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방법
3. 실험 결과
4. 실험 결과 값 분석
5. 결론
2. 실험 방법
3. 실험 결과
4. 실험 결과 값 분석
5. 결론
본문내용
3.85
3.52
3.38
3.23
2.99
2.89
2.81
0.81
0.86
0.90
0.95
0.97
1.02
1.08
1.15
1.21
1.26
1.30
1.36
1.41
1.45
1.51
1.54
1.59
1.66
1.71
1.75
X
[mm]
2.46
2.63
2.97
3.82
5.45
18.65
12.81
9.57
7.64
6.64
6.06
5.59
5.04
4.73
4.39
4.22
4.01
3.78
3.52
3.43
4. 실험 결과 값 분석
- 이번 실험의 결과 값을 분석해 보기 전에 약간 아쉬웠던 점은 실험 장치의 한계로 인하여 주파수 비가 낮아지게 되는 경우 즉, 시스템의 각속도(가속도 센서에 의한 수직 방향의 각속도)가 매우 커지게 되어 무차원 진폭비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여 주파수 비가 0.8에 가까운 값부터 측정하게 되었다. 이는 나중에 주파수 비와 무차원 진폭 그래프를 그릴 때 주파수 비 0과 0.8 사이는 직선 형태로 그려지는 경우가 생기게 되었다. 나머지 값들에 대해서는 주파수 비를 고르게 측정하였고 측정 횟수가 20번이나 되었기 때문에 이론에서 배웠던 유사한 그래프를 그려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실험 결과 값도 기존에 예상했던 (시스템 고유 각속도)과 (편심체 각속도)이 일치하게 되는 주파수 비가 1인 곳에서 무차원 진폭비도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추가한 질량이 크고 편심거리가 먼 경우에는 주파수 비가 1인 곳에서 X(측정변위) 값도 가장 크게 나오는 것을 위의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5. 결론
먼저 이번 실험은 지난 학기에 공부하였던 기계 진동학 수업에서 공부하였던 회전 불균형에 대한 내용에 대한 실험이었습니다. 그렇기에 공부하였던 내용을 한번 더 복습해보고 당시에는 이론으로 계산하여 생각하였던 주파수비와 무차원 진폭비 그래프를 직접 그릴 수 있어서 흥미 있었던 실험이었습니다. 다만 위에서 말했든 실험 장치의 한계로 인하여 주파수 비가 낮은 경우에 대해서 무차원 진폭비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한 것이 아쉬웠지만 시스템 고유 각속도와 편심체 각속도가 일치할 때 크게 진동하는 것을 다시 한번 이번 실험을 통하여 알게 되었습니다. 20번이나 실험을 통해 측정하여서 그래프도 매우 매끄럽게 그려질 수 있었기에 성공적이었던 실험이었다고 생각됩니다.
3.52
3.38
3.23
2.99
2.89
2.81
0.81
0.86
0.90
0.95
0.97
1.02
1.08
1.15
1.21
1.26
1.30
1.36
1.41
1.45
1.51
1.54
1.59
1.66
1.71
1.75
X
[mm]
2.46
2.63
2.97
3.82
5.45
18.65
12.81
9.57
7.64
6.64
6.06
5.59
5.04
4.73
4.39
4.22
4.01
3.78
3.52
3.43
4. 실험 결과 값 분석
- 이번 실험의 결과 값을 분석해 보기 전에 약간 아쉬웠던 점은 실험 장치의 한계로 인하여 주파수 비가 낮아지게 되는 경우 즉, 시스템의 각속도(가속도 센서에 의한 수직 방향의 각속도)가 매우 커지게 되어 무차원 진폭비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여 주파수 비가 0.8에 가까운 값부터 측정하게 되었다. 이는 나중에 주파수 비와 무차원 진폭 그래프를 그릴 때 주파수 비 0과 0.8 사이는 직선 형태로 그려지는 경우가 생기게 되었다. 나머지 값들에 대해서는 주파수 비를 고르게 측정하였고 측정 횟수가 20번이나 되었기 때문에 이론에서 배웠던 유사한 그래프를 그려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실험 결과 값도 기존에 예상했던 (시스템 고유 각속도)과 (편심체 각속도)이 일치하게 되는 주파수 비가 1인 곳에서 무차원 진폭비도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추가한 질량이 크고 편심거리가 먼 경우에는 주파수 비가 1인 곳에서 X(측정변위) 값도 가장 크게 나오는 것을 위의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5. 결론
먼저 이번 실험은 지난 학기에 공부하였던 기계 진동학 수업에서 공부하였던 회전 불균형에 대한 내용에 대한 실험이었습니다. 그렇기에 공부하였던 내용을 한번 더 복습해보고 당시에는 이론으로 계산하여 생각하였던 주파수비와 무차원 진폭비 그래프를 직접 그릴 수 있어서 흥미 있었던 실험이었습니다. 다만 위에서 말했든 실험 장치의 한계로 인하여 주파수 비가 낮은 경우에 대해서 무차원 진폭비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한 것이 아쉬웠지만 시스템 고유 각속도와 편심체 각속도가 일치할 때 크게 진동하는 것을 다시 한번 이번 실험을 통하여 알게 되었습니다. 20번이나 실험을 통해 측정하여서 그래프도 매우 매끄럽게 그려질 수 있었기에 성공적이었던 실험이었다고 생각됩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기계공학실험] Crank-Vibration 실험
동역학 단진자(Simple Pendulum) 실험
[일반물리학실험Ⅰ] 10장. 컴퓨터 화상실험I-단조화운동 (결과레포트)
실험16. 소리굽쇠의 진동수 측정 melde장치
기계역학실험(1자유도,2자유도)
전공실험[동역학 실험]A+
[실험보고서] 광탄성 실험 - 광탄성 실험장치(polariscope)를 사용하여 외력을 받는 물체에 ...
동적흡진실험
측정과 진동측정, 측정과 압력손실측정, 측정과 증기압측정, 측정과 회전수측정, 측정과 배율...
유체역학실험 - 부채의 안정성 실험
파동실험
[일반 물리학 실험] 줄의 파동 실험.ppt
운동해양실험 - Response Amplitude Operator
기계공학응용실험 - 기계시스템 운동의 가시화 결과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