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벌렸을 때 돌출되는 곳이다.
⑫ 영향 : 코 바깥쪽 0.5촌
⑬ 권료 : 눈동자나 끝나는 곳으로 일직선으로 내려와 광대뼈에 위치한다.
⑭ 지창 : 입술 양쪽 끝 0.5촌
⑮ 대영 : 하각전 아래 방향으로 1.3촌
승장 : 아랫입술 밑으로 0.5촌
염천 : 아래턱 밑으로 호결상방
(1) 얼굴 부분별로 내장 기관의 반사구
① 방광 : 이 부분에 뽀루지가 나면 염분, 지방, 치즈나 버터 등의 유제품을 과잉 섭취 해 방광이 병들었다는 신호이다.
② 대장 : 이마에 윤기가 없고 거칠면 대장의 기능에 장애가 발생한 것이다. 단백질과 지방, 당분, 과일, 쥬스, 약 등의 과잉 섭취가 주원인이다. 설사, 우울증 등도 생길 수 있다.
③ 소장 : 이 부분의 색이 붉은 색, 거무스름한 색, 족색 등으로 변하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녹색으로 변할 경우 소장에 종양이 생기거나 발암 물질이 쌓여가고 있다는 신호이다.
④ 비장 · 췌장 : 관자놀이에 혈관이 불거 지거나 핏줄이 서거나 혹은 뾰루지 · 기미가 생기면 비장과 췌장이 악화된 상태이다.
⑤ 간 : 왠지 눈이 시리고 쉽게 피로해지거나 눈썹 위에 긴 주름이 깊게 패어 있다면 기름기 많은 음식을 즐겨 먹어 간이 부었거나 혹은 간이 굳어지고 있다는 신호이다.
⑥ 비장 · 췌장 : 비장과 췌장의 상태가 나빠지면 코의 뿌리 부분에 검푸른 선이 나타 난다. 특히 비장의 상태가 나빠지면 복부팽만감이나 부종을 유발하고 설사를 하게 되며 소변도 시원하게 볼 수 없게 된다.
⑦위 : 콧날의 중심이나 측면이 흰빛을 띠게 되면 위의 기능이 떨어지고 있는 상태이 다. 양배추, 익힌 양파, 호박처럼 단맛이 도는 채소와 순무, 우엉, 차조기, 샐러리, 해초 류, 모시조개, 재첩 등을 섭취하면 상태가 호전된다.
⑧ 심장 : 코의 모공이 넓어져 검은색이 두드러지는 것은 심장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차가운 음식, 단 음식을 많이 먹으면 혈액의 점성이 증가하고 심장에 무리가 간다. 손 발이나 전신에 냉증이 생길 우려도 있다.
⑨ 콩팥 : 눈 밑이 툭 불거진 경우, 눈 밑에 검은 기미가 생긴 경우, 귓바퀴가 보라색 · 노란색 · 붉은색 등으로 변한 경우는 콩팥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⑩ 기관지 : 콧방울에 점, 뾰루지 등의 변화가 나타나면 기관지, 폐에 문제가 발생한 것 이다.
⑪ 폐 : 볼에 붉은 발진, 세로 주름, 하얀 각질, 점이나 기미 등이 나타나면 폐에 이상 이 생긴 것이다. 단 음식, 염분을 과잉 섭취해 혈액의 흐름이 좋지 않게 된 것이 주원 인이다.
⑫ 위 : 윗입술이 마르면 위에 열이 있다는 신호이다. 점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을 과다 섭취한 경우에 생기며, 수포는 단음식이나 과일을 과잉 섭취했을 때 나타난다.
⑬ 대장 : 아랫입술이 지나치게 두툼하다면 대장이 늘어져 있는 상태이다. 변비가 지속 되거나 계속 무른 변이 나오게 되고, 대장풀립 혹은 대장암에 걸리기 쉽다.
⑭ 생식기 : 턱이나 입 주변에 나는 뾰루지는 방광, 생식기가 보내는 경고, 신호이다. 쇠버짐 등의 하얀 반점이 생긴다.
6) 팔과 다리의 혈점
(1) 손의 혈점
(2) 발바닥의 혈점.
(3) 상지의 주요 혈자리
① 합곡혈 - 엄지손가락으로 눌러보면 압통이 강하게 느껴지는 곳입니다. 머리와 얼굴 쪽의 모든질환, 편두통, 치통, 안면마비, 비염, 안구충혈, 소화불량 등에 사용되는 혈자리 이다. 각종 폐질환에도 사용된다.
② 양계혈 - 합곡혈의 약간위에 위치하 며 엄지손가락을 세워 눌렀을 때 오목하게 들어가는 곳이며 두통, 치통, 손목관절염에 사용되는 혈자리이다.
③ 곡지혈 - 팔꿈치를 굽힐때 생기는 주름의 끝에서 안쪽으로 1cm 들어간 곳입니다. 두통, 고혈압, 피부병, 두드러기, 화농성 염증, 반신불구, 심장마비 등에서 사용되는 혈 자리이다.
④ 수삼리혈 - 곡지 아래로 2치 떨어진 곳에 위치합니다. 고혈압, 반신불구, 중풍, 감기 등에 사용되는 혈자리이다.
⑤ 주료, 천정, 곡지 - 주료는 팔을 굽혔을 때 곡지 밖으로 1치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천정은 팔을 굽혔을 때 맨 바깥쪽 부위 눌렀을 때 안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위이다. 곡지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굽혔을때 안쪽으로 1cm 들어간 곳이다. 이들 세혈자리는 손 가락마디가 붓고 통증이 오는 모든 관절염, 팔의 통증에 사용된다.
(4) 하지의 주요혈자리
① 족삼리혈 - 피로회복, 저항력증진, 무병장수의 필수 혈이다. 그밖에 중풍, 좌골신 경통, 신경쇠약등에 사용되는 혈자리이다.
② 삼음교혈 - 뼈마디 안쪽으로 압통이 느껴지는 부위이다. 부인과질환의 특효혈로 월 경불순, 냉대하, 불임증, 자궁내막염에 사용되는 혈자리이다. 또한 발이 찬 사람, 남성생 식기 질환 등에도 사용된다.
③ 태충혈 - 엄지와 둘째발가락 사이의 혈로 간질환에 응용되며 두통, 어지럼증, 인후 통 등에도 사용되는 혈자리이다.
7) 복부의 주요혈자리
① 중완혈 - 배꼽위로 4치상에 위치하며 흉늑각과 배꼽 정중앙을 위치점으로 잡는다. 중완은 위장병 질환의 주요 혈자리이며 식욕부진, 구토, 애역, 복창, 설사, 위궤양, 위하수 등에 사용한다.
② 천추혈 - 배꼽에서 좌/우 양방향으로 약5cm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천추혈은 천기(天氣)와 지기(地氣)가 교차하는 중요부위여서 천추라 했으니 특히 대장질환, 변비, 복통, 장염 등에 사용되는 주요혈이다. 특히 젊은 여성 중 변비, 생리불순, 냉대하 등에도 천추혈에 뜸한다.
③ 중극혈 - 배꼽과 음모가 있는 치골부위를 일직선으로 그어 5등분 했을 때 치골에서 1/5되는 부위로 관원혈에서 1치 아래에 위치한다. 방광계통의 질환에 사용되는 혈자리 로 소변빈삭, 소변불통, 요실금, 요도염, 전립선 비대 등에 사용된다.
④ 관원혈 - 배꼽아래 3치, 곡골위 2치상에 위치하며 관원혈을 자극하게 되면 음경내 의 조직을 강화하므로 정력혈자리로 알려져 있기도 한다. 신장질환, 설사, 월경부조, 유 뇨, 복통, 이질, 폐경 등에도사용되는 혈자리이다.
⑤ 신궐혈 - 배꼽 또는 제중이라고도 하며 직접구와 침은 금하며 간접구만 가능한 혈 자리이다. 급성장염, 만성장염, 만성이질, 장결핵, 수종, 허탈, 사지궐냉 등에 사용되는 혈자리이다.
⑫ 영향 : 코 바깥쪽 0.5촌
⑬ 권료 : 눈동자나 끝나는 곳으로 일직선으로 내려와 광대뼈에 위치한다.
⑭ 지창 : 입술 양쪽 끝 0.5촌
⑮ 대영 : 하각전 아래 방향으로 1.3촌
승장 : 아랫입술 밑으로 0.5촌
염천 : 아래턱 밑으로 호결상방
(1) 얼굴 부분별로 내장 기관의 반사구
① 방광 : 이 부분에 뽀루지가 나면 염분, 지방, 치즈나 버터 등의 유제품을 과잉 섭취 해 방광이 병들었다는 신호이다.
② 대장 : 이마에 윤기가 없고 거칠면 대장의 기능에 장애가 발생한 것이다. 단백질과 지방, 당분, 과일, 쥬스, 약 등의 과잉 섭취가 주원인이다. 설사, 우울증 등도 생길 수 있다.
③ 소장 : 이 부분의 색이 붉은 색, 거무스름한 색, 족색 등으로 변하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녹색으로 변할 경우 소장에 종양이 생기거나 발암 물질이 쌓여가고 있다는 신호이다.
④ 비장 · 췌장 : 관자놀이에 혈관이 불거 지거나 핏줄이 서거나 혹은 뾰루지 · 기미가 생기면 비장과 췌장이 악화된 상태이다.
⑤ 간 : 왠지 눈이 시리고 쉽게 피로해지거나 눈썹 위에 긴 주름이 깊게 패어 있다면 기름기 많은 음식을 즐겨 먹어 간이 부었거나 혹은 간이 굳어지고 있다는 신호이다.
⑥ 비장 · 췌장 : 비장과 췌장의 상태가 나빠지면 코의 뿌리 부분에 검푸른 선이 나타 난다. 특히 비장의 상태가 나빠지면 복부팽만감이나 부종을 유발하고 설사를 하게 되며 소변도 시원하게 볼 수 없게 된다.
⑦위 : 콧날의 중심이나 측면이 흰빛을 띠게 되면 위의 기능이 떨어지고 있는 상태이 다. 양배추, 익힌 양파, 호박처럼 단맛이 도는 채소와 순무, 우엉, 차조기, 샐러리, 해초 류, 모시조개, 재첩 등을 섭취하면 상태가 호전된다.
⑧ 심장 : 코의 모공이 넓어져 검은색이 두드러지는 것은 심장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차가운 음식, 단 음식을 많이 먹으면 혈액의 점성이 증가하고 심장에 무리가 간다. 손 발이나 전신에 냉증이 생길 우려도 있다.
⑨ 콩팥 : 눈 밑이 툭 불거진 경우, 눈 밑에 검은 기미가 생긴 경우, 귓바퀴가 보라색 · 노란색 · 붉은색 등으로 변한 경우는 콩팥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⑩ 기관지 : 콧방울에 점, 뾰루지 등의 변화가 나타나면 기관지, 폐에 문제가 발생한 것 이다.
⑪ 폐 : 볼에 붉은 발진, 세로 주름, 하얀 각질, 점이나 기미 등이 나타나면 폐에 이상 이 생긴 것이다. 단 음식, 염분을 과잉 섭취해 혈액의 흐름이 좋지 않게 된 것이 주원 인이다.
⑫ 위 : 윗입술이 마르면 위에 열이 있다는 신호이다. 점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을 과다 섭취한 경우에 생기며, 수포는 단음식이나 과일을 과잉 섭취했을 때 나타난다.
⑬ 대장 : 아랫입술이 지나치게 두툼하다면 대장이 늘어져 있는 상태이다. 변비가 지속 되거나 계속 무른 변이 나오게 되고, 대장풀립 혹은 대장암에 걸리기 쉽다.
⑭ 생식기 : 턱이나 입 주변에 나는 뾰루지는 방광, 생식기가 보내는 경고, 신호이다. 쇠버짐 등의 하얀 반점이 생긴다.
6) 팔과 다리의 혈점
(1) 손의 혈점
(2) 발바닥의 혈점.
(3) 상지의 주요 혈자리
① 합곡혈 - 엄지손가락으로 눌러보면 압통이 강하게 느껴지는 곳입니다. 머리와 얼굴 쪽의 모든질환, 편두통, 치통, 안면마비, 비염, 안구충혈, 소화불량 등에 사용되는 혈자리 이다. 각종 폐질환에도 사용된다.
② 양계혈 - 합곡혈의 약간위에 위치하 며 엄지손가락을 세워 눌렀을 때 오목하게 들어가는 곳이며 두통, 치통, 손목관절염에 사용되는 혈자리이다.
③ 곡지혈 - 팔꿈치를 굽힐때 생기는 주름의 끝에서 안쪽으로 1cm 들어간 곳입니다. 두통, 고혈압, 피부병, 두드러기, 화농성 염증, 반신불구, 심장마비 등에서 사용되는 혈 자리이다.
④ 수삼리혈 - 곡지 아래로 2치 떨어진 곳에 위치합니다. 고혈압, 반신불구, 중풍, 감기 등에 사용되는 혈자리이다.
⑤ 주료, 천정, 곡지 - 주료는 팔을 굽혔을 때 곡지 밖으로 1치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천정은 팔을 굽혔을 때 맨 바깥쪽 부위 눌렀을 때 안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위이다. 곡지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굽혔을때 안쪽으로 1cm 들어간 곳이다. 이들 세혈자리는 손 가락마디가 붓고 통증이 오는 모든 관절염, 팔의 통증에 사용된다.
(4) 하지의 주요혈자리
① 족삼리혈 - 피로회복, 저항력증진, 무병장수의 필수 혈이다. 그밖에 중풍, 좌골신 경통, 신경쇠약등에 사용되는 혈자리이다.
② 삼음교혈 - 뼈마디 안쪽으로 압통이 느껴지는 부위이다. 부인과질환의 특효혈로 월 경불순, 냉대하, 불임증, 자궁내막염에 사용되는 혈자리이다. 또한 발이 찬 사람, 남성생 식기 질환 등에도 사용된다.
③ 태충혈 - 엄지와 둘째발가락 사이의 혈로 간질환에 응용되며 두통, 어지럼증, 인후 통 등에도 사용되는 혈자리이다.
7) 복부의 주요혈자리
① 중완혈 - 배꼽위로 4치상에 위치하며 흉늑각과 배꼽 정중앙을 위치점으로 잡는다. 중완은 위장병 질환의 주요 혈자리이며 식욕부진, 구토, 애역, 복창, 설사, 위궤양, 위하수 등에 사용한다.
② 천추혈 - 배꼽에서 좌/우 양방향으로 약5cm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천추혈은 천기(天氣)와 지기(地氣)가 교차하는 중요부위여서 천추라 했으니 특히 대장질환, 변비, 복통, 장염 등에 사용되는 주요혈이다. 특히 젊은 여성 중 변비, 생리불순, 냉대하 등에도 천추혈에 뜸한다.
③ 중극혈 - 배꼽과 음모가 있는 치골부위를 일직선으로 그어 5등분 했을 때 치골에서 1/5되는 부위로 관원혈에서 1치 아래에 위치한다. 방광계통의 질환에 사용되는 혈자리 로 소변빈삭, 소변불통, 요실금, 요도염, 전립선 비대 등에 사용된다.
④ 관원혈 - 배꼽아래 3치, 곡골위 2치상에 위치하며 관원혈을 자극하게 되면 음경내 의 조직을 강화하므로 정력혈자리로 알려져 있기도 한다. 신장질환, 설사, 월경부조, 유 뇨, 복통, 이질, 폐경 등에도사용되는 혈자리이다.
⑤ 신궐혈 - 배꼽 또는 제중이라고도 하며 직접구와 침은 금하며 간접구만 가능한 혈 자리이다. 급성장염, 만성장염, 만성이질, 장결핵, 수종, 허탈, 사지궐냉 등에 사용되는 혈자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