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다문화 간호 - (문화적 간호중재)와 우리나라 다문화지원정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 다문화 간호 - (문화적 간호중재)와 우리나라 다문화지원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Ⅱ. 본론---------------------------------------------- 1


1. 다문화 가족의 정의----------------------------------- 1


2. 다문화 가족의 중재----------------------------------- 2


3. 우리나라 다문화 지원 정책-------------------------- 3


3. 다문화 가족 사업------------------------------------- 5



Ⅲ. 결론----------------------------------------------- 7


Ⅳ. 참고문헌------------------------------------------ 8

본문내용

구성원의 일반 특성에 관한 사항
- 소득, 지출, 자산 등 가족의 경제 상태에 관한 사항
- 자녀양육, 가족부양 등 가족행태 및 가족관계에 관한 사항
- 가족갈등 등 가족문제에 관한 사항
- 다문화가족 지원관련 교육ㆍ상담 등 서비스 수요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다문화가족의 현황 및 실태파악에 필요한 사항
4. 다문화 가족사업
1)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사업
- 생활언어를 익히고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체계적·단계별 한국어교육서비스 제공
- 언어·문화차이 등으로 자녀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결혼이민자에게 부모교육서비스 제공
- 학업성취가 낮고, 자아·정서·사회성 발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가족 자녀에게 자녀생활서비스 제공
대상
세부 내용
방문 한국어교육서비스
- 입국 5년 이하 결혼이민자,
만 19세 미만 중도입국자녀
- 한국어교육 1~4단계
: 어휘, 문법, 화용, 문화
부모교육 서비스
- 각 생애주기별 자녀를 양육
하고 있는 결혼이민자
생애주기
- 임신·출산·영아기
: 임신중~생후 12개월 이하
- 유아기
: 12개월 초과~48개월 이하
- 아동기
: 48개월 초과~만 12세 이하
자녀양육 지원을 위한 부모교육(부모
성장, 부모-자녀관계형성, 영양건강관리,
학교가정생활지도)
가족상담 및 정서 지원 서비스
기타 한국생활에 필요한 정보제공
자녀생활 서비스
만 3세~만 12세 이하 다문화가족 자녀, 중동입국자녀
인지영역
: 독서코칭, 숙제지도, 발표토론지도
자아.정서.사회영역
: 자아정서사회성 발달을 위한 지도
문화역량강화 영역
: 문화인식, 정체성 확립, 공동체 인식 지도
시민교육영역
: 기본 생활습관, 건강 및 안전, 가정생활,
진로지도
2)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사업
- 전국 206개소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98명의 다문화 언어발달지도사가 다문화가족 자녀(만12세 이하)를 대상으로 언어발달 평가 및 촉진교육 제공, 대상아동 부모에게는 부모교육과 상담 서비스를 제공
대상 : 만 12세 이하 언어평가 및 언어교육이 필요한 다문화가족 자녀
세부 내용
언어평가 : 아동의 연령 및 발달 상태에 따라 적합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언어발달 정도를 평가
언어교육 : 언어발달 촉진, 대화·사회적 의사소통 능령 향상, 읽기 및 말하기 등 언어발달 촉진을 위한 언어교육(개별수업 또는 모둠수업) 실시
부모교육 및 상담 : 다문화 부모가 일상생활에서도 아동의 언어발달 촉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 및 상담서비스 제공
(1) 연도별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사업 운영
가. 센터 및 언어발달 지도사 현황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센터
75개소
93개소
173개소
172개소
205개소
206개소
206개소
언어발달지도사
83명
101명
206명
200명
300명
300명
298명
나. 언어평가 현황
언어평가(실인원)
언어평가(연인원)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총계
3,213명
4,063명
7,354명
8,113명
8,864명
9,101명
5,686명
9,132명
19,117명
20,347명
23,976명
25,272명
다. 언어교육 현황
언어평가(실인원)
언어평가(연인원)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총계
2,415명
2,254명
4,966명
5,015명
5,452명
5,501명
13,142명
52,566명
117,365명
129,096명
175,978명
187,518명
Ⅲ. 결론
시나리오에서 다문화가족이란 여성결혼이민자와 한국인으로 이루어진 가족으로 결혼하는데 어려움을 가진 남성과 상대적으로 빈곤한 국가의 여성들의 국제결혼이 증가함에 따라 다문화가족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여성결혼이민자는 신체적, 문화적, 언어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어 사회적 고립감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우울, 무기력감, 사회적 편견, 차별 등으로 심리적 압박감과 갈등상황으로 내몰린다. 이로 인해 여성결혼이민자는 개인이 매일 접하는 환경에서 조화를 이루며 자신의 역할을 수행해내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가족간의 결속감과 자조집단을 형성하여 정보를 나누고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것들이 필요하다. 간호사는 자민족 중심주의를 피해야 하며, 문화적 사정을 하고, 자신의 삶에서 문화적 영향의 역할을 인식하고 사회와 지역 대상자들에 대한 지식을 얻고, 가족 구성원들의 문화적 역할을 고려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사업이라는 것을 실시하여 각 대상들에게 독서, 숙제, 발표 등을 지도해주기도 하고 안전이나 가정생활에 대해 지도해주기도 한다. 또한 타국에서 살아가면서 중요한 언어발달지원사업을 실시한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지원 정책은 먼저 1단계로 입국 전에 입국 전에 결혼을 준비하고 2단계인 입국초 가족관계 형성기로 한국어교육을 하기도 하고 다문화 가족에게 상담을 제공하기도 한다. 3단계로는 자녀양육 정착기로 자녀의 언어발달을 지원하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4단계는 역량 강화기로 사회적인 자립을 지원하여 직업교육훈련을 시키고 취업기초소양교육을 시키기도 한다. 5단계는 다문화 역량강화기로 다문화 가족의 현실태를 조사한다.
현재 L호텔에서 사내 직원들의 다문화 가족의 실태를 조사하여 갈등이나 현재 경험하고 있는 불편한 점은 없는지 알아보고 우리나라에서 받을 수 있는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에 대해 알려주고 연결해줄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 양선희 외(2009), 기본간호학 상, 서울 : 현문사 pp.53~56
- 다누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2015). 사업추진체계.
http://www.liveinkorea.kr/kr/contents/contents_view.asp?idx=8
- 여성가족부 (2015). 다문화 지원정책.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Guide/policyGuide06_04_01.jsp?viewfnc4=1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10.18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