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지체 mental retardation 간호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지체 mental retardation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문헌고찰
간호사정
간호과정2개

본문내용

에서 청소 일을 하심.
10. 신체사정
활력증상
혈압 : 133/ 90 mmHg 맥박 : 83회 호흡 : 20회 체온 : 36.5℃
식사
입원 전에는 불규칙한 식사습관을 가지심. 입원 후에는 잘 드심.
배설
보통임.
알러지

약물 부작용
심한 진전, 진정 작용(졸림)
11.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약물치료, 정신요법, 활동요법)
약물치료
약물명
효능 효과
부작용
금기
Risperidone
3mg, 2mg
1. 정신분열병.
2. 중등도에서 중증인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초조, 공격성 또는 정신병 증상의 단기치료(6주까지)
3. 양극성장애과 관련된 조증삽화의 치료를 위한 기분안정제의 부가요법.
4. 파괴적 행동(공격성, 충동성 및 자해적 행동)이 두드러지는 정신지체 또는 평균 이하의 지적 능력을 갖는 소아, 청소년 및 성인의 행동장애와 기타 파탄적 행동장애의 치료.
졸음, 진정, 빈맥, 저혈압, 추체외로 증상 등 이미 알려진 이 약의 약리 효과와 연관된 급성 과량 중독 증상 및 증후가 보고된 바 있다. 과량 투여 시, QT간격 연장 및 발작이 보고되었다. 이 약과 파록세틴을 병용으로 과량 투여한 것과 관련하여 Torsade de pointes가 보고되었다. 급성 과량복용의 경우, 여러가지 약물의 동시복용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1)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2) 알코올 또는 중추신경억제제로 인해 중추신경 억제된 환자.
3) 혼수상태의 환자.
4) 에피네프린 투여중인 환자.
5)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1mg에만 해당).
clonazepam
0.5mg
항불안제
1. 간질 및 부분발작(초점발작).
2. 원발성 및 2차적으로 전신화된 강직간대발작(대발작).
3. 유ㆍ소아 간질(특히 정형성 및 비정형성 결신발작).
4. 공황장애.
졸림, 우울증, 현기증, 신경과민, 운동실조, 지적능력 감퇴
1) 급성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2)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3) 약물의존성 환자.
4) 알코올 또는 약물남용 환자.
5) 이 약 및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 환자.
6)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7) 중증의 간장애 환자.
8) 중증의 호흡부전 환자.
9)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12. 의학적 진단
- 장애 진단 : 지체 장애 3급
Ⅳ 간호과정
#1. 개인의 의지부족과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구분
구체적 과정 기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별로 밖에 나가고 싶지 않아요.”
- “카페테리아 안 갈거에요.”
- “밖으로 산책 나가면 자꾸 안 좋은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나가기 싫어요.”
객관적 자료
- 활동하는 것보다는 앉아서 글을 쓰거나 종이접기를 하는 것을 좋아함.
- 쉴 때는 보통 앉아서 TV를 시청한다.
- 낮에 활동하는 대신에 잠을 잔다.
- 병실 내에서 잘 나오지 않는다.
간호진단
#1. 개인의 의지부족과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기대되는 결과
장기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동료와 함께 집단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단기 : 대상자는 2일내에 여가활동의 이로운 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계획
① 대상자와 함께 활동에 참여한다.
② 병실 내의 활동보다 병실 밖의 활동을 격려한다.
③ 자발적인 참여를 했을 때 긍정적인 피드백을 준다,
간호 수행
① 대상자와 함께 동반산책에 참여했다.
② 병실 밖 복도를 함께 걸으며 면담을 했다.
③ 대상자가 활동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마다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었다.
이론적 근거
①, ②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대상자의 활동 증진을 돕는다.
③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대상자의 활동의지를 높인다.
평가
장기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동료와 함께 집단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이다.(부분달성)
단기 : 대상자는 2일내에 여가활동의 이로운 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달성)
#2. 개인위생 인식부족과 관련된 자가 간호 결핍
구분
구체적 과정 기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양치안한다고 안죽어요.”
- “꼭 씻어야되나요?”
- “코털안뽑아도 되요”
- “목욕 며칠전에 했는데..오늘 안 할거에요”
객관적 자료
- 머리색은 검은색으로 약간 푸석해 보임. 며칠 전에 염색한 염색약이 각질과 함께 부각되어 보임.
- 수염을 자주 안 깎고 코털이 삐져나온 상태임.
- 음식을 먹은 후 양치질을 잘 안하심.
간호진단
#2. 개인위생 인식부족과 관련된 자가 간호 결핍
기대되는 결과
장기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스스로 자가 간호를 적절히 수행한다.
단기 : 대상자는 2일내에 스스로 개인위생의 중요성을 말할 수 있으며, 정해진 수칙을 수행한다.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계획
① 대상자의 자가 간호 능력을 파악한다.
② 개인위생과 관련하여 필요성이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③ 식후 양치질이나 머리감기 등의 시행 여부를 묻고 실제로 시행했을 경우에는 노력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준다.
간호 수행
① 대상자의 현재 개인위생상태를 확인했다.
② 개인위생과 관련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설명했다.
③ 아침에 세안과 머리감기 등을, 식후에는 양치질을 확인하고 안 됐을 경우에는 개인위생을 하도록 격려하고, 시행했을 경우엔 ‘말끔한 모습이 멋있어요.는 칭찬(긍정적 피드백)을 해주었다.
이론적 근거
① 대상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간호방법을 찾는다.
② 개인위생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면 자가 간호의 실천도를 높일 수 있다.
③ 긍정적인 강화는 자아 존중감을 높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평가
장기 : 퇴원 시까지 스스로 자가 간호를 적절히 수행한다. (진행 중)
단기 : 2일내에 스스로 개인위생의 중요성을 말할 수 있으며, 정해진 수칙을 수행한다.
(부분 달성)
Ⅴ 참고문헌
- 정신건강간호학 /이정숙외/현문사
-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
- KIMS 의약정보센터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6.11.02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23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