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뛰드하우스 브랜드분석과 에뛰드하우스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에뛰드하우스 미래전략제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뛰드하우스 브랜드분석과 에뛰드하우스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에뛰드하우스 미래전략제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에뛰드하우스 브랜드소개

2. 화장품시장 특성

3. 에뛰드하우스의 다양한전략
(1) 차별화전략
(2) 컬러마케팅
(3) 광고전략

4. 에뛰드하우스 SWOT분석

5. 에뛰드하우스 STP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6. 마케팅믹스 4P전략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7. 에뛰드하우스 미래발전방향

본문내용

립스틱, 아이새도우)들이 강한 상품력을 가지고 있음
② 이미지 차별화 : 신뢰와 감각이 공존하는 young brand 라는 브랜드 이미지로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신세대의 까다로운 취향과 감성을 충족시킬만한 다양한 컬러 제품으로 젊고 합리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어필함
positioning map
6. 마케팅믹스 4P전략
(1) Product
위의 사진자료에서 보이듯이, Etude House의 메인컬러는 귀엽고 공주 같은 느낌의 Pink 계열의 색을 사용하고 있다.(물론 보조 색들도 귀엽고 부드러운 느낌의 파스텔 톤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여기에서는 주조색만 언급하기로 하겠다.)
이는 화장품을 사용하는 여성 소비자 누구에게나 있을 법한 ‘공주가 되는 꿈’을 자극하는 것으로, 화장품뿐만 아니라 매장, 인테리어, 지면광고, TV광고 등에서도 요긴하게 쓰이고 있다. 특히 매장 내부 인테리어 소재는 편안하면서도 고급스럽고 여성스러운 분위기를 풍기기 위해 전면 목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컬러는 깔끔해 보이는 White를 사용하고 있다. 이 White는 Pink와 조화됨으로써 매장의 달콤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Pink 계열의 색상을 사용하는 것뿐만이 아니다. 마케팅적으로도, Etude House의 공주님 모시기는 계속된다. Etude 직원들은 레이스가 달린 메이드 룩 Pink Uniform을 입고, ‘공주님, 어서 오세요.’ ‘공주님, 이 제품은 어떠세요?’ 등등, 소비자 내면의 ‘공주가 되는 꿈’을 자극한다. 또한 구체관절 인형이나 인형의 집 같은 소녀 같은 아이템을 전시하기도 하고, 2층으로 구성된 매장을 가지고 있는 매장에서는 ‘사랑의 세레나데’라는 공주들을 위한 깜짝 10분 공연도 하고 있다.
이렇듯 Etude House는 달콤한 색채들과 마케팅으로 여성 소비자의 꿈의 감성을 자극하고 있다.
(2) Price
에뛰드 하우스 같은 경우는 (주) 아모레퍼시픽에서 세컨드 브랜드의 형식으로 내놓은 브랜드이다. 에뛰드는 보통 '미샤', '더 페이스샵'보다 조금 더 젊거나 어린 사람들을 타깃으로 하여 좀 더 저렴한 가격라인을 형성하였다. 고품질의 원료를 사용하는 반면 가격은 저가를 지향하여서 500원부터 최고 28000원으로 다양하며 용긴 포장지의 단가를 줄이고 브랜드숍으로 유통단계를 줄여 저가격에도 충분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었다.
대표적인 제품의 가격들을 알아보자.
산소정화 화이트C 선 파우더 SPF50+/PA+++ 데일리 마스크 스킨 에센스
15,500원 9,500원
프루프10 방수 쥬얼리펜슬 앵두알 맑은 틴트
6,000원 6,000원
(3) Place
일반적으로 화장품가격은 연구개발비, 인건비 등의 제조원가와 제조업체 이익, 마케팅비용, 판촉, 홍보비 등과 대리점, 최종 소매점 등 유통단계의 유통비용 등 복잡한 과정을 거쳐 결정된다. 최저가 브랜드 화장품은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불필요한 유통비용을 없애는 방안을 생각하고 기존의 화장품 유통과는 다른 유통구조를 채택하였다. 기존 유통의 경우에는 제조사-->전문점/백화점/할인점/슈퍼마켓/기타-->소비자에게 이르는 유통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중 전문점은 대리점이나 도매상의 1차 유통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유통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제조사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도매상의 단계를 없애고 제조사에서 소비자로 연결되는 직거래 형태를 취하고 있다.
(4) Promotion
ㆍ화장품 업계 최초 제휴 마케팅을 통한 포인트 서비스, 프린세스 특권 se7en
ㆍ인터넷 쇼핑몰 운영,다양한 이벤트 마련
ㆍ프린세스 데이 이벤트
매월 7일을 프린세스 데이라 하여 기프티콘(할인쿠폰)을 천 원 주고 구입하면 전품목 40%할인을 받을 수 있는 이벤트를 말한다. 즉 평소에는, 제품 구매시 BC카드나 삼성카드로 결제하면서 에뛰드하우스 맴버쉽 ‘프린세스 라이센스’ 카드(OK 캐쉬백 카드 겸용)와 SKT 맴버쉽 카드를 제시하면, 프린세스 포인트 1%, OK 캐쉬백 2%, 해당 신용카드 1% 등 포인트 적립과 동시에 SKT 맴버쉽 포인트 차감으로 최대 10~20%(VIP)까지 할인 받을 수 있다. 이번 ‘프린세스 특권 se7en’을 기획한 에뛰드 전략파트 김종삼 과장은 “모든 고객들의 입맛을 맞추지 못하는 판촉물 증정보다는 고객들이 가지고 있는 카드들을 최대한 이용해서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게 유도하면서 브랜드 컨셉을 녹이는 것”이 핵심전략이라고 밝혔다.
7. 에뛰드하우스 미래발전방향
에뛰드는 1995년 4월, "고품질","합리적인 가격","심플한 디자인","다양한 컬러"라는 4가지 기본 컨셉을 핵심으로 하는 메이크업 전문 브랜드로 태어났다. 에뛰드는 탄생 이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다양한 트랜드를 반영한 실험적이고 감각적인 컬러와 상품을 제안하며 코스메틱 시장을 선도해 오고 있다.
에뛰드 하우스는 저가의 제품을 출시하고 매출을 증가시키기기 위한 비교우의를 점할 수 있는 서비스와 다양한 마케팅 전략 수립하여 저가 화장품시장에서 타 업체에 높은 인지도를 얻고 있지만, 저가의 이미지가 부정적인 이미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시 고급화 전략을 쓰는 것도 기존 고객들의 반발 및 인지부조화가 예상되어 그대로 저가전략을 유지하자니, 저가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더 굳어져갈 상황에 처해있다.
따라서, 에뛰드는 다양한 마케팅 전략과 새로운 상품의 출시들을 통하여 중저가 화장품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는데 점진적인 노력을 꽤해야 할 것이다.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중장기적으로 현대 흐름인 웰빙의 추세에 맞추어 다음과 같은 자연주의적 성향의 고급스런 제품을 출시하여 이미지 개선을 꾀해야 한다. 또한 현재의 서비스 전략을 유지하고 적극적인 CRM 도입을 통해 고급화 이미지를 형성해야 한다.
① 유기농 성분, 천연 성분이 들어있는 제품을 개발, 출시
② 자연주의적 성향의 색감을 사용하여 친환경주의를 보여 주어야 함
③ 광고와 캠페인에서 웰빙 이미지를 부각한다.
④ 중장년층의 웰빙에 대한 인지도가 아직은 낮기 때문에 이를 인식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
⑤ 적극적인 샘플링 + 체계화된 CRM을 마련
⑥ 고령화 사회, 똑똑한 소비자를 겨냥한 상품이 필요
  • 가격4,9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6.11.23
  • 저작시기201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3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