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행정의 개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보건행정의 개념

1.보건행정의 개념
(1) 행정
(2) 보건행정

2.보건행정의 범위
(1) WHO(세계보건기구)의 보건행정의 범위
(2) 미국공중보건협회의 보건행정 범위
(3) Emerson에 의한 보건행정의 범위
(4) Hanlon에 의한 보건행정의 범위

3.보건행정의 이념(규범)

4.보건행정의 특성

5.보건행정의 분류

6.보건행정의 접근방법

7.보건행정가의 역할

8.행정의 한 분야로서의 보건행정의 필요성

9.보건행정의 발달사

본문내용

보건학 확립시기
- 1990년 이후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현대의학이 발전하여 근대보건의 급진적
발전
WHO 및 UNEP(유엔환경계획)발족
1978년 ALmaata(1차보건의료)-건강권 추구
1992년 6월 환경보호대책으로 공해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경주- 리우환경선언
성인병 중 악성 신생물을 위한 유전공학의 발전 및 인구의 질적 양적 관리를 위
한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사업의 급진적 발전
(2) 우리나라 보건행정사
1) 삼국시대 이전
토속적인 신앙에 의해 질병과 재화를 면하고자 주술로 악신을 물리쳤다.
2) 삼국시대
① 고구려
시의 - 왕실치료담당
② 백제
㉠ 약부: 질병의 치료와 약재 등의 조달을 관장하는 관서
㉡ 의박사(질병의 치료),채약사(약품에 대한 직무를 담당), 약사주라는 관직제도
③ 신라
㉠ 승의의 활동
㉡ 의인 : 김무 - 김무약방 저술, 법탕(승의)
3) 통일신라시대
① 약전 : 궁중의료 행정기관
② 의료사업을 담당한 의사들의 관직명으로 공봉의사, 내공봉의사(왕실의 의료담당 시
의), 국의, 의관 등이 있었다.
4) 고려시대
① 태의감 : 의료행정을 담당하는 관서
② 상약국 : 어약을 맡은 관서
③ 혜민국 : 서민의료 담당
④ (동서)대비원 : 빈민이나 행려자 의료사업과 구제사업을 수행
⑤ 제위보 : 빈민행려자의 구호와 치료
5) 조선시대
① 의녀제도: 도성과 지방에 배치되어 부녀자의 질병치료와 의인(의사)의 진료와 치료
를 도와주었다.
② 제생원 : 조선 초기 서민의 질병치료 및 의녀의 양성을 맡아 보던 의료기관(후에 혜
민서에 병합)
③ 전의감 : 일반의료 행정 및 의과고시 담당
④ 내의원 : 왕실의료담당
⑤ 혜민서: 의약과 일반서민의 치료사업
⑥ 활인서: 전염병 환자담당
⑦ 전향사 : 예조 산하에 의약담당
6) 조선시대 말기
① 1879년 - 지석영 종두법 실시
② 1885년 (고종22년)왕립 광혜원 설립 : 한국 최초의 서양식 국립의료기관으로 미국
선교의사인 알렌이 설립 -(광혜원은 개원 12일 만에 제중원으로 개칭)
③ 1984년 갑오경장의 행정관제 개혁 때 내무아문 아래 근대적 의미의 보건행정기관인
위생국을 설치하여 전염병예방, 의약, 우두 등의 사무를 관장케 하였다 → 다음해인
고종 32년(1895)에 내부의 관제를 정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위생국에 위생과와 의무과
에서 모든 위생과 의료행정을 관장하게 하였다.
7) 일제강점시대
1910년 조선총독부의 경무총감부 산하 경무국에 위생과를 두었음
8) 미군정시대(광복직후, 1945년~1948년)
① 1945년 미군정령 1호에 의거 위생국 신설 → 미군정령 18호에 의거 보건후생국으로
개편
② 1946년 미군정령 64호에 의거 보건후생국을 보건후생부로 개칭하여 그 아래 15개
국 47개 과를 두어 보건행정 조직이 가장 방대한 시기이다.
9)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1948년 이후~)
① 1948년 사회부 보건국
② 1949년 사회부 보건국으로부터 보건부로 독립
③ 1955년 사회부와 보건부를 보건사회부로 통합
④ 1994년 보건사회부가 보건복지부로 개칭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2.0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9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