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 p. 3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 p. 3~7
Ⅲ. 환자사례--------------------------------- p. 7~19
1. 환자정보
2. 간호사정도구
3. Doctor\'s Order
4. 임상병리검사 결과
5. 특수검사 결과
6. 약물치료
Ⅳ. 간호과정 ------------------------------ p. 19~32
1. 간호문제 & 우선순위
2. 간호진단
Ⅴ. 결 론 ------------------------------------- p. 22
- 실습소감
Ⅵ. 참고문헌 ---------------------------------- p. 22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 p. 3~7
Ⅲ. 환자사례--------------------------------- p. 7~19
1. 환자정보
2. 간호사정도구
3. Doctor\'s Order
4. 임상병리검사 결과
5. 특수검사 결과
6. 약물치료
Ⅳ. 간호과정 ------------------------------ p. 19~32
1. 간호문제 & 우선순위
2. 간호진단
Ⅴ. 결 론 ------------------------------------- p. 22
- 실습소감
Ⅵ. 참고문헌 ---------------------------------- p. 22
본문내용
⑦ 인공호흡기 삽입과 관련된 언어소통 장애
⑧ 금식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영양부족) 위험성
⑨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⑩ 부동과 관련된 욕창위험성
⑪ 의식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2. 간호진단
#1.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사 정
주관적 자료
"숨차요?" 라고 물었을 때
- 힘겹게 고개를 끄덕끄덕... (몸짓으로 말함)
객관적 자료
호흡수가 28회 이상으로 상승됨
SatO2가 88%로 떨어짐
숨을 가쁘게 쉬고 있는 모습이 관찰됨
목 표
단기목표
2시간 내 SatO2 95%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다.
2시간 내 호흡수가 정상범위에 들어올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의 가스교환이 증진되어 인공호흡기를 서서히 떼어낼 수 있을 것이다.
계 획
①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호흡양상을 사정할 것이다.
② SatO2 수치를 확인하고 기록하여 시간에 따른 비교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③ 저산소증의 증상(안절부절, 불안, 빈맥, 혼돈)을 관찰할 것이다.
④ 편안한 자세(sitting position)을 취하도록 하여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산소요구량을 줄일 것이다.
⑤ 기침을 자극시킬 것이다.
⑥ 가스교환장애로 불안해 할 수 있으므로 불안을 덜어드리기 위해 설명해 드릴 것이다.
수 행
① 활력징후를 매 2시간마다 측정하고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② 매 시간마다 SatO2 수치를 확인하고 시간에 따른 비교를 하였다.
③ 저산소증의 증상을 관찰 하였다.
④ sitting position을 취하고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 질 수 있게 휴식을 취하게 하였다.
⑤ 기침을 자극시키며 원활한 호흡을 위해 suction을 시행하였다.
⑥ 불안해할 환자를 위해 매 수행마다 환자에게 설명해 드렸다.
⑦ 필요시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하였다.
평 가
호흡수 21회, HR 96회로 안정되었다.
SatO2가 98%로 유지되었다.
불안의 증상이 완화되고 안정을 되찾았다.
환자가 외관상으로 숨을 가쁘게 쉬지 않는다.
#2. 기도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사 정
주관적 자료
“쿨럭.. 쿨럭..”
가래를 뽑아달라고 손으로 입을 가르키심.
객관적 자료
얼굴이 시뻘게 지면서 호흡하는 데 있어 힘들어하는 것이 관찰됨.
대상자의 HR가 110회 이상으로 측정된다.
SatO2가 88%로 떨어졌다.
호흡수가 25회 이상으로 상승됨.
가래가 끓는 기침소리를 낸다.
기침으로 인해 인공호흡기의 경보음이 들린다.
목 표
단기목표
가래소리가 들리지 않을 것이다.
2시간 내 HR이 정상범위 안에 들 것이다.
2시간 내 SatO2가 95% 이상 측정될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가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대상자는 스스로 기침을 이행하고 가래를 뱉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대상자는 호흡법을 이해하고 수행할 것이다.
계 획
① 호흡횟수, 리듬, 흉곽 확장 등의 호흡양상을 사정할 것이다.
② 효율적인 호흡법과 자세를 교육할 것이다.
③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여 공기의 흐름을 증진 시킨다.
④ 처방된 진해거담제를 투여하여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⑤ suction을 시행한다.
⑥ 매 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하여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⑦ 호흡곤란 증상 호소 시, 반좌위나 좌위를 할 것이다.
⑧ 호흡기 감염으로 인한 증상에 대하여 설명하고 예방하실 수 있도록 교육할 것이다.
수 행
① 활력징후를 매 2시간마다 측정하였다.
② 호흡횟수, 깊이, 호흡음, 분비물 등 호흡양상을 사정 하였다.
③ suction을 시행하였다.
④ 숨이 가쁘다고 호소할 때, 침상을 올려 반좌위 자세를 취하였다.
⑤ 2~4시간마다 Back care를 실시하여 체위를 변경시켜 드렸다.
⑥ 효과적인 기침이 분비물 제거에 좋음을 설명 드리고, 기침과 심호흡을 자주 하도록 격려하였다.
⑦ 필요시,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나 진해거담제를 투여하였다.
⑧ 효율적인 호흡법과 자세를 교육하였다.
- 복식호흡법, 입술 오므리기 호흡법을 교육함
⑨ 호흡기 감염으로 인한 점액증가, 부종, 호흡수 상승 등의 증상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해 드렸다.
평 가
효율적으로 기침을 하여 분비물이 줄어들었다.
suction으로 객담을 제거하여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사라졌다.
SpO2가 98%로 측정되었다.
HR이 80~90회/min으로 돌아왔다.
Ⅴ. 결 론
- 실습소감
사실 처음에는 중환자실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때문에 걱정도 많이 되었지만 막상 실습해보니 중환자실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서 너무 좋았다. 보통은 학생간호사로서 직접 수행 할 수 있는 일이 제한되어있기 마련이지만 내과 중환자실에서는 이제까지 실습하면서 관찰로만 하고 직접 할 수 없던 일도 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많았었기에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중환자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장비와 간호를 책에서 이론적으로 공부했던 내용과 현장과 비교하면서 중환자실에 대한 전반적인 것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Ventilator나 EKG, CVP는 이론상에서 공부할 때는 봐도 봐도 내용이 어렵게만 느껴졌었는데 실제로 자주 관찰하다 보니까 쉽게 이해되었던 것 같다.
그리고 특히, MICU는 주로 pneumonia, COPD의 환자들이 많았기에 그 증상에 대한 관찰을 더 자세히 할 수 있었기에 더 많은 공부가 되었던 것 같다.
갑자기 한순간에 언제 어떻게 상태가 변할지 모르는 것이 중환자실의 환자들이라 정말 작은 것 하나에도 세밀하게 잘 관찰해야하고 늘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자세를 가져야겠다고 생각했다. 무엇보다 드라마에서만 보던 CPR도 현장에서 직접 보게 되어 신기했고 손에 긴장감을 쥐면서 보았다. 이번 중환자실 실습하면서 정말 더 알아야 할 게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열심히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Ⅵ. 참고문헌
-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상편, 현문사
-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하편, 현문사
- 제7판 최신 임상 매뉴얼① 현문사.
- 손정대 외 다수 기본 간호학(하)
- http://www.kimsonline.co.kr (킴스온라인) : 약물참고
⑧ 금식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영양부족) 위험성
⑨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⑩ 부동과 관련된 욕창위험성
⑪ 의식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2. 간호진단
#1.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사 정
주관적 자료
"숨차요?" 라고 물었을 때
- 힘겹게 고개를 끄덕끄덕... (몸짓으로 말함)
객관적 자료
호흡수가 28회 이상으로 상승됨
SatO2가 88%로 떨어짐
숨을 가쁘게 쉬고 있는 모습이 관찰됨
목 표
단기목표
2시간 내 SatO2 95%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다.
2시간 내 호흡수가 정상범위에 들어올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의 가스교환이 증진되어 인공호흡기를 서서히 떼어낼 수 있을 것이다.
계 획
①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호흡양상을 사정할 것이다.
② SatO2 수치를 확인하고 기록하여 시간에 따른 비교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③ 저산소증의 증상(안절부절, 불안, 빈맥, 혼돈)을 관찰할 것이다.
④ 편안한 자세(sitting position)을 취하도록 하여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산소요구량을 줄일 것이다.
⑤ 기침을 자극시킬 것이다.
⑥ 가스교환장애로 불안해 할 수 있으므로 불안을 덜어드리기 위해 설명해 드릴 것이다.
수 행
① 활력징후를 매 2시간마다 측정하고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② 매 시간마다 SatO2 수치를 확인하고 시간에 따른 비교를 하였다.
③ 저산소증의 증상을 관찰 하였다.
④ sitting position을 취하고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 질 수 있게 휴식을 취하게 하였다.
⑤ 기침을 자극시키며 원활한 호흡을 위해 suction을 시행하였다.
⑥ 불안해할 환자를 위해 매 수행마다 환자에게 설명해 드렸다.
⑦ 필요시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하였다.
평 가
호흡수 21회, HR 96회로 안정되었다.
SatO2가 98%로 유지되었다.
불안의 증상이 완화되고 안정을 되찾았다.
환자가 외관상으로 숨을 가쁘게 쉬지 않는다.
#2. 기도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사 정
주관적 자료
“쿨럭.. 쿨럭..”
가래를 뽑아달라고 손으로 입을 가르키심.
객관적 자료
얼굴이 시뻘게 지면서 호흡하는 데 있어 힘들어하는 것이 관찰됨.
대상자의 HR가 110회 이상으로 측정된다.
SatO2가 88%로 떨어졌다.
호흡수가 25회 이상으로 상승됨.
가래가 끓는 기침소리를 낸다.
기침으로 인해 인공호흡기의 경보음이 들린다.
목 표
단기목표
가래소리가 들리지 않을 것이다.
2시간 내 HR이 정상범위 안에 들 것이다.
2시간 내 SatO2가 95% 이상 측정될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가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대상자는 스스로 기침을 이행하고 가래를 뱉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대상자는 호흡법을 이해하고 수행할 것이다.
계 획
① 호흡횟수, 리듬, 흉곽 확장 등의 호흡양상을 사정할 것이다.
② 효율적인 호흡법과 자세를 교육할 것이다.
③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여 공기의 흐름을 증진 시킨다.
④ 처방된 진해거담제를 투여하여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⑤ suction을 시행한다.
⑥ 매 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하여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⑦ 호흡곤란 증상 호소 시, 반좌위나 좌위를 할 것이다.
⑧ 호흡기 감염으로 인한 증상에 대하여 설명하고 예방하실 수 있도록 교육할 것이다.
수 행
① 활력징후를 매 2시간마다 측정하였다.
② 호흡횟수, 깊이, 호흡음, 분비물 등 호흡양상을 사정 하였다.
③ suction을 시행하였다.
④ 숨이 가쁘다고 호소할 때, 침상을 올려 반좌위 자세를 취하였다.
⑤ 2~4시간마다 Back care를 실시하여 체위를 변경시켜 드렸다.
⑥ 효과적인 기침이 분비물 제거에 좋음을 설명 드리고, 기침과 심호흡을 자주 하도록 격려하였다.
⑦ 필요시,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나 진해거담제를 투여하였다.
⑧ 효율적인 호흡법과 자세를 교육하였다.
- 복식호흡법, 입술 오므리기 호흡법을 교육함
⑨ 호흡기 감염으로 인한 점액증가, 부종, 호흡수 상승 등의 증상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해 드렸다.
평 가
효율적으로 기침을 하여 분비물이 줄어들었다.
suction으로 객담을 제거하여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사라졌다.
SpO2가 98%로 측정되었다.
HR이 80~90회/min으로 돌아왔다.
Ⅴ. 결 론
- 실습소감
사실 처음에는 중환자실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때문에 걱정도 많이 되었지만 막상 실습해보니 중환자실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서 너무 좋았다. 보통은 학생간호사로서 직접 수행 할 수 있는 일이 제한되어있기 마련이지만 내과 중환자실에서는 이제까지 실습하면서 관찰로만 하고 직접 할 수 없던 일도 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많았었기에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중환자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장비와 간호를 책에서 이론적으로 공부했던 내용과 현장과 비교하면서 중환자실에 대한 전반적인 것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Ventilator나 EKG, CVP는 이론상에서 공부할 때는 봐도 봐도 내용이 어렵게만 느껴졌었는데 실제로 자주 관찰하다 보니까 쉽게 이해되었던 것 같다.
그리고 특히, MICU는 주로 pneumonia, COPD의 환자들이 많았기에 그 증상에 대한 관찰을 더 자세히 할 수 있었기에 더 많은 공부가 되었던 것 같다.
갑자기 한순간에 언제 어떻게 상태가 변할지 모르는 것이 중환자실의 환자들이라 정말 작은 것 하나에도 세밀하게 잘 관찰해야하고 늘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자세를 가져야겠다고 생각했다. 무엇보다 드라마에서만 보던 CPR도 현장에서 직접 보게 되어 신기했고 손에 긴장감을 쥐면서 보았다. 이번 중환자실 실습하면서 정말 더 알아야 할 게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열심히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Ⅵ. 참고문헌
-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상편, 현문사
-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하편, 현문사
- 제7판 최신 임상 매뉴얼① 현문사.
- 손정대 외 다수 기본 간호학(하)
- http://www.kimsonline.co.kr (킴스온라인) : 약물참고
키워드
추천자료
[맥관계간호] 맥관계의 주요 질환과 간호
호흡기내과(CM) case study, COPD & Pneumonia
상처간호 간호수행 방법 평가
[성인간호학]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간...
[기초간호과학3학년 공통] 스트레스 질환의 발생요인을 설명하고,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기 ...
수술 후 간호 (핵심기본간호술 프로토콜 준비 자료), 수술 후 합병증, PCA관리, 수술 후 통증...
[간호이론D형]압델라의 환자중심간호접근법과 관련해 작성하시오-<주요개념, 만성질환자 1인...
[간호이론 3학년B형]존슨의 7개 행동체계 이론을 정리하고 사례대상자를 선정하여 대상자 사...
STEMI, 심근경색증 케이스 (간호사정, 검사결과, 간호진단, 문헌고찰, 간호계획, 약물조사포함)
정신간호학) 자살과_폭력,_학대_피해자_간호
산소화,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계획,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기록지, SOAPI, 간호평가
[간호학] 만성질환 또는 장애 아동과 가족의 간호
[간호학] 만성질환 관리 재활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