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재무제표 분석
Ⅱ. 비교재무제표 분석
Ⅴ. 수익성비율
Ⅵ. 자산효율성비율
Ⅶ. 레버리지비율
Ⅷ. 유동성비율
Ⅸ. 배당과 관련된 비율
Ⅹ. 결론
Ⅱ. 비교재무제표 분석
Ⅴ. 수익성비율
Ⅵ. 자산효율성비율
Ⅶ. 레버리지비율
Ⅷ. 유동성비율
Ⅸ. 배당과 관련된 비율
Ⅹ. 결론
본문내용
계백화점은 3개년 모두 당좌비율이 10%로 웃돌며 매우 낮은 편이다. 이는 신세계백화점의 단기부채상환능력이 거의 없다는 것으로 판단되며, 흑자도산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신세계백화점은 단기간에 현금화가 가능한 당좌자산을 늘려야한다. 두 기업모두 최근 유동성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유동성이 높은 자산을 늘려야 할 것이다.
Ⅸ. 배당과 관련된 비율
*배당과 관련된 비율
주식회사에서는 최종위험을 주주들이 지게 되므로 주주에 대한 배당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 배당성향
-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
2012년
2013년
2014년
총 배당액
14,973,000
14,973,000
16,125,000
당기순이익
222,748,284
228,638,050
221,182,751
현대백화점㈜
2012
2013
2014
배당성향
6.72%
6.55%
7.29%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백화점㈜
2012
2013
2014
총 배당액
7,376,679
9,835,735
9,839,816
당기순이익
137,919,817
120,288,669
133,412,260
신세계백화점㈜
2012
2013
2014
배당성향
5.35%
8.18%
7.38%
배당성향은 ‘총 배당액/당기순이익’으로 측정한다.'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이다. 배당성향이 높을수록 재무구조에서 배당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기업의 입장에서는 사내 유보되는 자본의 비율이 감소하여 재무 구조 악화의 원인이 된다. 배당성향이 낮다면 기업에 유보되는 이익이 많아 다음 기의 배당증가나 유상증자가 가능하다. 주주의 입장에서는 배당성향이 높을수록 받을 수 있는 배당금이 높아지기 때문에 투자가치가 높다.
지난 5년간의 평균 배당성향 15.1%와 비교해보았을 때 두 기업모두 배당성향이 낮은 편임을 추측할 수 있다. 두 기업모두 평균 7%내외를 웃도는 배당성향을 보이므로, 사내에 유보되는 이익이 많아 다음 기의 주가의 상승이나 무상증자를 기대해 볼 수 있다. 하지만 당기에 주주에게 돌아오는 이익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2. 배당수익률
-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
2012년
2013년
2014년
주당배당액
650
650
700
주가
159,000
161,000
123,000
현대백화점㈜
2012
2013
2014
배당수익률
0.41%
0.40%
0.57%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백화점㈜
2012
2013
2014
주당배당액
1,000
1,000
1,150
주가
218,500
230,500
181,000
신세계백화점㈜
2012
2013
2014
배당수익률
0.46%
0.43%
0.64%
배당수익률은 ‘주당배당액/주가’로 측정한다. 투자자금에 대하여 배당이 어느 정도 되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연간 1주당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눈 값이다. 즉 배당수익률은 실제 투자했을 때 얼마나 수익을 올릴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배당을 평가할 때 주식의 액면금액에 대한 배당률이 아닌 시장가격에 대한 배당수익률을 이용해야 한다. 투자자는 주식투자를 하면 배당수익뿐만 아니라 주식의 시세차익으로 인한 수익도 발생하므로 주식투자수익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 비율을 모두 고려해야 할 것이다.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배당수익률은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2014년 상장 평균 배당수익률이 1.4%로 두 기업 모두 전반적으로 낮은 배당수익률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배당투자로 인한 수익은 기대해보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Ⅹ. 결론
지금까지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재무제표를 분석하여, 여러 방면에서 기업의 재무적 안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비율을 구해보았다. 첫 째로 기업 활동의 최종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수익성비율’에서는 현대백화점이 높은 수치를 보였다. 즉 현대백화점이 기업 활동, 그 중 특히 영업활동이 활발했으며 이로 인하여 많은 이익을 창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회전율을 나타내는 ‘자산효울성비율’에서는 신세계백화점이 현대백화점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즉 이것은 신세계백화점이 자산이나 매입채무의 관리에 있어 현대백화점보다 뛰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세계백화점은 자산이나 부채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을 것이다.
세 번째로 기업의 타인자본 의존도를 나타내는 ‘레버리지 비율’에서는 현대백화점이 신세계백화점보다 나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충분한 자기자본을 보유하고 있어 부채비율도 낮을뿐더러, 부채에 대한 이자를 지급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신세계백화점은 너무 높은 부채의존도를 보이며 이자를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면에서 현대백화점이 훨씬 안정적인 자본구조를 가지고 있다.
네 번째로 기업이 단기에 상환해야 하는 부채에 대한 변제능력을 평가하는 ‘유동성비율’에서는 현대백화점이 신세계백화점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현대백화점은 신세계백화점에 비해 단기에 부채를 갚을 수 있는 유동성 있는 자산을 다량 보유하고 있다. 반면 신세계백화점은 유동성 있는 자산에 비해 많은 부채를 가지고 있어서 흑자도산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면에서 판단했을 때 현대백화점의 재무구조가 신세계백화점보다 훨씬 안정적이라는 판단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주주들에게 돌아오는 이익인 배당금에 대한 ‘배당관련비율’에서는 두 기업 모두 비슷한 수치를 보인다. 두 기업 모두 기업의 이익에 비해 주주에게 많은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재무제표 분석의 모든 비율들을 토대로 투자자들은 ‘현대백화점’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세계백화점에 비해 현대백화점의 재무구조가 훨씬 안정적이며 장기적으로 이익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백화점의 자산효율성이 신세계백화점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이는 단가가 낮은 물건을 높은 값에 판매하여 적은 재고자산으로도 많은 순이익을 낸 것으로 추정이 된다. 또한 가장 최근인 2014년의 PER을 고려해보았을 때 현대백화점의 PER이 더 낮았고, 주가 또한 신세계백화점에 비해 낮았기 때문에 주가의 상승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라 예측된다
Ⅸ. 배당과 관련된 비율
*배당과 관련된 비율
주식회사에서는 최종위험을 주주들이 지게 되므로 주주에 대한 배당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 배당성향
-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
2012년
2013년
2014년
총 배당액
14,973,000
14,973,000
16,125,000
당기순이익
222,748,284
228,638,050
221,182,751
현대백화점㈜
2012
2013
2014
배당성향
6.72%
6.55%
7.29%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백화점㈜
2012
2013
2014
총 배당액
7,376,679
9,835,735
9,839,816
당기순이익
137,919,817
120,288,669
133,412,260
신세계백화점㈜
2012
2013
2014
배당성향
5.35%
8.18%
7.38%
배당성향은 ‘총 배당액/당기순이익’으로 측정한다.'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이다. 배당성향이 높을수록 재무구조에서 배당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기업의 입장에서는 사내 유보되는 자본의 비율이 감소하여 재무 구조 악화의 원인이 된다. 배당성향이 낮다면 기업에 유보되는 이익이 많아 다음 기의 배당증가나 유상증자가 가능하다. 주주의 입장에서는 배당성향이 높을수록 받을 수 있는 배당금이 높아지기 때문에 투자가치가 높다.
지난 5년간의 평균 배당성향 15.1%와 비교해보았을 때 두 기업모두 배당성향이 낮은 편임을 추측할 수 있다. 두 기업모두 평균 7%내외를 웃도는 배당성향을 보이므로, 사내에 유보되는 이익이 많아 다음 기의 주가의 상승이나 무상증자를 기대해 볼 수 있다. 하지만 당기에 주주에게 돌아오는 이익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2. 배당수익률
-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
2012년
2013년
2014년
주당배당액
650
650
700
주가
159,000
161,000
123,000
현대백화점㈜
2012
2013
2014
배당수익률
0.41%
0.40%
0.57%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백화점㈜
2012
2013
2014
주당배당액
1,000
1,000
1,150
주가
218,500
230,500
181,000
신세계백화점㈜
2012
2013
2014
배당수익률
0.46%
0.43%
0.64%
배당수익률은 ‘주당배당액/주가’로 측정한다. 투자자금에 대하여 배당이 어느 정도 되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연간 1주당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눈 값이다. 즉 배당수익률은 실제 투자했을 때 얼마나 수익을 올릴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배당을 평가할 때 주식의 액면금액에 대한 배당률이 아닌 시장가격에 대한 배당수익률을 이용해야 한다. 투자자는 주식투자를 하면 배당수익뿐만 아니라 주식의 시세차익으로 인한 수익도 발생하므로 주식투자수익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 비율을 모두 고려해야 할 것이다.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배당수익률은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2014년 상장 평균 배당수익률이 1.4%로 두 기업 모두 전반적으로 낮은 배당수익률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배당투자로 인한 수익은 기대해보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Ⅹ. 결론
지금까지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재무제표를 분석하여, 여러 방면에서 기업의 재무적 안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비율을 구해보았다. 첫 째로 기업 활동의 최종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수익성비율’에서는 현대백화점이 높은 수치를 보였다. 즉 현대백화점이 기업 활동, 그 중 특히 영업활동이 활발했으며 이로 인하여 많은 이익을 창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회전율을 나타내는 ‘자산효울성비율’에서는 신세계백화점이 현대백화점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즉 이것은 신세계백화점이 자산이나 매입채무의 관리에 있어 현대백화점보다 뛰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세계백화점은 자산이나 부채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을 것이다.
세 번째로 기업의 타인자본 의존도를 나타내는 ‘레버리지 비율’에서는 현대백화점이 신세계백화점보다 나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충분한 자기자본을 보유하고 있어 부채비율도 낮을뿐더러, 부채에 대한 이자를 지급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신세계백화점은 너무 높은 부채의존도를 보이며 이자를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면에서 현대백화점이 훨씬 안정적인 자본구조를 가지고 있다.
네 번째로 기업이 단기에 상환해야 하는 부채에 대한 변제능력을 평가하는 ‘유동성비율’에서는 현대백화점이 신세계백화점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현대백화점은 신세계백화점에 비해 단기에 부채를 갚을 수 있는 유동성 있는 자산을 다량 보유하고 있다. 반면 신세계백화점은 유동성 있는 자산에 비해 많은 부채를 가지고 있어서 흑자도산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면에서 판단했을 때 현대백화점의 재무구조가 신세계백화점보다 훨씬 안정적이라는 판단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주주들에게 돌아오는 이익인 배당금에 대한 ‘배당관련비율’에서는 두 기업 모두 비슷한 수치를 보인다. 두 기업 모두 기업의 이익에 비해 주주에게 많은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재무제표 분석의 모든 비율들을 토대로 투자자들은 ‘현대백화점’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세계백화점에 비해 현대백화점의 재무구조가 훨씬 안정적이며 장기적으로 이익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백화점의 자산효율성이 신세계백화점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이는 단가가 낮은 물건을 높은 값에 판매하여 적은 재고자산으로도 많은 순이익을 낸 것으로 추정이 된다. 또한 가장 최근인 2014년의 PER을 고려해보았을 때 현대백화점의 PER이 더 낮았고, 주가 또한 신세계백화점에 비해 낮았기 때문에 주가의 상승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라 예측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롯데 인터넷 백화점
롯데 현대백화점 비교 / 상권분석
[광고경영]신세계 백화점의 광고전략 분석
신세계 기업분석(신세계 백화점, 이마트 분석)
한국투자신탁과 신세계 백화점의 선도적 마케팅
신세계 백화점의 임금실태 조사
신세계 백화점 마케팅 분석
서비스마케팅-신세계 백화점 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신세계 Sears Elf program 도입 배경과 경쟁우위 & 신세계 백화점의 경쟁우위 선점 전략....
롯데 백화점 분석
신세계 백화점 기업분석
신세계 백화점 마케팅 기획서 - 서울 강남점 -
신세계 백화점(센텀).ppt
신세계 백화점 디져트 매장 차별화를 통한 백화점 차별화마케팅 전략 제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