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닫힘배출장치
1) 가슴관(chest tube) 삽입법
2) 닫힘배출장치
3) 닫힘배출장치를 하는 환자의 간호
Ⅲ. 결론
Ⅳ. 용어정리
Ⅴ. 참고문헌
Ⅵ. 참고자료
Ⅱ. 본론
1. 닫힘배출장치
1) 가슴관(chest tube) 삽입법
2) 닫힘배출장치
3) 닫힘배출장치를 하는 환자의 간호
Ⅲ. 결론
Ⅳ. 용어정리
Ⅴ. 참고문헌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거즈를 거즈 위에 올려놓는다.
44인치의 멸균 거즈보다 넓게 덮을 수 있는 반창고를 잘라서 준비한다.
의사는 환자가 피부에 고정해 놓은 가슴관 봉합사를 자른 후 가슴을 그대 로 잡고 있는다.
환자에게 심호흡을 하도록 하고 잠시 숨을 참도록 하면서 가슴관을 제거 한다.
가슴막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가슴관을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준 비해놓은 거즈로 상처를 덮은 후 넓은 반창코를 붙여 공기유입을 막는다.
Ⅲ. 결론
우리는 이번 과제를 통해 닫힘배출장치와 닫힘배출장치를 하는 환자의 간호에 대해 알수 있었다. 이번 시나리오에 나오는 000 환아는 천식을 진단받아 치료중이다. 000 환아는 현재 기침과 가래가 많이 끼어 000 환아의 보호자가 걱정을 하고 있다. 이에 숨쉬는 것을 좀 더 쉽게 도와주기 위해 우리는 닫힘배출장치를 이용하여 가래를 배액할 수 있을 것이다.
닫힘배출장치는 허파의 재확장을 위해 가슴관을 닫힘배출장치와 연결한 후 가슴막안의 액체나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2번째 가슴관은 뒤겨드랑이선을 따라 7~8번째나 8~9번째 갈비뼈 사이 삽입하여 닫힘배출장치를 연결하여 가래와 같은 분비물을 제거 할 수있다. 닫힘배출장치는 배액병, 밀봉병, 흡인압력 조절병으로 구성되어 있고 배액병은 혈액이나 액체등 분비물이 모이는 곳이고, 밀봉병은 배액병의 공기가 밀봉병으로는 모인다. 흡인압력 조절병은 물속의 잠긴 관의 길이에 따라 닫힘배액 압력이 조절할 수 있다.
닫힘배출장치를 하는 환자의 간호로는 닫힘배출장치 기구는 항상 환자의 가슴보다 낮은 높이에 두어야 하며, 환자는 반좌위를 취하게 하고 가슴관이 있는 쪽으로 환자를 돌려 눕힐 때는 튜브가 눌리거나 꼬이지 않도록 한다. 가슴관 연결관의 길이는 환자가 일어나 앉거나 돌아 누울 때 알맞은 길이여야 하고, 너무 긴 연결관은 꼬이거나 엉키게 되므로 고무밴드나 테이프를 이용하여 침상에 안전하게 고정한다. 가슴관이 눌리지 않았는지, 꼬여 있지 않는지 가슴관의 개방을 유지한다. 배액기구는 대기에 개방되지 않도록 완전히 밀폐되어야 하며 흡인압력기의 압력은 보통 10~-20cmH₂0로 유지시킨다. 가슴막안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관찰하고 배액의 양을 측정한다. 장기간 배액을 행하는 환자에게 정기적으로 멸균된 새로운 배액병으로 교체하고, 환자 곁에 15~20cm 길이의 겸자를 항상 준비해둬서 흉관을 잠글 수 있도록 한다. 사고발생시 겸자로 막아 기흉을 방지하고 무균적으로 관리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마지막으로 닫힘배출장치를 하는 환자에게 심호흡과 기침을 주기적으로 하도록 하여 허파를 팽창시키도록 한다.
Ⅳ. 용어정리
용어
영어
뜻
기흉
pneumothorax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늑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
혈흉
hemothorax
여러 원인으로 흉막벽, 흉강내 장기 또는 횡격막에 출혈이 있어 흉강내에 혈액이 저류된 상태
Ⅴ. 참고자료
-가장 흔히 사용되는 상품으로는 pleur-evac이 있음.
-흡인조절병에 물을 넣지 않고 압력조절기를 사용하는 기구도 있음. 이 기구를 사용할 때는 물방울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흡인기능이 되는지 잘 관찰 해야 함.
-Heimlich Valve는 주로 응급실에서 사용, 가슴관 바깥쪽 끝에 부착하여 사용.
단단한 플라스틱 관안에는 일방향으로 움직이는 밸브가 있어서 가슴막 안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으면 밸브가 열려 가슴막 안의 공기가 유출되고 압력이 반대 상태가 되면 닫힘.
Ⅵ. 참고문헌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1. 수문사. pp.645~pp.649
2.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p514~517.
44인치의 멸균 거즈보다 넓게 덮을 수 있는 반창고를 잘라서 준비한다.
의사는 환자가 피부에 고정해 놓은 가슴관 봉합사를 자른 후 가슴을 그대 로 잡고 있는다.
환자에게 심호흡을 하도록 하고 잠시 숨을 참도록 하면서 가슴관을 제거 한다.
가슴막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가슴관을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준 비해놓은 거즈로 상처를 덮은 후 넓은 반창코를 붙여 공기유입을 막는다.
Ⅲ. 결론
우리는 이번 과제를 통해 닫힘배출장치와 닫힘배출장치를 하는 환자의 간호에 대해 알수 있었다. 이번 시나리오에 나오는 000 환아는 천식을 진단받아 치료중이다. 000 환아는 현재 기침과 가래가 많이 끼어 000 환아의 보호자가 걱정을 하고 있다. 이에 숨쉬는 것을 좀 더 쉽게 도와주기 위해 우리는 닫힘배출장치를 이용하여 가래를 배액할 수 있을 것이다.
닫힘배출장치는 허파의 재확장을 위해 가슴관을 닫힘배출장치와 연결한 후 가슴막안의 액체나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2번째 가슴관은 뒤겨드랑이선을 따라 7~8번째나 8~9번째 갈비뼈 사이 삽입하여 닫힘배출장치를 연결하여 가래와 같은 분비물을 제거 할 수있다. 닫힘배출장치는 배액병, 밀봉병, 흡인압력 조절병으로 구성되어 있고 배액병은 혈액이나 액체등 분비물이 모이는 곳이고, 밀봉병은 배액병의 공기가 밀봉병으로는 모인다. 흡인압력 조절병은 물속의 잠긴 관의 길이에 따라 닫힘배액 압력이 조절할 수 있다.
닫힘배출장치를 하는 환자의 간호로는 닫힘배출장치 기구는 항상 환자의 가슴보다 낮은 높이에 두어야 하며, 환자는 반좌위를 취하게 하고 가슴관이 있는 쪽으로 환자를 돌려 눕힐 때는 튜브가 눌리거나 꼬이지 않도록 한다. 가슴관 연결관의 길이는 환자가 일어나 앉거나 돌아 누울 때 알맞은 길이여야 하고, 너무 긴 연결관은 꼬이거나 엉키게 되므로 고무밴드나 테이프를 이용하여 침상에 안전하게 고정한다. 가슴관이 눌리지 않았는지, 꼬여 있지 않는지 가슴관의 개방을 유지한다. 배액기구는 대기에 개방되지 않도록 완전히 밀폐되어야 하며 흡인압력기의 압력은 보통 10~-20cmH₂0로 유지시킨다. 가슴막안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관찰하고 배액의 양을 측정한다. 장기간 배액을 행하는 환자에게 정기적으로 멸균된 새로운 배액병으로 교체하고, 환자 곁에 15~20cm 길이의 겸자를 항상 준비해둬서 흉관을 잠글 수 있도록 한다. 사고발생시 겸자로 막아 기흉을 방지하고 무균적으로 관리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마지막으로 닫힘배출장치를 하는 환자에게 심호흡과 기침을 주기적으로 하도록 하여 허파를 팽창시키도록 한다.
Ⅳ. 용어정리
용어
영어
뜻
기흉
pneumothorax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늑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
혈흉
hemothorax
여러 원인으로 흉막벽, 흉강내 장기 또는 횡격막에 출혈이 있어 흉강내에 혈액이 저류된 상태
Ⅴ. 참고자료
-가장 흔히 사용되는 상품으로는 pleur-evac이 있음.
-흡인조절병에 물을 넣지 않고 압력조절기를 사용하는 기구도 있음. 이 기구를 사용할 때는 물방울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흡인기능이 되는지 잘 관찰 해야 함.
-Heimlich Valve는 주로 응급실에서 사용, 가슴관 바깥쪽 끝에 부착하여 사용.
단단한 플라스틱 관안에는 일방향으로 움직이는 밸브가 있어서 가슴막 안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으면 밸브가 열려 가슴막 안의 공기가 유출되고 압력이 반대 상태가 되면 닫힘.
Ⅵ. 참고문헌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1. 수문사. pp.645~pp.649
2.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p514~5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