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외이의 장애
2. 중이의 장애
3. 내이의 장애
4. 청력장애
5. 일반적 귀 치료
6. 귀 치료 시 간호
Ⅲ.결론
Ⅳ.참고문헌
Ⅱ.본론
1. 외이의 장애
2. 중이의 장애
3. 내이의 장애
4. 청력장애
5. 일반적 귀 치료
6. 귀 치료 시 간호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 대화를 하는 곳은 항상 충분히 밝게 하고, 말하는 사람의 입 모양이 분명하게 보이도록 함
- 담배를 피우거나 껌이나 음식을 씹으며 이야기하는 일은 피하여야 함
- 의사전달을 돕기 위하여 몸짓, 얼굴 표정, 손짓 등을 적절히 활용해 가며 대화를 함
- 전문용어를 사용할 때는 필기도구를 준비하고 써가며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됨
5. 일반적 귀 치료
- 귀는 일반적으로 귀지가 귀의 피부를 윤활시킬 뿐 아니라 외이도에 들어오는 물질을 걸러내므로 방어와 청결의 기능을 함으로 자가 청결됨 → 귀를 너무 심하게 닦아내면 외이도는 건조해지고 가려움
- 귀 청결은 젖은 수건을 손가락 끝에 놓고 닦아내는 방법이 좋으며 면봉, 머리핀, 성냥, 이쑤시개 등은 감염을 초래할 수 있음
- 귀 감염이 있었던 환자는 목욕, 수영, 다이빙할 때에 귀가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함
- 급성 상기도 감염이 있을 때 코를 세게 풀거나 비세척을 해서는 안 되며 코를 풀 때는 양쪽 콧구 멍과 입을 벌리고 해야 함
6. 귀 치료 시 간호
- 귀 치료 전후에는 항상 손을 씻어 교차감염을 예방함
- 중이나 내이의 수술이나 개방성 외상 사고 시에는 엄격히 무균술을 지켜야 함
- 밝은 곳에서 시술함
- 외이도 점적 시에는 외이도가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시행 (성인은 후상방, 소아나 어린이는 후하 방으로 귓바퀴를 잡아당김)
- 귀 세척이나 점적을 위해 사용되는 용액은 체온과 같도록 함
- 귀 외상을 줄이기 위해 투약점적기의 끝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사용
- 환자 치료시 현훈이 있으면 침상 난간을 올려주고 서서히 움직이도록 도움
1) 귀 점적 주입
- 외이도에 점적하는 용액은 국소마취를 위한 것, 세균이나 외이도에 들어간 곤충을 죽이기 위한 것, 귀지를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 등이 있음
2) 귀 세척
- 외이도의 청결, 귀지 제거, 귀에 열 적용, 국소효과를 위한 항생제 투여, 이물질 제거를 위하여 실시
- 환자의 준비
① 옷을 적시지 않도록 에이프런을 씌우고 체위는 머리를 앞으로 약간 숙이고 환측으로 기울이 고 앉은 자세가 좋음
② 환자의 환측 귀밑에 농반을 두어 세척용액을 모음
③ 외이도를 거즈로 닦거나 용액을 사용하여 깨끗이 함
④ 고무관에 공기를 빼내고 약을 채움
⑤ 외이도가 일직선이 되도록 이개를 잡음
⑥ 관을 외이도에 넣은 후 외이도의 천정으로 용액이 서서히 흐르도록 함
⑦ 용액이 너무 세게 흐리지 않도록 함
⑧ 세척관에 의하여 외이도가 막히지 않도록 함
⑨ 세척 용액은 체온정도로 따뜻해야 하며 500cc를 넘지 않도록 함
⑩ 치료가 모두 끝나면 환자는 환측이 아래로 가도록 수분동안 누워 있도록 하여 남은 용액이 중력에 의하여 밖으로 흘러나오도록 함
3) 마른 귀닦개의 사용
- 끝이 소독된 마른 면봉으로 시행
- 시술 방법: 밝은 곳에서 환측이 위로 가도록 측위 → 외이도 일직선 → 면봉을 부드럽게 돌려가 면서 넣음 → 면봉을 빼냄 → 분비물의 형태를 기록한 후 면봉을 버림
- 한번 사용한 것은 버리고 매번 새것 사용
4) 귀에 심지 박기와 빼기
- 심지는 작은 솜이나 거즈 조각을 꼬아서 소독하여 사용
- 심지는 수용성보다는 지용성 귀약을 사용할 때 효과적
결론
우리는 시나리오에서 ooo(49,M) 님의 왼쪽 귀가 멍하고 소리도 전보다 잘 안들리는 것 같고 가끔 윙~하는 소리가 나는 이유를 알려주기 위해 외이의 장애, 중이의 장애, 내이의 장애, 청력장애, 일반적 귀 치료, 귀 치료 시 간호에 대하여 조사하기로 하였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Ⅱ(2012), 김금순 외, 수문사, p.1762~1764
성인간호학 하 (2011), 전시자 외, 현문사, p866~877
개정증보 성인간호학, 대한간호협회
- 담배를 피우거나 껌이나 음식을 씹으며 이야기하는 일은 피하여야 함
- 의사전달을 돕기 위하여 몸짓, 얼굴 표정, 손짓 등을 적절히 활용해 가며 대화를 함
- 전문용어를 사용할 때는 필기도구를 준비하고 써가며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됨
5. 일반적 귀 치료
- 귀는 일반적으로 귀지가 귀의 피부를 윤활시킬 뿐 아니라 외이도에 들어오는 물질을 걸러내므로 방어와 청결의 기능을 함으로 자가 청결됨 → 귀를 너무 심하게 닦아내면 외이도는 건조해지고 가려움
- 귀 청결은 젖은 수건을 손가락 끝에 놓고 닦아내는 방법이 좋으며 면봉, 머리핀, 성냥, 이쑤시개 등은 감염을 초래할 수 있음
- 귀 감염이 있었던 환자는 목욕, 수영, 다이빙할 때에 귀가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함
- 급성 상기도 감염이 있을 때 코를 세게 풀거나 비세척을 해서는 안 되며 코를 풀 때는 양쪽 콧구 멍과 입을 벌리고 해야 함
6. 귀 치료 시 간호
- 귀 치료 전후에는 항상 손을 씻어 교차감염을 예방함
- 중이나 내이의 수술이나 개방성 외상 사고 시에는 엄격히 무균술을 지켜야 함
- 밝은 곳에서 시술함
- 외이도 점적 시에는 외이도가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시행 (성인은 후상방, 소아나 어린이는 후하 방으로 귓바퀴를 잡아당김)
- 귀 세척이나 점적을 위해 사용되는 용액은 체온과 같도록 함
- 귀 외상을 줄이기 위해 투약점적기의 끝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사용
- 환자 치료시 현훈이 있으면 침상 난간을 올려주고 서서히 움직이도록 도움
1) 귀 점적 주입
- 외이도에 점적하는 용액은 국소마취를 위한 것, 세균이나 외이도에 들어간 곤충을 죽이기 위한 것, 귀지를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 등이 있음
2) 귀 세척
- 외이도의 청결, 귀지 제거, 귀에 열 적용, 국소효과를 위한 항생제 투여, 이물질 제거를 위하여 실시
- 환자의 준비
① 옷을 적시지 않도록 에이프런을 씌우고 체위는 머리를 앞으로 약간 숙이고 환측으로 기울이 고 앉은 자세가 좋음
② 환자의 환측 귀밑에 농반을 두어 세척용액을 모음
③ 외이도를 거즈로 닦거나 용액을 사용하여 깨끗이 함
④ 고무관에 공기를 빼내고 약을 채움
⑤ 외이도가 일직선이 되도록 이개를 잡음
⑥ 관을 외이도에 넣은 후 외이도의 천정으로 용액이 서서히 흐르도록 함
⑦ 용액이 너무 세게 흐리지 않도록 함
⑧ 세척관에 의하여 외이도가 막히지 않도록 함
⑨ 세척 용액은 체온정도로 따뜻해야 하며 500cc를 넘지 않도록 함
⑩ 치료가 모두 끝나면 환자는 환측이 아래로 가도록 수분동안 누워 있도록 하여 남은 용액이 중력에 의하여 밖으로 흘러나오도록 함
3) 마른 귀닦개의 사용
- 끝이 소독된 마른 면봉으로 시행
- 시술 방법: 밝은 곳에서 환측이 위로 가도록 측위 → 외이도 일직선 → 면봉을 부드럽게 돌려가 면서 넣음 → 면봉을 빼냄 → 분비물의 형태를 기록한 후 면봉을 버림
- 한번 사용한 것은 버리고 매번 새것 사용
4) 귀에 심지 박기와 빼기
- 심지는 작은 솜이나 거즈 조각을 꼬아서 소독하여 사용
- 심지는 수용성보다는 지용성 귀약을 사용할 때 효과적
결론
우리는 시나리오에서 ooo(49,M) 님의 왼쪽 귀가 멍하고 소리도 전보다 잘 안들리는 것 같고 가끔 윙~하는 소리가 나는 이유를 알려주기 위해 외이의 장애, 중이의 장애, 내이의 장애, 청력장애, 일반적 귀 치료, 귀 치료 시 간호에 대하여 조사하기로 하였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Ⅱ(2012), 김금순 외, 수문사, p.1762~1764
성인간호학 하 (2011), 전시자 외, 현문사, p866~877
개정증보 성인간호학, 대한간호협회
추천자료
인간발달주기에 따른 정신건강과업,개인발달주기와 가족생활주기,대가족생활주기,가족생활주...
노인생활건강_중간고사_예상문제
아동기정신건강문제및해결방안
청소년_정신건강문제_성폭력
[흡연][담배][금연][폐암][일산화탄소][담배연기][심혈관계질환][건강]흡연(담배)의 일산화탄...
정신건강론 -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는 정신건강문제를 찾아[보도자료, 신문 등] 이에 대한 ...
영유아기의 정신건강 증진방안과 흔한 정신건강문제
영유아기의 정신건강 증진방안과 흔한 정신건강문제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생각
[정신건강론] 자신의 생애사(영유아기 - 성인기)를 에릭슨의 각 단계의 발달과업과 정신건강...
인간의 발달과정 중 아동기 발달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발달과제와 정신건강문제와의 관련성...
알코올(알콜) 섭취와 건강문제 {술, 음주, 알코올 급원식품, 알코올 흡수와 대사, 알코올 섭...
노인건강문제관리 : 통증이 있는 노인환자의 간호중재
간,담도 및 췌장의 건강문제과 간호, 간의구조, 간의기능, 담도의구조, 담도의기능, 췌장의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