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1. 간의구조
2. 간의기능
3. 담도의구조
4. 담도의기능
5. 췌장의구조
6. 췌장의기능
7. 건강사정
8. 신체검진
9. 임상진단검사
2. 간의기능
3. 담도의구조
4. 담도의기능
5. 췌장의구조
6. 췌장의기능
7. 건강사정
8. 신체검진
9. 임상진단검사
본문내용
Ⅰ. 구조와 기능
1. 간의 구조
체중의 약 2.5%를 차지하며 횡격막 바로 아래 위치한다.
간의 윗부분은 폐에 맞닿아 있고 아랫부분은 위와 장의 지붕을 이룬다.
간은 횡격막과 복벽에 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간낫인대에 의해 오른엽과 왼엽으로 구분된다.
간의 아랫면에는 H자모양의 작은 두엽인 꼬리엽과 네모엽이 있으며 이 두엽의 경계가 되 는 부분은 간문이라 부른다.
간의 기능 단위는 주세포인 간세포로 이루어진 간소엽이다.
간세포는 각각 동모양혈관과 담세관에 접해있다.
<중 략>
5. 췌장의 구조
간 다음으로 큰 소화샘
위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회백색의 장기
췌관을 통해 많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외분비샘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내분비샘
췌관은 많은 체관과 연결되며 결국 총담관과 합쳐서 십이지장에 위치한 담췌장관 팽대로 연결
십이지장의 담췌관 팽대의 oddi조임근은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는 담즙과 췌장액의 방출을 조절
췌장의 동맥혈은 비장동맥 및 상장간막동맥 가지에 의해 공급
1. 간의 구조
체중의 약 2.5%를 차지하며 횡격막 바로 아래 위치한다.
간의 윗부분은 폐에 맞닿아 있고 아랫부분은 위와 장의 지붕을 이룬다.
간은 횡격막과 복벽에 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간낫인대에 의해 오른엽과 왼엽으로 구분된다.
간의 아랫면에는 H자모양의 작은 두엽인 꼬리엽과 네모엽이 있으며 이 두엽의 경계가 되 는 부분은 간문이라 부른다.
간의 기능 단위는 주세포인 간세포로 이루어진 간소엽이다.
간세포는 각각 동모양혈관과 담세관에 접해있다.
<중 략>
5. 췌장의 구조
간 다음으로 큰 소화샘
위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회백색의 장기
췌관을 통해 많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외분비샘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내분비샘
췌관은 많은 체관과 연결되며 결국 총담관과 합쳐서 십이지장에 위치한 담췌장관 팽대로 연결
십이지장의 담췌관 팽대의 oddi조임근은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는 담즙과 췌장액의 방출을 조절
췌장의 동맥혈은 비장동맥 및 상장간막동맥 가지에 의해 공급
추천자료
간담낭췌장 해부생리 문헌고찰
[건강가족]건강가족의 정의(개념) 및 등장 배경 이해, 건강한 가족의 의미와 주요 특징, 이 ...
성인간호학 실습 췌장암(pancreatic cancer)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내과병동 췌장염 (R/O acute pancreatitis) case study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췌장암(pancreatic cancer)
[구조조정][노사관계]구조조정과 노사관계, 구조조정과 노동조합, 구조조정과 노동유연성, 구...
(성인) 급성 췌장염 간호과정
[성인간호학][Pancreatitis][췌장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췌장암][pancreatic cancer]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실습] 급성 췌장염 케이스 Acute pancreatitis case study
[건강가정지원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현황과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건강가정의 개...
방송통신대) 전략적 간호관리 간호학 - 1.건강관리조직(예:병원) 갖는 특성 설명, 2.과학적 ...
가족간호, 가족역할, 가족건강, 가족간호정의, 가족간호실무, 가족간호교육, 가족간호간호사,...
간과 담도계의 구조와 기능 - 간의 구조와 기능, 담도계(담낭과 담즙)의 구조와 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