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감대광 반사
한 쪽 동공에 빛을 비추었을 때 반대편 눈에서도 동공이 축소 되는 것, 정상은 양 눈이 동시에 축동
외안근
정상 안구는 외안근의 상호협동으로 한 점을 향하여 양 눈이 동시에 움직이며 시축이 일치
3) 임상진단 검사
(1) 안압측정 : 접촉성(각막에 접촉), 비 접촉계
안압의 정상 범위는 10~21mmHg
접촉성 안압계
Schiotz
각막에서 안압을 측정하는 것
Applanation
각막 구면을 평면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는 것
Tono-pen
각막을 마취하고 측정
시력검사
Snellen의 시력표 : 가장 흔히 사용됨
우선 실내를 고르게 조명하고 환자의 눈높이에 시력표를 건 후 눈가리개나 불투명한 카드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왼쪽 눈을 완전히 가리고 오른 쪽부터 검사
시야검사
중심부 시야는 평면 시야계로 측정하고 중간부와 주변부는 주변 시야계를 이용하여 측정
주변시야의 측정 방법으로는 대면법과 주변 시야계를 이용한 주변시야계법이 있음
굴절검사
모양근 마비성
굴절 이상 검사
굴절력이 실제보다 증가한 환자에게 모양근 마비제를 투여하여 조절력을 감소시켜 눈의 굴절상태를 평가
모양근 비마비성
주로 성인에서 모양근 마비제를 투여하지 않고 시행
검안경검사
검안경으로 망막, 혈관, 시신경유두, 황반 등 눈의 구조 관찰
직상 검안법
안저가 약 15배 확대되어 보이며 환자나 관찰자의 굴절 이상을 교정할 수 있는 렌즈를 끼고 눈 가까이서 관찰
도상 검안법
넒은 안저 시야를 한꺼번에 볼 수 있으나 불과 4~5배밖에 확대되지 않으며 거꾸로 보임.
검사자는 쌍안 도상 검안경을 쓰고 대물렌즈를 환자의 눈 앞에 두고 검사.
세극등 현미경검사
높은 확대율로 눈의 전방을 검사하는데 사용
각막의 상처, 홍채의 염증, 조기 백내장, 전방 등을 쉽게 관찰 할 수 있음
안저 촬영술
특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신경과 시신경 유두부의 모양인 색깔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안저를 검사하는 것
흔히 녹내장 환자에게 시행
안과 방사선검사
X-선 촬영, CT 촬영으로 안와와 두 개 내의 종양이나 염증, 골절, 외안근의 비대 등을 알아 볼 수 있음
(2) 안 기능 검사
결론
우리는 이번 과제에서 눈의 구조와 건강사정을 알 수 있었다. 이번에 알게 된것을 가지고 나중에 ooo 환자가 눈에 검사를 받을 때 그 검사가 어떤 검사인지 알려 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금순 외 .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12. p1659~1664
한 쪽 동공에 빛을 비추었을 때 반대편 눈에서도 동공이 축소 되는 것, 정상은 양 눈이 동시에 축동
외안근
정상 안구는 외안근의 상호협동으로 한 점을 향하여 양 눈이 동시에 움직이며 시축이 일치
3) 임상진단 검사
(1) 안압측정 : 접촉성(각막에 접촉), 비 접촉계
안압의 정상 범위는 10~21mmHg
접촉성 안압계
Schiotz
각막에서 안압을 측정하는 것
Applanation
각막 구면을 평면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는 것
Tono-pen
각막을 마취하고 측정
시력검사
Snellen의 시력표 : 가장 흔히 사용됨
우선 실내를 고르게 조명하고 환자의 눈높이에 시력표를 건 후 눈가리개나 불투명한 카드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왼쪽 눈을 완전히 가리고 오른 쪽부터 검사
시야검사
중심부 시야는 평면 시야계로 측정하고 중간부와 주변부는 주변 시야계를 이용하여 측정
주변시야의 측정 방법으로는 대면법과 주변 시야계를 이용한 주변시야계법이 있음
굴절검사
모양근 마비성
굴절 이상 검사
굴절력이 실제보다 증가한 환자에게 모양근 마비제를 투여하여 조절력을 감소시켜 눈의 굴절상태를 평가
모양근 비마비성
주로 성인에서 모양근 마비제를 투여하지 않고 시행
검안경검사
검안경으로 망막, 혈관, 시신경유두, 황반 등 눈의 구조 관찰
직상 검안법
안저가 약 15배 확대되어 보이며 환자나 관찰자의 굴절 이상을 교정할 수 있는 렌즈를 끼고 눈 가까이서 관찰
도상 검안법
넒은 안저 시야를 한꺼번에 볼 수 있으나 불과 4~5배밖에 확대되지 않으며 거꾸로 보임.
검사자는 쌍안 도상 검안경을 쓰고 대물렌즈를 환자의 눈 앞에 두고 검사.
세극등 현미경검사
높은 확대율로 눈의 전방을 검사하는데 사용
각막의 상처, 홍채의 염증, 조기 백내장, 전방 등을 쉽게 관찰 할 수 있음
안저 촬영술
특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신경과 시신경 유두부의 모양인 색깔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안저를 검사하는 것
흔히 녹내장 환자에게 시행
안과 방사선검사
X-선 촬영, CT 촬영으로 안와와 두 개 내의 종양이나 염증, 골절, 외안근의 비대 등을 알아 볼 수 있음
(2) 안 기능 검사
결론
우리는 이번 과제에서 눈의 구조와 건강사정을 알 수 있었다. 이번에 알게 된것을 가지고 나중에 ooo 환자가 눈에 검사를 받을 때 그 검사가 어떤 검사인지 알려 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금순 외 .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12. p1659~1664
추천자료
여성빈곤과 복지국가의 재구조화
『과학혁명의 구조』에 대한 심리학적 재해석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 개략
백화점 내부 구조 현황과 개선 방향
직무흐름 분석과 조직구조
전통, 구조, 변형 문법의 특징과 차이점
얼굴과 몸의 구조와 이해
현미경의 종류와 구조 및 사용법
국내외 기업의 구조조정 사례에 관한 분석
우리나라 부동산펀드의 구조와 내용
근대의 경제 구조 - 시장경제와 자본주의, 근대 시대별 경제사상 과련 주요 이론
[세계산업 구조변화] 세계 산업질서의 변화(세계산업의 발전과정,역사,발달과정)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으로 구조기능론과 갈등이론을 상호비교하고, 갈등이론이 지역사회복지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