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전증 등
botropase
inj
1. 성인 1일
: 1~2KU정맥 또는 근육주사 함
출혈, 1차 및 2차 출혈증후군의예방 및 치료(폐출혈, 비출혈, 구강내 출혈, 성기출혈, 신출혈, 창상으로 부터의 출혈 등
과민반응
: 가려움증, 발적, 두드러기, 안면홍조 등
주사부위
: 발진,가려움증, 드물게 주사부위 경결 등
hepadial
T
성인: 1회 1정 1일 3회 매 식전 복용
소화불량, 구역, 구토 등의 증상치료
과량 투여시 설사증상
4. 진단적 검사결과
1. 3월 28일(OP 전)
항 목
정상범위
결과
임상적 의의
수치
↑/↓
ALP
103-335 IU/L
77
↓
뼈, 장, 간, 태반에 분포하는 효소로서 성장기에는 뼈 쪽이 증가하고, 폐쇄성 황달시에는 간 쪽이 증가
direct bilirubin
0.00-0.60mg/dL
0.66
↑
증가 : 황달간염
1) Blood Chemistry
2) Hematology
구분
항목
정상범위
결과
임상적 의의
수치
↑/↓
CBC
MPV
6.0-9.4 fL
10.2
↑
증가 : 골수이상, 혈소판이상, 비장이상
2. 4월 3일(OP 후)
1) Blood Chemistry항 목
정상범위
결과
임상적 의의
수치
↑/↓
T.protein
5.8-8.1 g/dL
5.6
↓
알부민과 글로불린총 단백량을 검사하여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율과 비교하는 것
감소 :
혈장단백의 누출 - 출혈, 궤양, 신증후군
영양결핍 - 영양실조, 악성종양, 악성빈
혈, 당뇨병, 임신중독증 등
간기능 장애 - 간경변, 간암 등
cholesterol
130-220 mg/dL
108
↓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도나 지방대사의 평가, 신증후군, 췌장, 간질환, 갑상선 질환의 보조진단적 검사
감소 : 위의 질환의 위험도 낮음
K
3.8-5.1 mEq/L
3.7
↓
세포의 흥분성 신경조직의 막전압을 유지하는 전해질
감소 : 구토, 설사 하제,이뇨제
5. 대상자 간호과정
간호문제 : 지식부족
주관적(Subj. data)
S1: "수술전 준비해야 되는게 있나요?“
간호진단 : 복강경수술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목표 : 수술 준비에 대한 지식이 충족되었음을 보인다.
간호계획
합리적 근거
진단적
·수술준비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교육적
·수술 전 NPO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탈속옷, 탈금속등의 설명을 한다.
·수술 전 준비사항인 마취질문지를 제공하고 작성할 수 있게 설명을 드린다.
·수술 후의 대한 처치는 수술 후의 처방과 경과를 볼 것이라 설명한다.
간호수행
·마취질문지를 제공하고 설명함
·금식을 교육함
·수술준비의 대한 설명을 드림(탈속옷,탈금속)
평가
·수술준비에 대해서 충분한 설명을 듣고 휴식을 취함
·수술마취질문지를 작성함
1)2016.04.01
간호문제 : 불안
객관적(Obj. data)
주관적(Subj. data)
O1 : 목적없는 손가락 움직임을 보임
O2 : 염려나 근심의 표현을 함
O3 : 경계심이나 조심성이 증가함
O₄ : 강한부정의 표현을 함
(어머니의 질문의 과도하게 흥분하여
“안 무서워”라고 함)
S1 : “수술받고 나면 정말금방 퇴원할 수 있나요?”
간호진단 : 담낭절제 수술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 수술에대한 불안한 정서가 감소된다.
간호계획
합리적 근거
진단적
· 불안의 양상을 사정함
치료적
· 이완요법을 시행한다.
· 대상자에게 자주 마음의 안정을 할 수 있는 말을 한다.
· V/S 체크하며 대상자의 양상을 파악한다.
교육적
· 보호자에게 지지요법을 교육한다.
간호수행
· 대상자에게 V/S을 체크하면서 다시 한번 수술에 대한 지식을 충족시켜주며 다른 수술보다 회복이 빠름을 설명 해주며 안정을 취할 수 있게 함 (by SN)
· 보호자에게 환자가 마음의 안정을 할 수 있게 수술 전 항상 옆에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교육 함
평가
· 수술을 잘 받고 옴
2)2016.04.02
간호문제 : 통증
객관적(Obj. data)
주관적(Subj. data)
O1 : 수술부위에 손을 가져가 타인이 만지지 못하게 방어함
O2 : 찡그린 얼굴표정을 보임
O3 : OP 전 V/S(110/70-72-20-37.3)
OP 후 V/S(130/90-84-20-36.7)
S1 : “수술부위가 너무 아파서 참을 수 없어요”
S2 : “진통제 쫌 놔주세요”
간호진단 : 상복부 절개와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 통증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합리적 근거
진단적
·pain양상 사정함
치료적
·진통제 처방을 확인하여 투여한다.
·전환요법을 시행한다.
·수술부위의 분비물여부 확인한다.
간호수행
·통증양상을 파악하여 진통제 처방을 확인 후 투여함
: prn) DCF 1ⓐ
·side rail을 올려줌(by SN)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 줌(by SN)
·수술부위의 분비물을 파악하였으나 없었음
평가
·통증 호소 없음
·통증이 경감되었다 말함
·진통제 투여 후 침상 안정하고 있음
·한 시간 후 병동 순회 중
Ⅲ. 결론
이번의 담석증 case를 하면서 대상자의 상태나 행동들을 유심히 관찰하던 중 수술 후 환자의 V/S체크를 하면서 환자의 침상위에 stone 놓여져 있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모양과 색 크기를 살펴보면서 아주 진한 흑색을 띄고 있어 처음에는 고콜레스테롤 담석이라고 생각을 하였으나, case의 문헌고찰을 참고하면서 아주진한 흑색을 띄는 것은 색소성담석증이라는 것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번 대상자가 담낭석증의 합병증인 담낭염까지 진단을 받은 상태였기 때문에 색소성담석증이 담도계의염증과관련 있으므로 색소성담석이라는 판단을 할 수가 있었다.
따라서 이번의 담석증 case를 하면서 내가 소홀히 하였던 부분인 문헌고찰을 다시한번 정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러한 담석증case을 바탕으로 다음 담석증대상자간호에 임할 때에 알고 간호를 할 수 있을것 같다.
Ⅳ. 참고문헌
1) 이향련 외. 2008. 성인간호학 I. 현문사 p.499-505
2) 고성희 외. 간호과정의 이해. 현문사
3) 고성희 외.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4) 메딕션 사전
5) 병동 EMR
6) 인터넷사이트 (http://www.druginfo.co.kr)
botropase
inj
1. 성인 1일
: 1~2KU정맥 또는 근육주사 함
출혈, 1차 및 2차 출혈증후군의예방 및 치료(폐출혈, 비출혈, 구강내 출혈, 성기출혈, 신출혈, 창상으로 부터의 출혈 등
과민반응
: 가려움증, 발적, 두드러기, 안면홍조 등
주사부위
: 발진,가려움증, 드물게 주사부위 경결 등
hepadial
T
성인: 1회 1정 1일 3회 매 식전 복용
소화불량, 구역, 구토 등의 증상치료
과량 투여시 설사증상
4. 진단적 검사결과
1. 3월 28일(OP 전)
항 목
정상범위
결과
임상적 의의
수치
↑/↓
ALP
103-335 IU/L
77
↓
뼈, 장, 간, 태반에 분포하는 효소로서 성장기에는 뼈 쪽이 증가하고, 폐쇄성 황달시에는 간 쪽이 증가
direct bilirubin
0.00-0.60mg/dL
0.66
↑
증가 : 황달간염
1) Blood Chemistry
2) Hematology
구분
항목
정상범위
결과
임상적 의의
수치
↑/↓
CBC
MPV
6.0-9.4 fL
10.2
↑
증가 : 골수이상, 혈소판이상, 비장이상
2. 4월 3일(OP 후)
1) Blood Chemistry항 목
정상범위
결과
임상적 의의
수치
↑/↓
T.protein
5.8-8.1 g/dL
5.6
↓
알부민과 글로불린총 단백량을 검사하여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율과 비교하는 것
감소 :
혈장단백의 누출 - 출혈, 궤양, 신증후군
영양결핍 - 영양실조, 악성종양, 악성빈
혈, 당뇨병, 임신중독증 등
간기능 장애 - 간경변, 간암 등
cholesterol
130-220 mg/dL
108
↓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도나 지방대사의 평가, 신증후군, 췌장, 간질환, 갑상선 질환의 보조진단적 검사
감소 : 위의 질환의 위험도 낮음
K
3.8-5.1 mEq/L
3.7
↓
세포의 흥분성 신경조직의 막전압을 유지하는 전해질
감소 : 구토, 설사 하제,이뇨제
5. 대상자 간호과정
간호문제 : 지식부족
주관적(Subj. data)
S1: "수술전 준비해야 되는게 있나요?“
간호진단 : 복강경수술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목표 : 수술 준비에 대한 지식이 충족되었음을 보인다.
간호계획
합리적 근거
진단적
·수술준비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교육적
·수술 전 NPO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탈속옷, 탈금속등의 설명을 한다.
·수술 전 준비사항인 마취질문지를 제공하고 작성할 수 있게 설명을 드린다.
·수술 후의 대한 처치는 수술 후의 처방과 경과를 볼 것이라 설명한다.
간호수행
·마취질문지를 제공하고 설명함
·금식을 교육함
·수술준비의 대한 설명을 드림(탈속옷,탈금속)
평가
·수술준비에 대해서 충분한 설명을 듣고 휴식을 취함
·수술마취질문지를 작성함
1)2016.04.01
간호문제 : 불안
객관적(Obj. data)
주관적(Subj. data)
O1 : 목적없는 손가락 움직임을 보임
O2 : 염려나 근심의 표현을 함
O3 : 경계심이나 조심성이 증가함
O₄ : 강한부정의 표현을 함
(어머니의 질문의 과도하게 흥분하여
“안 무서워”라고 함)
S1 : “수술받고 나면 정말금방 퇴원할 수 있나요?”
간호진단 : 담낭절제 수술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 수술에대한 불안한 정서가 감소된다.
간호계획
합리적 근거
진단적
· 불안의 양상을 사정함
치료적
· 이완요법을 시행한다.
· 대상자에게 자주 마음의 안정을 할 수 있는 말을 한다.
· V/S 체크하며 대상자의 양상을 파악한다.
교육적
· 보호자에게 지지요법을 교육한다.
간호수행
· 대상자에게 V/S을 체크하면서 다시 한번 수술에 대한 지식을 충족시켜주며 다른 수술보다 회복이 빠름을 설명 해주며 안정을 취할 수 있게 함 (by SN)
· 보호자에게 환자가 마음의 안정을 할 수 있게 수술 전 항상 옆에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교육 함
평가
· 수술을 잘 받고 옴
2)2016.04.02
간호문제 : 통증
객관적(Obj. data)
주관적(Subj. data)
O1 : 수술부위에 손을 가져가 타인이 만지지 못하게 방어함
O2 : 찡그린 얼굴표정을 보임
O3 : OP 전 V/S(110/70-72-20-37.3)
OP 후 V/S(130/90-84-20-36.7)
S1 : “수술부위가 너무 아파서 참을 수 없어요”
S2 : “진통제 쫌 놔주세요”
간호진단 : 상복부 절개와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 통증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합리적 근거
진단적
·pain양상 사정함
치료적
·진통제 처방을 확인하여 투여한다.
·전환요법을 시행한다.
·수술부위의 분비물여부 확인한다.
간호수행
·통증양상을 파악하여 진통제 처방을 확인 후 투여함
: prn) DCF 1ⓐ
·side rail을 올려줌(by SN)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 줌(by SN)
·수술부위의 분비물을 파악하였으나 없었음
평가
·통증 호소 없음
·통증이 경감되었다 말함
·진통제 투여 후 침상 안정하고 있음
·한 시간 후 병동 순회 중
Ⅲ. 결론
이번의 담석증 case를 하면서 대상자의 상태나 행동들을 유심히 관찰하던 중 수술 후 환자의 V/S체크를 하면서 환자의 침상위에 stone 놓여져 있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모양과 색 크기를 살펴보면서 아주 진한 흑색을 띄고 있어 처음에는 고콜레스테롤 담석이라고 생각을 하였으나, case의 문헌고찰을 참고하면서 아주진한 흑색을 띄는 것은 색소성담석증이라는 것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번 대상자가 담낭석증의 합병증인 담낭염까지 진단을 받은 상태였기 때문에 색소성담석증이 담도계의염증과관련 있으므로 색소성담석이라는 판단을 할 수가 있었다.
따라서 이번의 담석증 case를 하면서 내가 소홀히 하였던 부분인 문헌고찰을 다시한번 정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러한 담석증case을 바탕으로 다음 담석증대상자간호에 임할 때에 알고 간호를 할 수 있을것 같다.
Ⅳ. 참고문헌
1) 이향련 외. 2008. 성인간호학 I. 현문사 p.499-505
2) 고성희 외. 간호과정의 이해. 현문사
3) 고성희 외.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4) 메딕션 사전
5) 병동 EMR
6) 인터넷사이트 (http://www.druginfo.co.kr)
추천자료
담석증(GB stone) 환자의 Case study
[성인간호학][GB stone][담석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Gallbladder stone)
Gallbladder stone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담석증 복강경 담낭 절제술 (GB stone gall...
[MICU]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 ca...
담석증의 식사요법, 증상, 진단, 담석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담석 GB STONE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ICU) 중환자실) 강추) CRF(Chronic renal failure) _ CASE STUDY , 케이스, 만성신부전, 신부...
Case Study, 만성신부전증, chronic renal failure, CRF, 인공신장실, AKR, 케이스 스터디, ...
COPD :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사례연구,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