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6.실험기구
7. 결과
8.고찰
9.참고문헌
7. 결과
8.고찰
9.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HX와 HX의 농도가 같을 때 산과 염기에 의한 pH 변화를 막기에 가장 적합하다.
- 강산이나 강염기로는 완충 용액을 만들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 완충용액은 해리되지 않는 약산(또는 약염기)과 짝염기(또는 짝산)를 혼합하여 반응물과 생성물이 공존할 때 완충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데,
강산이나 강염기를 물에 용해시키면 대부분이 해리되어 짝염기와 짝산을 혼합해도 완충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HCl을 예로 들 경우
HCl은 수용액에서 H 와 Cl로 만 존재하게 된다. 즉 수용액에서는 H + Cl → HCl 의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완충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 일반적인 약산 HX에 대하여 Henderson-Hasselbalch 식을 유도하여라
K = ⇒ [H] =
- = - -
= - + , -log[H] = pH , - = pK
∴ pH = pK +
- 25℃에서 대기 중에 노출된 물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 CO(aq)의 농도는 1.2 × 10 mol/L 정도이다. 이때 이 물의 pH는 얼마정도인가?
HCO H + HCO 의 K는 4.4 × 10이다.
HO + CO ⇒ HCO = 1.2 × 10 mol/L(M)
⇒ 이므로
[HCO]에 1.2 × 10 M을 대입하면
[H][HCO] = 5.28 × 10 이다.
H와 HCO 1:1의 비율로 생성되므로
[H] = [HCO]이다.
∴ [H] = =2.30 × 10 이다.
따라서 pH = -log (2.30 × 10) = 5.64
9.참고문헌
서명
출판사
저자
출판연도
참고페이지
일반화학실험
천문각
대한화학회
2005
121-128
10. 조원
- 강산이나 강염기로는 완충 용액을 만들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 완충용액은 해리되지 않는 약산(또는 약염기)과 짝염기(또는 짝산)를 혼합하여 반응물과 생성물이 공존할 때 완충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데,
강산이나 강염기를 물에 용해시키면 대부분이 해리되어 짝염기와 짝산을 혼합해도 완충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HCl을 예로 들 경우
HCl은 수용액에서 H 와 Cl로 만 존재하게 된다. 즉 수용액에서는 H + Cl → HCl 의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완충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 일반적인 약산 HX에 대하여 Henderson-Hasselbalch 식을 유도하여라
K = ⇒ [H] =
- = - -
= - + , -log[H] = pH , - = pK
∴ pH = pK +
- 25℃에서 대기 중에 노출된 물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 CO(aq)의 농도는 1.2 × 10 mol/L 정도이다. 이때 이 물의 pH는 얼마정도인가?
HCO H + HCO 의 K는 4.4 × 10이다.
HO + CO ⇒ HCO = 1.2 × 10 mol/L(M)
⇒ 이므로
[HCO]에 1.2 × 10 M을 대입하면
[H][HCO] = 5.28 × 10 이다.
H와 HCO 1:1의 비율로 생성되므로
[H] = [HCO]이다.
∴ [H] = =2.30 × 10 이다.
따라서 pH = -log (2.30 × 10) = 5.64
9.참고문헌
서명
출판사
저자
출판연도
참고페이지
일반화학실험
천문각
대한화학회
2005
121-128
10. 조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