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감염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생활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생충감염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생활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그러나 장 이외의 곳에서 기생할 수도 있다. 알은 입으로 들어온 지 약 2개월 반이면 성충이 되고 알을 낳기 시작한다.
그림4) 회충의 생활사 및 감염 경로
5. 폐흡충
(1) 감염원인
가제, 조개, 소라, 다슬기 등 갑각류와 패류의 생식으로 감염.
(2) 감염 증상
사람의 체내에서는 성충은 거의 폐에 기생하는데 이때 기침, 혈담 등을 일르켜 폐결핵과 같은 증상을 일으키고 흉통을 느낀다. 또한 뇌 ·척수 등의 여러 장기에도 잘못 들어가는 일이 있다. 이때 증세로는 객혈을 보는 일이 있는데, 혈액이 엿빛을 띠는 것이 특징적이다. 성충이 뇌 ·척수 등에 이행하는 경우는 간질 ·뇌종양 ·반신마비가 일어나며, 눈에 들어가면 안구돌출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3) 생활사 및 최종 감염경로
알은 숙주의 객담 또는 분변과 함께 배출되어 물 속으로 들어가면 2∼3주 후에는 부화한다. 부화한 미라키듐 유생은 제1중간숙주인 다슬기를 찾아 침입한다. 조개 몸 속에서는 스포로시스트 → 레디아 → 딸레디아 → 세르카리아의 각 유생으로 변태하고 무성적으로 증식하여 1개의 미라시듐으로부터 수백의 세르카리아 유생이 형성된다. 이 세르카리아 유생이 조개와 더불어 제2중간숙주인 담수생의 참게 ·미국가재 등에 먹히면 그 근육이나 아가미 등에 피낭하여 메타세르카리아가 되고 이것을 게와 더불어 종숙주인 사람 등의 포유류가 먹고 감염된다.
그림5) 폐흡충의 생활사 및 감염경로
6. 광절열두조충
(1) 감염원인
만연지대에 있는 중간숙주인 송어나 연어 등의 생식으로 감염.
(2) 감염 증상
감염증상은 자각증세 없이 지나는 경우도 있으나 가장 많은 증세는 소화기장애로서 식욕의 감퇴 또는 이상항진, 복통, 설사, 위염, 신경증세, 영양불량, 구내염, 빈혈등을 호소하게 된다. 그러나 빈혈이 될 경우 대개 악성형 빈혈이 되는데 그 원인은 광절열두조충이 비타민 B12를 다른 기생충보다 10~50배 더 흡수하기 때문이다.
(3) 생활사 및 최종 감염 경로
외계로 배출된 난자는 15~25℃ 물속에서 약 2주 후 6개의 갈고리를 가진 가는 섬모로 덮여있는 상태로 부화된 뒤 물속으로 나와 제1기 유충이 되어 제1중간숙주(검물벼룩)에게 먹히고 그의 몸속에서 제2기 유충으로 자란다. 검물벼룩이 민물고기( 송사리,송어, 연어, 가물치) 등에 먹히면 그 몸속에서 3mm~4mm에 유충이 자라며 최종 섭취한 인간에게 감염된다.
그림6) 광절열두조충의 생활사 및 감염경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5.31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9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