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과 징후
5. 진단
6. 치료및 간호
Ⅲ. 연구기간 및 방법
1. 간호과정
2. 검사자료
Ⅳ. 간호과정
Ⅴ. 결론
Ⅵ. 참고문헌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과 징후
5. 진단
6. 치료및 간호
Ⅲ. 연구기간 및 방법
1. 간호과정
2. 검사자료
Ⅳ. 간호과정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애 환자
6) 심한 고혈압 환자
부작용
소화기계 : 드물게 소화성궤양, 위장출혈, 천공, 궤양성 대장염, 혈변, 위염, 췌장염 등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또한 때때로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복통, 소화불량, 설사, 위부불쾌감이나 매우 드물게 구갈, 구내염, 복부팽만감,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Zolpiram
효능/효과
불면증
용법/용량
ㆍ이 약은 작용발현이 빠르므로, 취침 바로 직전에 경구투여한다.
ㆍ성인의 1일 권장량은 10mg이며 이러한 권장량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금기
1) 이 약 또는 이 약에 함유된 성분에 대해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18세 미만의 소아
3) 폐색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
부작용
신경계 이상반응
ㆍ흔하게: 졸음, 두통, 현기증, 불면증 악화, 선행성 건망증 (건망증 증상은 부적절한 행동과 연관될 수 있다.)
Pacetin Injection
효능/효과
항생제. 유효균종(황색포도구균, 폐렴연쇄구균 등), 적응증(폐렴과 폐농양 등 하기도 감염증, 패혈증 등)
용법/용량
ㆍ세폭시틴나트륨으로서 1회 1~2g(역가)을 6~8시간마다 다음과 같이 근육, 정맥 또는 점적 정맥주사한다.
ㆍ투여량과 경로는 균의 감수성, 감염정도, 환자상태에 따라 정한다.
금기
1) 이 약에 의하여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이 약 또는 세팔로스포린계 약물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부작용
쇽 : 드물게 쇽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불쾌감, 구내이상감, 천명, 어지러움, 변의, 이명, 발한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과민반응 : 때때로 발진(박탈피부염 포함),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드물게 발열, 아나필락시, 간질성 신염, 맥관부종 등의 알레르기반응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Ⅳ.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수술을 꼭 해야하나요?”
“불안해서 잠이 안와요”
“수술이 잘못되면 어떻게하죠?”
환자의 얼굴이 근심으로 가득 차 보임.
수술 문제로 계속 불안함을 표현.
환자가 잠을 못듬.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적
환자는 수술의 필요성을 말로 표현하고 설명한다.
환자는 불안을 해소하고 안정을 되찾을 것이다.
간호계획
①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 필요시 처방에 의한 수면제를 투여한다.
④ 수술 전 간호를 교육한다.
⑤ 가족과 같이 있게 한다.
간호수행
①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② 불안한 행동을 보일 때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145/92 - 98)
③ 안정을 취하도록 격려하고 Zolpiram 10mg을 투여하였다.
④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하고, 긍정적인 생각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⑤ 수술에 대한 방법과 목적을 설명하였다.
평가
환자가 불안정도가 감소하여,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로 측정되었다.(128/81 - 86)
환자가 긍정적인 생각과 감정을 말로 표현한다.
환자가 잠을 깊게 잘 수 있었다고 말하였다.
환자가 수술의 필요성을 지각하여, 수술 전 준비에 적극적으로 임하였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수술부위가 찌르듯이 너무 아파요.
“진통제 좀 주세요.”
환자의 얼굴이 찡그려져 있다.
통증 호소가 심하고 잦다.
통증척도 10점 중 5점 이다.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적
통증 정도가 월 일 오전까지 5점에서 2점 이하로 감소한다.
대상자는 통증이 감소됨을 말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① 통증의 특성 및 정도를 통증척도로 사정한다.
② 주기적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 처방에 의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④ 6시간 금식하도록 교육한다. (치료목적)
⑤ 심호흡, 기침, 체위변경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간호수행
①통증척도로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②수술 후 30분 단위로 활력징후를 측정하였으며 그6시간 이후 부터는 1시간 단위 로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③통증 호소 시 심호흡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수행하도록 하였다.
④심한 통증 호소 시 의사 처방에 따라 pethidine, 50mg 투여 하였다.
⑤기도에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억지로라도 기침을 하게끔 하였다.
평가
환자가 표현하는 통증의 강도를 10점으로 표현할 때 4점 정도로 줄었다.
환자가 처음보다 잠을 편히 잘 수 있다고 말하였다.
환자의 안색이 돌아왔다.
환자가 주위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웃기도 한다.
Ⅴ. 결론
실습을 하는 기간 동안 00병동에 acute cholecystitis 증상을 앓고 있는 환자가 대부분으로 acute cholecystitis질병을 더 알아보고자 acute cholecystitis환자를 case로 선택하여 관찰하기 시작하였다. 많은 환자들이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면 수술 후 고통을 호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위해 특별한 기술을 수행한 것은 아니지만 통증의 정도를 물어보고 대화를 통해서 말동무가 되어드리고 불편한 점이 있을 때 도와드리는 역할을 하였다. 환자들과의 시간을 보내면서 뜻 깊은 시간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선생님들께서 많은 것을 가르쳐 주셔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또한 매 시간 혈당과 V/S 체크하였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혈압을 자신 있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간호사 선생님께서 환자들에게 친절하게 대하는 모습을 보고 나도 환자의 말에 경청하고 온화한 미소로 대하는 간호사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자주하게 되었다. 이번 실습에서 기본적으로 손 씻기가 잘 이루어지고 있어 손 씻기에 중요성도 알게 되었다. 이번 실습은 정말 많은 것을 배우고 해볼 수 있는 귀중한 실습시간이 되었다.
Ⅵ. 참고문헌
전시자 외(2012) 성인간호학, 현문사
이항련 외(2012) 성인간호학, 수문사 P561~565.
이영휘 외(2011)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고성희 외(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00대학교병원 00병동 외과 자료
서울대학교 http://www.snuh.org/
http://www.vitaminmd.co.kr/renew/treatment/view.md?id=002HB
6) 심한 고혈압 환자
부작용
소화기계 : 드물게 소화성궤양, 위장출혈, 천공, 궤양성 대장염, 혈변, 위염, 췌장염 등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또한 때때로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복통, 소화불량, 설사, 위부불쾌감이나 매우 드물게 구갈, 구내염, 복부팽만감,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Zolpiram
효능/효과
불면증
용법/용량
ㆍ이 약은 작용발현이 빠르므로, 취침 바로 직전에 경구투여한다.
ㆍ성인의 1일 권장량은 10mg이며 이러한 권장량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금기
1) 이 약 또는 이 약에 함유된 성분에 대해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18세 미만의 소아
3) 폐색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
부작용
신경계 이상반응
ㆍ흔하게: 졸음, 두통, 현기증, 불면증 악화, 선행성 건망증 (건망증 증상은 부적절한 행동과 연관될 수 있다.)
Pacetin Injection
효능/효과
항생제. 유효균종(황색포도구균, 폐렴연쇄구균 등), 적응증(폐렴과 폐농양 등 하기도 감염증, 패혈증 등)
용법/용량
ㆍ세폭시틴나트륨으로서 1회 1~2g(역가)을 6~8시간마다 다음과 같이 근육, 정맥 또는 점적 정맥주사한다.
ㆍ투여량과 경로는 균의 감수성, 감염정도, 환자상태에 따라 정한다.
금기
1) 이 약에 의하여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이 약 또는 세팔로스포린계 약물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부작용
쇽 : 드물게 쇽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불쾌감, 구내이상감, 천명, 어지러움, 변의, 이명, 발한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과민반응 : 때때로 발진(박탈피부염 포함),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드물게 발열, 아나필락시, 간질성 신염, 맥관부종 등의 알레르기반응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Ⅳ.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수술을 꼭 해야하나요?”
“불안해서 잠이 안와요”
“수술이 잘못되면 어떻게하죠?”
환자의 얼굴이 근심으로 가득 차 보임.
수술 문제로 계속 불안함을 표현.
환자가 잠을 못듬.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적
환자는 수술의 필요성을 말로 표현하고 설명한다.
환자는 불안을 해소하고 안정을 되찾을 것이다.
간호계획
①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 필요시 처방에 의한 수면제를 투여한다.
④ 수술 전 간호를 교육한다.
⑤ 가족과 같이 있게 한다.
간호수행
①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② 불안한 행동을 보일 때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145/92 - 98)
③ 안정을 취하도록 격려하고 Zolpiram 10mg을 투여하였다.
④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하고, 긍정적인 생각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⑤ 수술에 대한 방법과 목적을 설명하였다.
평가
환자가 불안정도가 감소하여,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로 측정되었다.(128/81 - 86)
환자가 긍정적인 생각과 감정을 말로 표현한다.
환자가 잠을 깊게 잘 수 있었다고 말하였다.
환자가 수술의 필요성을 지각하여, 수술 전 준비에 적극적으로 임하였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수술부위가 찌르듯이 너무 아파요.
“진통제 좀 주세요.”
환자의 얼굴이 찡그려져 있다.
통증 호소가 심하고 잦다.
통증척도 10점 중 5점 이다.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적
통증 정도가 월 일 오전까지 5점에서 2점 이하로 감소한다.
대상자는 통증이 감소됨을 말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① 통증의 특성 및 정도를 통증척도로 사정한다.
② 주기적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 처방에 의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④ 6시간 금식하도록 교육한다. (치료목적)
⑤ 심호흡, 기침, 체위변경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간호수행
①통증척도로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②수술 후 30분 단위로 활력징후를 측정하였으며 그6시간 이후 부터는 1시간 단위 로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③통증 호소 시 심호흡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수행하도록 하였다.
④심한 통증 호소 시 의사 처방에 따라 pethidine, 50mg 투여 하였다.
⑤기도에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억지로라도 기침을 하게끔 하였다.
평가
환자가 표현하는 통증의 강도를 10점으로 표현할 때 4점 정도로 줄었다.
환자가 처음보다 잠을 편히 잘 수 있다고 말하였다.
환자의 안색이 돌아왔다.
환자가 주위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웃기도 한다.
Ⅴ. 결론
실습을 하는 기간 동안 00병동에 acute cholecystitis 증상을 앓고 있는 환자가 대부분으로 acute cholecystitis질병을 더 알아보고자 acute cholecystitis환자를 case로 선택하여 관찰하기 시작하였다. 많은 환자들이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면 수술 후 고통을 호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위해 특별한 기술을 수행한 것은 아니지만 통증의 정도를 물어보고 대화를 통해서 말동무가 되어드리고 불편한 점이 있을 때 도와드리는 역할을 하였다. 환자들과의 시간을 보내면서 뜻 깊은 시간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선생님들께서 많은 것을 가르쳐 주셔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또한 매 시간 혈당과 V/S 체크하였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혈압을 자신 있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간호사 선생님께서 환자들에게 친절하게 대하는 모습을 보고 나도 환자의 말에 경청하고 온화한 미소로 대하는 간호사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자주하게 되었다. 이번 실습에서 기본적으로 손 씻기가 잘 이루어지고 있어 손 씻기에 중요성도 알게 되었다. 이번 실습은 정말 많은 것을 배우고 해볼 수 있는 귀중한 실습시간이 되었다.
Ⅵ. 참고문헌
전시자 외(2012) 성인간호학, 현문사
이항련 외(2012) 성인간호학, 수문사 P561~565.
이영휘 외(2011)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고성희 외(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00대학교병원 00병동 외과 자료
서울대학교 http://www.snuh.org/
http://www.vitaminmd.co.kr/renew/treatment/view.md?id=002HB
추천자료
<사례연구 보고서> 담석증(Cholelithiasis gall bladder stone)
분만실에서의 자간전증 관련 간호과정 레포트.
약선음식의 이해(당뇨,고혈압,간질환,변비,성기능,배뇨기능)
수술중 간호 케이스 <<담석증>> GB STONE
기생충감염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생활사
담석증 대상자의 간호사례연구
담석증(Cholelithiasis) 수술실LC
담낭암의 원인과 부위별 분류 및 증상과 진단 치료
췌장염에 대한 간호진단
7병동 inject & 검사 메뉴얼(매뉴얼)
간암
IM case MED. Cholangitis (담관염)
[노인의 건강과 삶] 노인 건강 현황, 노인 건강 문제점, 한국 노인 복지 정책, 노인 운동방법...
간농양 ppt (liver abscess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