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담낭췌장 해부생리 문헌고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담낭췌장 해부생리 문헌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간의 구조와 해부생리

2.담낭

3.췌장

본문내용

까이 위치하고 있어 이 부위의 수술은 매우 복잡하다.
내분비샘으로써 췌장의 기능은 혈류 내로 직접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것이고, 외분비샘으로는 췌관을 통해 많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것이다.
췌관(duct of wirsung)은 췌장 꼬리에서 시작하여 머리를 향하여 수평으로 주행하며, 많은 체관과 연결되며 결국 총담관과 합쳐서 십이지장에 위치하는 담췌장관 팽대(ampulla of vater)로 연결된다. 십이지장의 담췌장관 팽대의 oddi조임근은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는 담즙과 췌액의 방출을 조절한다.
부교감신경은 췌장의 내분비 및 외분비 기능을 지배하고 교감신경은 샘세포를 지배하며 효소의 분비를 자극한다.
<췌장의 외분비기능>
췌장은 정상적으로 하루에 1200~1300ml의 췌장액을 생산한다.
췌장의 아밀라제(amylase)는 탄수화물을, 리파제(lipase)는 지방을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가수분해하며, 트립신(trypsin)은 단백질을 분해한다. 따라서 췌장액의 소화 효소들은 음식물의 세가지 중요 구성성분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모두를 소화시킨다.
* 췌장샘의 분비를 자극하는 네가지 요인: 아세틸콜린, 가스트린, 콜레시스토키닌, 세크레틴

키워드

,   담낭,   췌장,   소화기계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11.12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1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