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학] 염증의 기전에 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병리학] 염증의 기전에 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염증의 정의 (Definition of inflammation)
2. 염증의 원인 (Causes of inflammation)
3. 림프관 및 림프절
4. 염증의 반응
5. 염증에 영향을 미치는 생체의 조건
6. 염증의 기본 증후
7. 급성염증
8. 만성염증 (Chronic inflammation)
9. 아급성 염증 (Subacute inflammation)
10. 삼출물의 특성에 의한 분류
11. 염증의 질환
12. 염증의 전신적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프구층, 결합조직성 피막으로 이루어진 육아종을 형성하는 염증을 말하며, 이 육아종은 특수한 병원체라 물질이 작용할 때만 형성되므로 특이성 염증이라고 한다. 이렇게 만성 육아종성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결핵(trberculosis), 매독(syphilis), 나병(leprosy)등이 있다.
(6) 봉와직염 (Phlegmon)
호중구가 결합조직 사이를 미만성으로 퍼져 광범위하게 벌집을 연상케 하는 침윤 상태를 일으키는 심한 화농성 염증을 말하며, 일명 봉소염(cellulitis)이라고도 한다. 봉소염이 일어난 피부는 발적이 일어나고, 단단하게 종창하는데, 염증부위의 경계는 불명료하다. 예로서는 지첨부(손가락 끝마디)의 진피에서 발생하는 표저(phelon)와 급성화농성 충수염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이다. 급성 충수염에서는 표면이 화농성 삼출액으로 덮여있고 현미경적으로는 점막의 궤양과 심한 호중구의 침윤이 관찰된다.
(7) 축농 (Empyema)
흉강, 부비동 또는 담낭과 같이 생리적으로 존재하는 내강에 농즙이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이것은 내강을 싸고 있는 점막의 화농성 염증에 의해 일어나는데, 농즙이 외부로 될 수 없으므로 흉강, 또는 부비동내에 모여 저류하게 된다. 흉강에 농이 저류한 경우 농흉이라고 한다.
12. 염증의 전신적 영향
염증 시 전신적으로 일어나는 현상 중 흔히 관찰되는 소견은 발열과 백혈구의 증가라고 할 수 있다. 염증이 발생되었을 때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전신적 반응은 발열이며, 특히 감염에 동반한 염증이 있을 때는 더욱 뚜렷하다. 세균이 몸 안에 들어와서 혈중에 순환하는 균혈증 대부분이 체온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스파이크 열(spike fever)을 발생하게 된다. 그 외의 급성기 반응에는 식욕감퇴, 단백질 소모의 증가, 저혈압, 간에서 합성되는 C-반응성 단백(C-reactive protein), 보체 및 응고단백 등의 증가, 그리고 말초 백혈구의 다양한 변화 등이 있다.
이러한 급성기 발열반응에서 인터루킨-1(IL-1)과 종양괴사인자(TNF)는 중요한 매개물질로 작용한다. 염증 반응이 있을 때 말초 혈액의 백혈구 수의 증가를 흔히 볼 수 있으며, 특히 세균의 감염이 있을 때 현저하다. 이때 백혈구 수는 1㎣당 15,000~20,000개 정도이나 경우에 따라 40,000개 또는 100,000개 까지 증가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백혈구의 심한 증가를 백혈병 시 백혈구가 심하게 증가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하여 유백혈병 반응(leuke-moid reaction)이라고 한다. 말초 백혈구 수는 처음에는 IL-1 및 TNF의 작용에 의한 골수 내에 저장된 성숙한 백혈구 혈중으로 방출되므로 증가하나 심한 경우에는 보다 미숙한 호중구의 증가를 동반하게 되는데 그 현상을 좌방이동(left shift. 대개 모세포를 좌측부터 쓰고 성숙된 세포는 우측으로 나열하기 때문에 좌측이동은 결국 미숙 백혈구의 혈액에 출현을 의미한다)이라 한다.
대부분의 세균 감염으로 호중구 증가증이 초래되나, 전염성 단핵구증, 백일해, 볼거리, 풍진 등과 같이 바이러스성 감염에서는 오히려 림프구 증가증이 있다. 그리고 기관지 천식, 고초열 및 기생충 감염과 같이 알레르기와 관련 있는 경우에는 호산구 증가증을 보인다. 장티푸스, 바이러스, 리케치아 및 특수한 원충류의 감염이 있을 때에는 반대로 백혈구 감소증이 있으며, 백혈구 수의 감소는 파종성 암종 또는 심한 속립성 결핵(miliary tuberculosis)에서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곽성규 외 6인, [기초 병리학] 정문각, 2005.
◎ 송계용, 지제근, 함의근 공저. [핵심 병리학] 고려의학, 1998.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29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5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