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관계간호] 맥관계의 주요 질환과 간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맥관계간호] 맥관계의 주요 질환과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맥관계의 주요 질환과 간호 >

1. Hypertension(고혈압)
1) 정의
2) 분류
3) 원인
4) 병태
5) 증상과 증후
6) 합병증
7) 진단
8) 성인고혈압의 분류
9) 치료와 간호
(1) 생활양식 수정
(2) 약물요법
(3) 재활교육

2. Arterial Disease(동맥질환)
A.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B.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C. Arterial occulusive disease(동맥 폐색질환)
1) Chronic arterial occulusion
2) Acute arterial occulusion
D. Thromboangitis Obliterans
E. Raynaud's disease(레이노씨 병)
F. Aneurysm

3. 정맥질환(Venous Disease)
- 정맥의 구조와 기능
A. Superficial thrombophlebitis
B. Deep Vein Thrombosis
C. Varicose Vein(정맥류)

4. Lymphatic disease
1)임파부종(lymph edema)
2) 임파선염(lymphadenitis)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옴. 판막기능상실과 지속적인 정맥압 상승으로 표재성 정맥 확장되고 구불거리는 상태로 여성과 50-60대에 흔히 나타남. 장시간 서있는 것이 원인.
Definition
판막의 기능상실과 계속적인 정맥압의 상승으로 인한 표재성 정맥의 확장
구불거리는 상태
30-50세 여성에서 발생빈도 ↑
Classification
a. 원발성 정맥류 - 가족력, 선천적, 정맥벽의 탄력성 상실
b. 속발성 정맥류 - 외상. 폐쇄, 심부정맥 혈전증, 감염 등으로 판막기능 손상
risk factor : valve가 긴장을 받아 vein이 부풀어 오름
a. 오래 서있으면 중력에 의해 valve가 긴장을 받아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가는데 방해를 받음.
b. 선천적으로 정맥벽이 약함.
c. 비만과 임신
d. 혈관의 신축성을 상실한 노인
Symptom
a. large, discolored leg veins
b. cramps in legs
c. pain
Diagnosis
- 시진
- 표재성 심부 정맥의 기능 사정
① 걷는 중에 정맥압의 변화 확인
② Trendelenburg 검사
환자를 눕힌 후 다리를 90도 각도로 올리고 정맥류가 대퇴부로 옮겨가면
대퇴부를 단단히 묶는다. 환자를 일어서게 한 후 대퇴부에 묶어던 것을
풀었을 때 급속히 충혈된다면 정맥 기능부전 의심
③ 정맥관 조영술, 도플러 혈류검사, 혈량 측정 검사
Treatment & Nursing
① 내과적 중재
a. 다리의 탄력성 압력 유지 - elastic stocking
b. 다리의 규칙적 움직임과 운동증진
c. 다리를 상승시킴 - 15~20cm 상승시켜 심장보다 높게
d. 혈행의 방해물을 피할 것 - 거들, 오래 서있거나 앉아 있지 말 것
다리 꼬고 있지 말 것.
e. 비만 예방
f. 약물요법 - 부분적으로 정맥 경화제 주사
(정맥을 차단시켜 혈액이 통과하지 못하게 함)
② 외과적 중재
- 이환된 정맥 결찰 후 복재정맥 내막을 훑어내는 수술(ligation & Stripping)
< postop care >
a. 다리 전체에 탄력성 있는 압력을 유지 - 1주 이상
b. 다리의 규칙적인 운동 -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수술 당일부터 진통제를 복용하고 걷도록
c. leg elevation - venous return 돕기 위해
d. bleeding 관찰 - bandage가 풀어지면 쉽게 출혈되기 때문에 걷기 전에 확인할 것
e. 재발 가능하므로 수술 후에도 수술전의 내과적 치료법을 계속 유지
③ 합병증 사정 - 출혈, 감염, 신경손상
4. Lymphatic disease
-임파계는 조직액이 혈액순환계로 들어오는 통로. 조직액의 양을 조절하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함.
-임파흐름: 모세임파관→임파관→흉관과 우측임파관→쇄골하정맥과 좌우 내경정맥
-임파관에는 판막이 있어 역류 방지하고 임파절에서 임파액이 여과됨
-조직액속의 단백질 분자나 죽은 세포등 모세혈관을 통과할 수 없는 것이 임파계를 통해 혈액으로 회수됨. 조직의 염증시 식균작용
1)임파부종(lymph edema)
신체일부에 단백질의 농도가 상승하여 임파액을 충분히 들여보내지 못하기 때문에 조직에 부종이 초래
▶원인
①임파관이 부족한 경우 ②임파관이 부분, 전체적으로 폐쇄 ③임파액의 부적절한 이동
임파액 정체로 인한 임파관내 압력 증가는 간길강내 단백질 축적, 조직내 교질삼투압 증가, 간질강내 수분 축적. 만성임파울혈의 결과로 섬유화 초래
▶분류
①원발성 임파부종
선천적, 임파관이 없는 경우나 부적절하게 발달된 경우. 여성에게 흔함.
무겁고 둔한 느낌이 있고 통증은 없음. 하지를 올리고 안정하면 부종감소되나 없어지지 않음. 피부가 거칠어지고 부종은 요흔성 아님. 사지가 보기 흉하게 커지고 불편하게 됨
②속발성 임파부종
임파계에 손상이나 폐쇄. 외상 종양 염증 외과적 수술 등
유방암시 광범위한 액와 임파적 절제시
사상충이 임파적과 임파관에 폐쇄 초래
임파종이나 호지킨스 병
▶치료
①물리요법: 정체된 임차액을 보내기 위하여 기계적으로나 손으로 짜내는 것. 수동적 능동적으로 운동, 간헐적 압박하는 공기 펌프기구
②Coumarin요법: 세포간 단백질을 제거하여 부종을 치료
③외과적 치료: 부종이 심한 부위의 피하조직을 제거하는 수술
④지지적 요법: 다리를 15-20cm높이고 자고 꼭맞는 옷을 피하고 자주 몸통쪽으로 마사지, 탄력스타킹 적용과 수분섭취 제한, 상처나 감염주의 등.
⑤경구용 이뇨제 투여
2) 임파선염(lymphadenitis)
임파절은 방어벽으로 작용. 임파선 질환은 보통 염증이나 신생질환, 면역반응으로 초래됨.
▶증상: 임파절이 커지고 압통 및 열감과 붉게 됨. 상처부위에서부터 국소임파절까지 붉은 줄과 홍반. 열과 오한 및 구너태감, 식욕부진 및 발한 등이 정맥질환으로 오인되기도 함.
①급성임파선염
원인: 화농성 균, 비화농성균에 의한 임파절내 백혈구 침윤이나 망상내피조직의 비후 및 부종. 치아나 편도감염과 관련되어 목주위 임파선염 초래. 매독이나 바이러스 감염, 균혈증으로 전신 임파선염.
②만성임파선염
장기간 감염과정으로 임파절이 섬유화된 결체조직으로 대체된 반흔조직. 임파절은 커지고 촉진시 단단하며 압통이나 열감은 없음
▶간호중재: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일차적 감염 치료. 이환된 사지를 올리고 필요시 진통제 투여
▶합병증 → 임파부종 초래
-임파관의 기능장애시 옴. 통증없는 부종이 한쪽이나 양쪽다리에 오고 피부에 착색됨. 봉와직염 가능성이 있음.
-진단은 임파관 조영술. 또한 암을 규명하기 위한 검사가 시행. 임파종은 전립선이나 골반내 암의 첫 증상일 수 있음
-중재: 신체의 피하감염을 감소시키는 임파절이 막혔기 때문에 좋은 위생을 유지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함을 설명하고 심리적 지지
- 참 고 문 헌 -
- 사람해부학 / 김경용 외 7명 / 정문각 / 1988
- 인체생리학 / 소명숙 외 4명 / 고문사 / 2001
- 인체해부학 / 강기선 외 4명 / 고문사 / 2001
- 인체 구조와 기능 Ⅱ / 최명애 외 6명 / 계축문화사 / 2001
- 성인간호학 / 서문자 외 / 수문사 / 2002
- 성인 내.외과 간호학 Ⅲ / 최정신 외 / 형설출판사 / 2004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04.08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