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군
-회중층
-편중층
-요충충
-간흡충층
-폐흡충증
-장흡충증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두창
-폴리오
-신종인플루엔자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콜레라
-폐렴형 페스트
-바이러스성 추혈열
-웨스트 나일열
-회중층
-편중층
-요충충
-간흡충층
-폐흡충증
-장흡충증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두창
-폴리오
-신종인플루엔자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콜레라
-폐렴형 페스트
-바이러스성 추혈열
-웨스트 나일열
본문내용
트나일열
개요
웨스트 나일 열병은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조류를 흡혈한 모기가 인간에게 전파시키는 원리로 퍼진다. 원래는 아프리카와 유럽 그리고 중동을 중심으로 유행했으나, 1999년 미국에 유행한 이후 현재까지 유행하고 있다.사람에게는 우연히 감염되는데, 모든 웨스트나일모기가 이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전염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모유수유를 통한 전파는 현재 의심받고 있다. 잠복기는 짧으면 3일, 길면 14일로 감염자의 80%는 무증상이나 20%의 유증상자들의 치사률은 10~15%로 알려져 있다. 그 유증상자중의 150~300명중 1명꼴로 중증 환자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증상은 설사, 발진, 구토, 두통, 발열, 전신쇠약감, 오심 등이 있으며, 경증의 경후 이 상태가 3~6일 지속되다 그치게 된다. 그러나 중증의 경우, 신경계 이상증상이 발생한다. 중증감염 위험자는 노인으로, 20대의 인구보다 40배나 중증 위험성이 높다. 예방법으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감염된 조류를 만질경우 철저한 위생관리를 하여야 한다. 백신은 현재 개발중에 있으나 효과가 확실한 것은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병원체
일본뇌염바이러스와 같은 Arbovirus로 Flavivirus과에 속하는 웨 스트나일바이러스임 - 1937년 우간다의 웨스트나일주에서 발열을 주증상으로 하는 여성에게서 처음 분리되어 명명되었음 - 흔히 사 람 조류 그 외 몇몇 척추동물에서 질병을 일으키며 아프리카 동유럽 서아시아 중동에서 발생하였으나 최근 서반구로 확산되어 1999년 미국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유행이 처음 발생한 후 2000 2001 2002년 전 미국과 캐나다로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에서 는 2002년 한해 4156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284명이 사망함 - 주요 유행발생현황 이스라엘 (1951-1954년 1957년 2000년) 프랑스 (1962년 2000년) 남아프리카 (1974년 유행발생) 루마니아 (1996 년) 이탈리아 (1997년) 러시아 (1999년) 미국 (1999년~2002년)
역학적 특징
세계현황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는 흔히 사람, 조류, 그 외 몇몇 척추동물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아프리카, 동유럽, 서아시아, 중동에서 발생하였으나 최근 서반구로 확산되어 1999년 미국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유행이 처음 발생한 후 2000, 2001, 2002년 미국 전지역과 캐나다로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2007년 한 해 3,630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124명이 사망하기도 하였습니다.
국내현황
아직까지 국내에서 감염이 보고된 적은 없습니다.
전파양식
사람은 우연히 감염되는데 바이러스에 감염된 조류를 흡혈하면 서 감염된 모기가 사람이나 동물을 흡혈함으로써 감염됨 - 감염된 사람이나 조류외에 동물(주로 말)은 모기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만큼의 충분한 바이러스 혈증이 야기되지 않기 때문에 사람(동물)- 모기-사람(동물)간의 전파는 일어나지 않음 - 사람간의 전파는 일 어나지 않지만 수혈 장기이식을 통한 전염은 증명되었고 모유 수 유를 통한 전파의 가능성도 재기됨
증상 및 징후
잠복기: 3~14일 - 감염환자의 80%가량이 무증상이며 20%정도에 서 경증의 발열질환(웨스트나일열)이 발생하고 감염자 150~300명 중 1명 정도에서 중증의 중추신경계감염 증상(웨스트나일뇌염)이 나타남 - 임상증상은 발열 전신쇠약감 오심 구토 두통 설사 발진 등이며 경증의 경우 3~6일 정도 증상이 지속된 후 회복되지 만 중증감염의 경우 의식수준의 변화 운동조화불능 경련 등 신경 계 기능이상 증상이 동반됨 - 중증감염(웨스트나일뇌염)의 위험인 자는 고령으로 80세 이상의 환자는 20세 미만의 환자보다 뇌염 발 생 가능성이 약 40배 높음 - 중증감염의 경우 신경계의 영구 손상 으로 인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으며 유증상(웨스트나일열+웨스트나 일뇌염) 환자의 사망률은 5~10%정도로 알려짐
검사실 소견
백 혈구수치는 정상이거나 약간 증가함
뇌염을 보이는 환자에서 종 종 저나트륨혈증을 나타냄
뇌척수액 - 백혈구 : 정상 ~ 1782 개/mm3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임 주로 림프구를 보임 - 단백 : 일 반적으로 상승 (51 - 899 mg/dL) - 글루코스 : 대체로 정상치뇌전산화단층촬영 : 급성 질환의 증거가 없음
자기공명영상촬영 상 : 1/3에서 뇌막 뇌실주위에 영상증가가 관찰됨
진단검사의학 소견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는 국립보건연구원에 의뢰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검사의뢰방법]
※국립보건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할 때는 의뢰서와 함께 검체를 보냄(담당부서-신경계바이러스과:전화 043-719-8492~8499, 모사전송 043-719-8519)
검체
- 혈액 : Plane tube나 헤파린을 첨가한 멸균된 tube에 채취
- 혈청 : 전혈을 채취하여 3,000 rpm. 4℃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혈청을 멸균된 tube에 채취
- 뇌척수액 : 멸균된 tube에 채취
운송
- 채취한 검체는 아이스박스에 넣어 4℃ 정도로 내부가 유지되도록 한 다음 실험실로 즉시 수송함 (검체가 액체상태일 때에는 얼음에 검체가 바로 닿아 얼지 않도록 주의, 즉시 실험실로 수송할 수 없을 때는 -20℃ 이하나 장기간 보관 시에는 -70℃에 보관함)
치료
현재까지 웨스트나일바이러스를 위한 치료약이 나와 있지는 않습니다. 리바비린과 인터페론-a2b 등의 고용량 투여가 실험상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바이러스성 뇌염에 준해 치료하게 되며, 중증 감염환자의 약 25%의 환자는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하고, 10% 정도의 환자는 인공호흡치료를 받게 됩니다.
환자관리
사람간의 전파가 불가능하므로 환자나 접촉자에 대한 격리나 특별 한 조치는 필요없으나 수혈 장기이식 모유수유를 통한 전파의 가 능성을 주의하여야 함
예방
현재 말을 위한 백신만 만들어진 상태이고, 인체용 백신은 개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감염의 매개체인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웨스트나일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조류를 취급할 때는 개인 보호 장비를 반드시 착용하여야 합니다.
개요
웨스트 나일 열병은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조류를 흡혈한 모기가 인간에게 전파시키는 원리로 퍼진다. 원래는 아프리카와 유럽 그리고 중동을 중심으로 유행했으나, 1999년 미국에 유행한 이후 현재까지 유행하고 있다.사람에게는 우연히 감염되는데, 모든 웨스트나일모기가 이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전염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모유수유를 통한 전파는 현재 의심받고 있다. 잠복기는 짧으면 3일, 길면 14일로 감염자의 80%는 무증상이나 20%의 유증상자들의 치사률은 10~15%로 알려져 있다. 그 유증상자중의 150~300명중 1명꼴로 중증 환자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증상은 설사, 발진, 구토, 두통, 발열, 전신쇠약감, 오심 등이 있으며, 경증의 경후 이 상태가 3~6일 지속되다 그치게 된다. 그러나 중증의 경우, 신경계 이상증상이 발생한다. 중증감염 위험자는 노인으로, 20대의 인구보다 40배나 중증 위험성이 높다. 예방법으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감염된 조류를 만질경우 철저한 위생관리를 하여야 한다. 백신은 현재 개발중에 있으나 효과가 확실한 것은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병원체
일본뇌염바이러스와 같은 Arbovirus로 Flavivirus과에 속하는 웨 스트나일바이러스임 - 1937년 우간다의 웨스트나일주에서 발열을 주증상으로 하는 여성에게서 처음 분리되어 명명되었음 - 흔히 사 람 조류 그 외 몇몇 척추동물에서 질병을 일으키며 아프리카 동유럽 서아시아 중동에서 발생하였으나 최근 서반구로 확산되어 1999년 미국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유행이 처음 발생한 후 2000 2001 2002년 전 미국과 캐나다로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에서 는 2002년 한해 4156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284명이 사망함 - 주요 유행발생현황 이스라엘 (1951-1954년 1957년 2000년) 프랑스 (1962년 2000년) 남아프리카 (1974년 유행발생) 루마니아 (1996 년) 이탈리아 (1997년) 러시아 (1999년) 미국 (1999년~2002년)
역학적 특징
세계현황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는 흔히 사람, 조류, 그 외 몇몇 척추동물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아프리카, 동유럽, 서아시아, 중동에서 발생하였으나 최근 서반구로 확산되어 1999년 미국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유행이 처음 발생한 후 2000, 2001, 2002년 미국 전지역과 캐나다로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2007년 한 해 3,630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124명이 사망하기도 하였습니다.
국내현황
아직까지 국내에서 감염이 보고된 적은 없습니다.
전파양식
사람은 우연히 감염되는데 바이러스에 감염된 조류를 흡혈하면 서 감염된 모기가 사람이나 동물을 흡혈함으로써 감염됨 - 감염된 사람이나 조류외에 동물(주로 말)은 모기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만큼의 충분한 바이러스 혈증이 야기되지 않기 때문에 사람(동물)- 모기-사람(동물)간의 전파는 일어나지 않음 - 사람간의 전파는 일 어나지 않지만 수혈 장기이식을 통한 전염은 증명되었고 모유 수 유를 통한 전파의 가능성도 재기됨
증상 및 징후
잠복기: 3~14일 - 감염환자의 80%가량이 무증상이며 20%정도에 서 경증의 발열질환(웨스트나일열)이 발생하고 감염자 150~300명 중 1명 정도에서 중증의 중추신경계감염 증상(웨스트나일뇌염)이 나타남 - 임상증상은 발열 전신쇠약감 오심 구토 두통 설사 발진 등이며 경증의 경우 3~6일 정도 증상이 지속된 후 회복되지 만 중증감염의 경우 의식수준의 변화 운동조화불능 경련 등 신경 계 기능이상 증상이 동반됨 - 중증감염(웨스트나일뇌염)의 위험인 자는 고령으로 80세 이상의 환자는 20세 미만의 환자보다 뇌염 발 생 가능성이 약 40배 높음 - 중증감염의 경우 신경계의 영구 손상 으로 인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으며 유증상(웨스트나일열+웨스트나 일뇌염) 환자의 사망률은 5~10%정도로 알려짐
검사실 소견
백 혈구수치는 정상이거나 약간 증가함
뇌염을 보이는 환자에서 종 종 저나트륨혈증을 나타냄
뇌척수액 - 백혈구 : 정상 ~ 1782 개/mm3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임 주로 림프구를 보임 - 단백 : 일 반적으로 상승 (51 - 899 mg/dL) - 글루코스 : 대체로 정상치뇌전산화단층촬영 : 급성 질환의 증거가 없음
자기공명영상촬영 상 : 1/3에서 뇌막 뇌실주위에 영상증가가 관찰됨
진단검사의학 소견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는 국립보건연구원에 의뢰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검사의뢰방법]
※국립보건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할 때는 의뢰서와 함께 검체를 보냄(담당부서-신경계바이러스과:전화 043-719-8492~8499, 모사전송 043-719-8519)
검체
- 혈액 : Plane tube나 헤파린을 첨가한 멸균된 tube에 채취
- 혈청 : 전혈을 채취하여 3,000 rpm. 4℃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혈청을 멸균된 tube에 채취
- 뇌척수액 : 멸균된 tube에 채취
운송
- 채취한 검체는 아이스박스에 넣어 4℃ 정도로 내부가 유지되도록 한 다음 실험실로 즉시 수송함 (검체가 액체상태일 때에는 얼음에 검체가 바로 닿아 얼지 않도록 주의, 즉시 실험실로 수송할 수 없을 때는 -20℃ 이하나 장기간 보관 시에는 -70℃에 보관함)
치료
현재까지 웨스트나일바이러스를 위한 치료약이 나와 있지는 않습니다. 리바비린과 인터페론-a2b 등의 고용량 투여가 실험상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바이러스성 뇌염에 준해 치료하게 되며, 중증 감염환자의 약 25%의 환자는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하고, 10% 정도의 환자는 인공호흡치료를 받게 됩니다.
환자관리
사람간의 전파가 불가능하므로 환자나 접촉자에 대한 격리나 특별 한 조치는 필요없으나 수혈 장기이식 모유수유를 통한 전파의 가 능성을 주의하여야 함
예방
현재 말을 위한 백신만 만들어진 상태이고, 인체용 백신은 개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감염의 매개체인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웨스트나일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조류를 취급할 때는 개인 보호 장비를 반드시 착용하여야 합니다.
추천자료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health plan 2010)중[건강생활실천] 분야의 계...
지역사회간호학-우리나라 모자보건사업현황
정신보건사회복지
보건행정의 개념
보건의료문제에 대하여
도하개발아제다하에서의 보건의료서비스분야의 대응방안
지역사회 정신건강보건사업 및 영화 '뷰티풀 마인드' 사례 탐구
일본 정신보건복지 발달사
[보건사업관리, 사업계획서] 스마트 다이어트 케어 (Smart Diet Care) - 비만관리사업
[보건교육C]장기흡연중년남성의 금연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을 적용>
[보건교육 C형] 장기흡연중년남성의 금연교육
기장군 보건소 지역 케이스
[성인보건] 비만과 성인병 - 비만과 관련된 성인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