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환자 소개 및 선정 이유
2. 문헌고찰
3. 사정 당시 상태
4. 입원 후 대상자에게 제공된 치료 및 중재
5. 대상자를 사정한 내용제시
- 사정양식에 따라
6. 간호과정
7. 실습 소감
8. 참고문헌
2. 문헌고찰
3. 사정 당시 상태
4. 입원 후 대상자에게 제공된 치료 및 중재
5. 대상자를 사정한 내용제시
- 사정양식에 따라
6. 간호과정
7. 실습 소감
8.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 NRS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기록 한다.
PCA이용방법을 교육한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약 한다.
편안한 체위를 유지한다.
기침, 심호흡, 자세변경 시 통증 부위를 적절히 지지하도록 교육한다.
통증이 경감되면 대안요법을 사용하도록 격려한다.
- 음악이나 호흡과 같은 이완요법 사용
- 독서나 TV를 보는 관심전환요법 사용
통증관리 계획을 세운다. 대상자에게 계획을 설명하고 유인물을 제공한다.
V/S Check를 위해 병실에 방문하여 대상자를 직접 사정했다.(05/09~05/12)DATE / TIME
통증 특성
통증 강도
05/09 14:20
얼얼하고 욱신거림
4
05/10 15:00
얼얼하고 뻐근함
3
05/11 16:00
뻐근함
2
05/12 16:00
찌릿찌릿함
2
통증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특성에 맞는 간호를 수행한다.
수술 당일 PCA를 적용하고 PCA 이용방법을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교육했다. ( 2016/05/09 AM10:20 )
진통제는 신경을 둔하게 해 동통을 완화시키거나 해소한다.
Ketocin IM주사 ( 2016/05/09 )
진통제는 신경을 둔하게 해 동통을 완화시키거나 해소한다.
움직이거나, 기침과 심호흡 시 수술 부위를 베개로 적절히 지지하도록 교육했다. ( 2016/05/09 14:20 )
기침, 심호흡 시 수술부위가 자극 받아 수술 부위에
통증이 가해지거나 수술 부위가 손상 받을 수 있다.
POD#1에 대상자가 POD#0와 달리 V/S Check를 하러 병실에 들어가면 웃어주고, 통증도 점차 줄고 있다는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했다. (2016/05/10 20:30)
관심의 전환을 통해 통증을 경감할 수 있다.
간호평가
단기목표평가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NRS를 이용한 통증강도가 2점 이하로 유지되었다.
05월 11일 NRS를 이용하여 통증을 사정했을 때 대상자는 약간 뻐근하지만 괜찮다고 말했다.
장기목표평가 : 대상자는 퇴원 전 얼굴에서 통증 증상이 보이지 않고, 통증이 없고
편안하다고 스스로 말했으며, 수술 후 2일째 인 5월 10일부터 걸어다니기
시작했다.
05월 12일 20:30 pm에 통증이 많이 줄어들고 편안하다고 스스로 말했고, 05월 10일부터 계속 병동을 ambulation 하였다.
2. 수술 후 위장관 운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
간호진단
수술 후 위장관 운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
주관적자료
객관적 자료
- “배에 가스가 많이 차 있는 것 같고,
대변이 마려워 막상 화장실에 가도
대변이 안나와요. ” (05/11, 14:00)
- “속이 너무 더부룩 하고, 배에서 꾸르륵
하는 소리가 많이 나요” (05/11, 14:00)
- “변 나오게 하는 약 좀 주세요”
(05/11, 14:00)
- “ 에휴, 아직 대변안나왔어요. 나오면
제가 가서 말씀드릴께요” (05/11, 21:00)
- 2016/05/09 Repeat C/S
수술 후 3일 동안 변을 보지 못함
- 좌하복부가 약간 팽만함 (05/11, 14:00)
- 대변 완화제를 요구함 (05/11, 14:00)
목표
대상자는 4일 이내에 1회 이상의 대변을 보게 되어, 장운동이 정상으로 돌아옴을 확인함으로서 속이 더부룩하지 않고 편안하다고 스스로 말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과 과학적근거
대상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한다.
대변완화제를 투여한다.
대상자의 배변 향상을
위한 교육과 계획을 세워
돕는다.
- 적당한 운동을 권장함 :
병동을 30분 정도 천천히
걷도록 교육하고, 30분 운동
후 1시간 정도의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 하루에 한 번 복부 마사지
를 하도록 교육한다.
- 변의가 있을 땐 참지 말고
바로 배변하도록 교육한다.
POD#0는 NPO였고, POD#1는 Foley remove 전까지 INTAKE&OUTTAKE를 기록했다. gas pass 이 후 죽식을 먹을 때 부턴 소변과 대변의 횟수를 대상자에게 물어보았다.
POD#0
NPO
POD#1
Liquid Diet (+) : 미음식이
POD#1 05/10 21:00 pm "gas pass (+)"
-> Soft Diet (+) : 연식, 죽식
POD#2
Soft Diet (+) : 연식, 죽식
POD#3
Soft Diet (+) : 연식, 죽식
05/09 1100cc(in) -> 200cc(out)
1000cc(in) -> 300cc+300cc(out)
05/10 (foley제거후) 소변횟수 4번, 대변횟수 0번
05/11 소변횟수 3번, 대변횟수 0번
05/12 소변횟수 4번, 대변횟수 0번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하여 대상자의 배변 양상을
파악함으로서 알맞은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Agio 1P tid PO (2016년 05월 11일, POD#2)
대변완화제는 변비에 따른 다음 증상의 완화가 있다.
대상자의 배변 향상을 위해 병동을 하루에 4번 30분 정도 천천히 걷는 운동을 하고, 운동 후 1시간 정도의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교육하고 실천하는지 확인했다. (05/11일)
운동은 위장관을 자극시키므로 배변을 촉진시킨다.
변의가 있을 땐 참지 말고 바로 배변하도록 교육했고,
하루에 한 번 복부를 마사지 하도록 교육했다.
수분섭취를 늘리는 것을 권장했다.
복부 마사지는 위장관을 자극시켜 배변을 촉진시키고,
변의가 있는데 참을시 변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4일 이내에 1회 이상의 대변을 보게 되어, 장운동이 정상으로 돌아옴을 확인함
으로서 속이 더부룩하지 않고 편안하다고 스스로 말했다.(05/13)
05/13 07:30 am -> stool pass (+)
- 대상자는 운동을 하고 수분섭취를 하니 소화가 잘 되고, 가스가 차지 않는다고 말했
다.(05/12)
- 대상자는 대변완화제를 더 이상 요구하지 않았다.(05/12)
7. 참고문헌
최신 간호진단 / 홍영혜 외 2명 / 수문사 / 2011.09.20.
여성건강간호학(Ⅱ)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 수문사 / 2012.03.02.
여성건강간호학(Ⅱ) / 유은광 외 / 현문사 / 2008.09.30
- NRS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기록 한다.
PCA이용방법을 교육한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약 한다.
편안한 체위를 유지한다.
기침, 심호흡, 자세변경 시 통증 부위를 적절히 지지하도록 교육한다.
통증이 경감되면 대안요법을 사용하도록 격려한다.
- 음악이나 호흡과 같은 이완요법 사용
- 독서나 TV를 보는 관심전환요법 사용
통증관리 계획을 세운다. 대상자에게 계획을 설명하고 유인물을 제공한다.
V/S Check를 위해 병실에 방문하여 대상자를 직접 사정했다.(05/09~05/12)DATE / TIME
통증 특성
통증 강도
05/09 14:20
얼얼하고 욱신거림
4
05/10 15:00
얼얼하고 뻐근함
3
05/11 16:00
뻐근함
2
05/12 16:00
찌릿찌릿함
2
통증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특성에 맞는 간호를 수행한다.
수술 당일 PCA를 적용하고 PCA 이용방법을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교육했다. ( 2016/05/09 AM10:20 )
진통제는 신경을 둔하게 해 동통을 완화시키거나 해소한다.
Ketocin IM주사 ( 2016/05/09 )
진통제는 신경을 둔하게 해 동통을 완화시키거나 해소한다.
움직이거나, 기침과 심호흡 시 수술 부위를 베개로 적절히 지지하도록 교육했다. ( 2016/05/09 14:20 )
기침, 심호흡 시 수술부위가 자극 받아 수술 부위에
통증이 가해지거나 수술 부위가 손상 받을 수 있다.
POD#1에 대상자가 POD#0와 달리 V/S Check를 하러 병실에 들어가면 웃어주고, 통증도 점차 줄고 있다는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했다. (2016/05/10 20:30)
관심의 전환을 통해 통증을 경감할 수 있다.
간호평가
단기목표평가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NRS를 이용한 통증강도가 2점 이하로 유지되었다.
05월 11일 NRS를 이용하여 통증을 사정했을 때 대상자는 약간 뻐근하지만 괜찮다고 말했다.
장기목표평가 : 대상자는 퇴원 전 얼굴에서 통증 증상이 보이지 않고, 통증이 없고
편안하다고 스스로 말했으며, 수술 후 2일째 인 5월 10일부터 걸어다니기
시작했다.
05월 12일 20:30 pm에 통증이 많이 줄어들고 편안하다고 스스로 말했고, 05월 10일부터 계속 병동을 ambulation 하였다.
2. 수술 후 위장관 운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
간호진단
수술 후 위장관 운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
주관적자료
객관적 자료
- “배에 가스가 많이 차 있는 것 같고,
대변이 마려워 막상 화장실에 가도
대변이 안나와요. ” (05/11, 14:00)
- “속이 너무 더부룩 하고, 배에서 꾸르륵
하는 소리가 많이 나요” (05/11, 14:00)
- “변 나오게 하는 약 좀 주세요”
(05/11, 14:00)
- “ 에휴, 아직 대변안나왔어요. 나오면
제가 가서 말씀드릴께요” (05/11, 21:00)
- 2016/05/09 Repeat C/S
수술 후 3일 동안 변을 보지 못함
- 좌하복부가 약간 팽만함 (05/11, 14:00)
- 대변 완화제를 요구함 (05/11, 14:00)
목표
대상자는 4일 이내에 1회 이상의 대변을 보게 되어, 장운동이 정상으로 돌아옴을 확인함으로서 속이 더부룩하지 않고 편안하다고 스스로 말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과 과학적근거
대상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한다.
대변완화제를 투여한다.
대상자의 배변 향상을
위한 교육과 계획을 세워
돕는다.
- 적당한 운동을 권장함 :
병동을 30분 정도 천천히
걷도록 교육하고, 30분 운동
후 1시간 정도의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 하루에 한 번 복부 마사지
를 하도록 교육한다.
- 변의가 있을 땐 참지 말고
바로 배변하도록 교육한다.
POD#0는 NPO였고, POD#1는 Foley remove 전까지 INTAKE&OUTTAKE를 기록했다. gas pass 이 후 죽식을 먹을 때 부턴 소변과 대변의 횟수를 대상자에게 물어보았다.
POD#0
NPO
POD#1
Liquid Diet (+) : 미음식이
POD#1 05/10 21:00 pm "gas pass (+)"
-> Soft Diet (+) : 연식, 죽식
POD#2
Soft Diet (+) : 연식, 죽식
POD#3
Soft Diet (+) : 연식, 죽식
05/09 1100cc(in) -> 200cc(out)
1000cc(in) -> 300cc+300cc(out)
05/10 (foley제거후) 소변횟수 4번, 대변횟수 0번
05/11 소변횟수 3번, 대변횟수 0번
05/12 소변횟수 4번, 대변횟수 0번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하여 대상자의 배변 양상을
파악함으로서 알맞은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Agio 1P tid PO (2016년 05월 11일, POD#2)
대변완화제는 변비에 따른 다음 증상의 완화가 있다.
대상자의 배변 향상을 위해 병동을 하루에 4번 30분 정도 천천히 걷는 운동을 하고, 운동 후 1시간 정도의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교육하고 실천하는지 확인했다. (05/11일)
운동은 위장관을 자극시키므로 배변을 촉진시킨다.
변의가 있을 땐 참지 말고 바로 배변하도록 교육했고,
하루에 한 번 복부를 마사지 하도록 교육했다.
수분섭취를 늘리는 것을 권장했다.
복부 마사지는 위장관을 자극시켜 배변을 촉진시키고,
변의가 있는데 참을시 변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4일 이내에 1회 이상의 대변을 보게 되어, 장운동이 정상으로 돌아옴을 확인함
으로서 속이 더부룩하지 않고 편안하다고 스스로 말했다.(05/13)
05/13 07:30 am -> stool pass (+)
- 대상자는 운동을 하고 수분섭취를 하니 소화가 잘 되고, 가스가 차지 않는다고 말했
다.(05/12)
- 대상자는 대변완화제를 더 이상 요구하지 않았다.(05/12)
7. 참고문헌
최신 간호진단 / 홍영혜 외 2명 / 수문사 / 2011.09.20.
여성건강간호학(Ⅱ)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 수문사 / 2012.03.02.
여성건강간호학(Ⅱ) / 유은광 외 / 현문사 / 2008.09.30
추천자료
간호진단 60개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 평가 계획 )
NSVD 케이스스터디 여성건강간호학
[간호][가정간호][자가간호][재활간호][정신간호][노인간호][치매간호][간호중재][간호과정]...
[여성간호학 실습 컨퍼런스] 제왕절개 케이스 Case Study
[여성간호실습] 제왕절개(C / Sec : cesarean section)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방통 고위험 모아간호학] 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 간호사 갖출 능력과 태도,역할, 중환아실 ...
투석간호(정의, 목적, 적응증, 종류, 혈액투석, 복막투석, HD, PD, 간호중재, 간호사정, 간호...
★ 지역사회건강 문제와 간호 - 가족건강상태에 대한 탐색, 가족구조 탐색, 가족발달 탐색, 가...
분만3기, 분만4시, 태반박리기, 태반만출기, 만출태반의사정, 분만3기간호중재, 분만3기간호...
2017 기초간호과학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의 특징적인 차이 염증의 형태적분류와 그 예를 제시 ...
[여성간호] 자궁경관염_병태생리 및 치료
[여성간호] 자궁근종_병태생리 및 치료
[여성간호] 자궁내막증식증_병태생리 및 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