함
- NTG 분무도 유용하며 더 빠르게 흡수됨
- 통증은 1~2분 후에 완화되기 시작하며 3~5분이 지나면 사라지며 5분 후에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통증의 강도를 사정
- 3정을 사용한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면 심근경색 가능성이 높음 → 즉각적으로 의사에게 알리고 중환자실로 옮겨 중재
- NTG량은 통증이 감소될 때 까지, 혈압이 과도하게 떨어질 때, 처방된 최대한의 약물 용량에 도달했을 때 까지 증가시킴
- NTG의 부작용으로 두통을 호소하면 Acetaminophen을 처방
Morphine sulfate
- 흉통이 NTG로 완화되지 않을 때 처방
- 심근경색 통증을 완화, 심근 산소 요구도를 감소시키며 평활근을 이완하고 순환 카테콜아민을 감소
- 최고량에 도달할 때까지 5~10분 간격으로 2~10mg을 정맥 주입
- 부작용 : 호흡 감소, 저혈압, 서맥, 심한 구토
(3) 기타 통증 관리
- 산소를 2~4L/분의 속도로 비강 캐뉼러를 통해 공급하고 동맥 산소포화도(SaO2)가 95% 이상이 되도록 유지
- semi Fowler's 자세나 편한 자세를 취해주고 심호흡 하게 함
- 조용한 환경과 간호에 대한 설명으로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통증을 경감시킴
III. 결론
우리는 이번 과제를 통하여 심근경색증의 원인, 검사, 치료, 합병증에 대해 알게 되었다.
위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000님에게 나타날 수 있는 간호문제를 사정하여 진단하고 처방에 따라 NTG, Morphine sulfate등을 사용한 약물요법과 산소공급, 체위변경, 편안한 주변 환경 조성 등 간호중재를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p.723~ pp731
Ⅴ. 의학용어
의학용어
뜻
의학용어
뜻
coronary artery
관상동맥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
angina pectoris
협심증
Atrioventricular node
방실결절
sinoatrial node
동방결절
arrhythmia
부정맥
radiating pain
방사통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심실조기수축
denial
부정
Myocardial perfusion imagine
심근관류영상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촬영술
Heart Failure
심부전
Papillary muscle dysfunction
유두근 기능부전
Cardiogenic shock
심인성 쇼크
Ventricular aneurysm
심실성 동맥류
Pericarditis
심외막염
intraaortic balloon pump
대동맥내풍선펌프
- 좌심실의 40% 이상 괴사가 일어났을 때 산소와 영양이 조직에 불충분하게 공급되어 일어남
- 사망률은 65~100%
- 증상 : 빈맥, 저혈압, 소변량 시간당 30mL이하, 차고 축축한 피부, 약한 말초 맥박, 불안, 혼돈, 폐울혈, 빈호흡, 지속적인 흉부 불편감 등
- 부정맥 치료, IABP(intraaortic balloon pump) 치료, 약물 요법이 필요
- 산소 공급을 최대화해 심근손상을 감소시키고 급성 신부전의 합병증을 예방
유두근 기능부전
(Papillary muscle dysfunction)
- 수축기 잡음으로 발견되는데 승모판막 역류를 초래하여 좌심실 기능을 악화
- 유두근이 파열되면 무호흡, 폐수종, 심박출량 감소 등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초래
- 치료 : nitroprusside 투여, 대동맥내풍선펌프(IABP) → 과부하를 급속히 감소, 개심술로 판막성형술 시행
심실성 동맥류
(Ventricular aneurysm)
- 허혈 상태의 심근 벽이 심장수축 시에 얇아지고 팽창해서 발생
- 난치성 심부전, 부정맥, 협심증 뿐만 아니라 혈전을 만들어 색전성 뇌졸중을 일으킴
심외막염(Pericarditis)
- 심외막의 염증으로 심장 수축력이 저하되어 심부전증을 일으킬 수 있음
- 급성 심근경색 후 2~3일 안에 발생
- 통증 : 경한 흉통부터 심한 흉통까지 다양한 증상, 흡기·기침·상체의 움직임이 있을 때 약화됨
- 심막부위에서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인 마찰음과 발열 현상
- EKG로 진단, aspirin이나 corticosteroids, NSAIDs로 통증을 경감
드레슬러 증후군
(Dressler syndrome)
- 심근경색 4~6주 후 발열 현상과 삼출물을 동반한 심외막염
- 개심술 후 발생하거나 괴사된 심근에 항원-항체 반응으로 생김
- 심장의 통증, 발열, 마찰음, 늑막삼출물, 관절통 등을 경험
- 백혈구와 적혈구 침강 속도(ESR) 상승
- 치료로 Corticosteroids을 단기간 사용
6. 치료와 간호
<간호 문제>
<간호 진단>
- 부정맥 위험성
- 심부전 위험성
- 증상의 재발과 광범위한 손상의 위험성
- 급성 신부전의 위험성
- 심근의 혈류 부족과 관련된 흉통
- 동맥혈 흐름의 방해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조직관류
- 산소 공급과 요구 간의 불균형에 따른 피로와 관련된 활동 장애
- 생활 패턴의 변화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대처
- 질환, 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성생활
- 움직임에 대한 공포 및 통증과 관련된 신체활동 제한
1) 통증 조절
목적 : 심근 산소 요구도를 감소, 심근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켜 통증을 경감
(1) 통증 사정
: 흉통은 바로 완화해야 함
- 환자가 표현하는 흉통 양상을 확인
-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산소를 공급
- 처방에 따른 통증 완화 약물이나 아스피린을 투약
- 필요시 12유도의 심전도를 촬영
- 처방된 산소요법을 제공
- 통증이 완화되지 않고 환자의 활력징후가 안정적이면 처방된 약물을 재투약, 5분마다 사정
- 활력징후가 나빠지거나 3회 니트로글리세린(NTG) 투여 후에도 통증이 완화되지 않으면 의사에게 보고
(2) 약물 요법
: 통증을 완화하면 심근의 산소공급이 증가, 산소 요구도가 감소
nitroglycerin, morphine, 산소, 구강 아스피린 325mg 등을 투여함
Nitroglycerin, NTG
- 관상동맥을 확장시킴
- 혀 밑으로 녹여서 흡수되도록 하고, 필요하다면 5mL의 물을 마셔 약이 녹도록 함
- NTG 분무도 유용하며 더 빠르게 흡수됨
- 통증은 1~2분 후에 완화되기 시작하며 3~5분이 지나면 사라지며 5분 후에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통증의 강도를 사정
- 3정을 사용한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면 심근경색 가능성이 높음 → 즉각적으로 의사에게 알리고 중환자실로 옮겨 중재
- NTG량은 통증이 감소될 때 까지, 혈압이 과도하게 떨어질 때, 처방된 최대한의 약물 용량에 도달했을 때 까지 증가시킴
- NTG의 부작용으로 두통을 호소하면 Acetaminophen을 처방
Morphine sulfate
- 흉통이 NTG로 완화되지 않을 때 처방
- 심근경색 통증을 완화, 심근 산소 요구도를 감소시키며 평활근을 이완하고 순환 카테콜아민을 감소
- 최고량에 도달할 때까지 5~10분 간격으로 2~10mg을 정맥 주입
- 부작용 : 호흡 감소, 저혈압, 서맥, 심한 구토
(3) 기타 통증 관리
- 산소를 2~4L/분의 속도로 비강 캐뉼러를 통해 공급하고 동맥 산소포화도(SaO2)가 95% 이상이 되도록 유지
- semi Fowler's 자세나 편한 자세를 취해주고 심호흡 하게 함
- 조용한 환경과 간호에 대한 설명으로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통증을 경감시킴
III. 결론
우리는 이번 과제를 통하여 심근경색증의 원인, 검사, 치료, 합병증에 대해 알게 되었다.
위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000님에게 나타날 수 있는 간호문제를 사정하여 진단하고 처방에 따라 NTG, Morphine sulfate등을 사용한 약물요법과 산소공급, 체위변경, 편안한 주변 환경 조성 등 간호중재를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p.723~ pp731
Ⅴ. 의학용어
의학용어
뜻
의학용어
뜻
coronary artery
관상동맥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
angina pectoris
협심증
Atrioventricular node
방실결절
sinoatrial node
동방결절
arrhythmia
부정맥
radiating pain
방사통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심실조기수축
denial
부정
Myocardial perfusion imagine
심근관류영상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촬영술
Heart Failure
심부전
Papillary muscle dysfunction
유두근 기능부전
Cardiogenic shock
심인성 쇼크
Ventricular aneurysm
심실성 동맥류
Pericarditis
심외막염
intraaortic balloon pump
대동맥내풍선펌프
추천자료
심근경색
[성인병]성인병의 등장, 성인병의 위험인자와 성인병 사례1(고지혈증), 성인병 사례2(당뇨병)...
심근경색 CASE (현직간호사)
[재활간호][실어증환자][관절염환자][뇌졸중환자][유방암]재활간호의 배경, 재활간호의 과정,...
[심혈관계질환, 심장근육, 심혈관계, 흡연, 협심증]심혈관계질환과 심장근육, 심혈관계질환과...
심혈관계질환(심장질환, 심장병)의 위험요인과 증상, 심혈관계질환(심장질환, 심장병)과 관상...
심장질환(심장병, 심혈관계질환) 부정맥질환, 관상동맥질환, 심장질환(심장병,심혈관계질환) ...
(스포츠의학, 운동처방관련학과) 허혈성 심장질환과 운동 - 협심증 & 심근경색.pdf
심혈관계질환(임상영양학,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울혈성신부전, 심근경색, 뇌졸중) PPT
ICU case study, Acute Myocardiac Infarction, AMI 케이스 스터디,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
심근경색 간호과정
[노인복지] 성인병과 성인병이 수반하는 합병증 - 뇌졸증, 고혈압, 심근경색, 동맥경화증, 암
ccu case) 급성관상동맥증후군 (NSTMI Non ST elevation myocardiac infarction 비 ST절 상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