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신학] 출애굽기 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이스라엘 민족의 번성과 노예 생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약신학] 출애굽기 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이스라엘 민족의 번성과 노예 생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출애굽기 1장 개요
2. 구속사의 전면에 나선이스라엘(1:1-7)
· 선민(選民)을 위한 훈련장으로서의 애굽
3. 이스라엘의 번성과 고난(1:8-14)
·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
4. 바로의 남아(男兒) 살해 정책(1:15-22)
· 영적 유아 학살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있다. 이스라엘의 노예 생활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의 어둡고 불행한 환경은 오히려 우리를 구원하시려고 찾아오시는 하나님의 구원의 빛(시 27:1)을 더욱 찬란하게 느끼도록 만든다.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 같은 이 세상에 홀로 내버려진 것처럼 생각될 때에도 우리를 대면하듯 위로하시는 하나님의 얼굴빛을 바라보며 결코 낙심하지 말아야 한다(민 6:24-26; 시 42:5, 11;43:5).
· 영적 유아 학살
본문에 의하면 택한 백성을 향한 바로의 두려움과 적개심은 극에 달했음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산파를 통해 이스라엘의 유아들을 살해하려고 기도한 일이나 자신의 권력을 남용해 유아를 공개적으로 나일 강에 빠뜨려 죽이라고 명령한 일은 악의 화신인 바로의 강퍅함을 여실히 보여 준다. 그런데 우리는 바로 왕 앞에서 연약한 채로 노출되어 있었던 그 유아들을 통하여 오늘날 우는 사자와 같이 삼킬 자를 찾는 사단(벧전 5:8)의 공격 목표가 되고 있는 우리 자녀들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사단은 이제 교묘한 전술로 어린이들의 영혼을 해치고 있다. 그 계략 중 대표적인 것이 그릇된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 인본주의 교육이다. 물질 만능의 시대 속에 아이들의 교육은 교육학자 이반 일리치의 말처럼 ‘죽어있는 학교’에 맡겨져 있다. 즉,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인격 교육,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존엄한 인간으로서 이 세상과 사회를 아름답게 가꾸는 청지기로 양육하는 교육은 우리 주위에서 찾아보기 힘든지 오래이다. 그대신 힘을 추구하는 방법, 돈을 잘 버는 방법,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온갖 명예와 권력을 추구하는 세속주의적 가치관에 의해 오늘날의 어린이들은 세뇌(洗腦)되고 있다. 이는 우리 시대에 자행되고 있는 또 하나의 영적 유아 살해이며, 현대화에 편승하여 새롭게 대두된 사단의 엄청난 계략이다. 그러므로 이를 방관하는 것은 어린이들을 하나님의 일꾼으로 키워야 할 책임자로서의 성도가 범할 수 있는 최대의 직무유기란 사실을 분명히 깨달아야 한다.
참고문헌
이홍찬 저, 예수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지민 2012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자원부 저, 출애굽기, 한국장로교출판사 2015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출애굽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2003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마틴 로이드 존스 저, 설교와 설교자, 복있는사람 2012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12.29
  • 저작시기201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5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