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단모음의 IPA
2. 모음 분류 기준에 따른 단모음의 분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단모음의 IPA
2. 모음 분류 기준에 따른 단모음의 분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IPA를 분류한 것이 나타난다.
Figure 6. 고모음(왼쪽)과 저모음(오른쪽) 발음 시 구강 구조
그렇다면 단모음을 세 가지 모음의 분류 기준에 따라 구분해서 표로 나타내어 보자. 이때 모음의 분류 기준에 따른 단모음의 구분은 다음의 Figure 7과 같다.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Figure 7. 단모음의 분류
Figure 6의 표를 해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모음 ‘ㅐ’는 평순 모음이자 전설 모음이고 저모음이다. 따라서 입술의 모양은 비교적 둥글지 않고, 모음을 발음할 때 혀의 앞부분이 입천장 쪽으로 가까워지고, 입을 상대적으로 크게 벌려서 혀의 위치는 낮다. 한편 모음 ‘ㅜ’는 원순 모음이고, 후설 모임이고, 고모음이다. 따라서 입술의 모양은 둥글고, 모음을 발음할 때 혀의 뒷부분이 올라가고, 모음을 발음할 때 입을 크게 벌리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혀의 위치가 높다.
Ⅲ. 결론
지금까지 단모음의 IPA와 모음 분류 기준에 따른 단모음의 분류를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다룬 내용을 모두 종합해서, 단모음의 IPA를 모음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해보겠다. 그 결과는 다음의 Figure 8과 같다.
Figure 8. 모음 분류 기준에 따른 단모음 IPA의 분류
이제는 마지막으로, 단모음과 단모음의 IPA를 통합하여 모음 분류 기준에 따라 정리해보겠다. 그 결과는 다음의 Figure 9와 같다. ‘l’모음은 평순모음이자 전설모음이고 고모음이다. ‘ㅔ’모음은 평순모임이자 전설모음이고 중모음이다. ‘ㅐ’모음은 평순모음이자 전설모음이자 저모음이다. ‘ㅡ’모음은 평순모음이자 후설모음이자 고모음이다. ‘ㅓ’모음은 평순모음이자 후설모음이자 중모음이다. ‘ㅏ’모음은 평순모음이자 후설모음이자 저모음이다. ‘ㅜ’모음은 원순모음이자 후설모음이자 고모음이다. ‘ㅗ’모음은 원순모음이자 후설모음이자 저모음이다.
Figure 9. 모음 분류 기준에 따른 단모음과 단모음의 IPA의 분류
Ⅳ. 참고문헌
[1] 국립국어원, 표준어 규정
[2] 정윤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의 과제-한국어와 중국어 모음의 대조분석 교수법.”
[3] 이은정, “IPA를 이용한 한국어 표준발음 기호열 생성 = Generation of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using IPA.”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출판석사학위논문, 2006.
Figure 6. 고모음(왼쪽)과 저모음(오른쪽) 발음 시 구강 구조
그렇다면 단모음을 세 가지 모음의 분류 기준에 따라 구분해서 표로 나타내어 보자. 이때 모음의 분류 기준에 따른 단모음의 구분은 다음의 Figure 7과 같다.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Figure 7. 단모음의 분류
Figure 6의 표를 해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모음 ‘ㅐ’는 평순 모음이자 전설 모음이고 저모음이다. 따라서 입술의 모양은 비교적 둥글지 않고, 모음을 발음할 때 혀의 앞부분이 입천장 쪽으로 가까워지고, 입을 상대적으로 크게 벌려서 혀의 위치는 낮다. 한편 모음 ‘ㅜ’는 원순 모음이고, 후설 모임이고, 고모음이다. 따라서 입술의 모양은 둥글고, 모음을 발음할 때 혀의 뒷부분이 올라가고, 모음을 발음할 때 입을 크게 벌리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혀의 위치가 높다.
Ⅲ. 결론
지금까지 단모음의 IPA와 모음 분류 기준에 따른 단모음의 분류를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다룬 내용을 모두 종합해서, 단모음의 IPA를 모음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해보겠다. 그 결과는 다음의 Figure 8과 같다.
Figure 8. 모음 분류 기준에 따른 단모음 IPA의 분류
이제는 마지막으로, 단모음과 단모음의 IPA를 통합하여 모음 분류 기준에 따라 정리해보겠다. 그 결과는 다음의 Figure 9와 같다. ‘l’모음은 평순모음이자 전설모음이고 고모음이다. ‘ㅔ’모음은 평순모임이자 전설모음이고 중모음이다. ‘ㅐ’모음은 평순모음이자 전설모음이자 저모음이다. ‘ㅡ’모음은 평순모음이자 후설모음이자 고모음이다. ‘ㅓ’모음은 평순모음이자 후설모음이자 중모음이다. ‘ㅏ’모음은 평순모음이자 후설모음이자 저모음이다. ‘ㅜ’모음은 원순모음이자 후설모음이자 고모음이다. ‘ㅗ’모음은 원순모음이자 후설모음이자 저모음이다.
Figure 9. 모음 분류 기준에 따른 단모음과 단모음의 IPA의 분류
Ⅳ. 참고문헌
[1] 국립국어원, 표준어 규정
[2] 정윤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의 과제-한국어와 중국어 모음의 대조분석 교수법.”
[3] 이은정, “IPA를 이용한 한국어 표준발음 기호열 생성 = Generation of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using IPA.”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출판석사학위논문, 2006.
추천자료
우리나라 공무원 부정부패의 원인과 문제점 분석 및 대안제시(A+레포트)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 및 대안제시
[아동복지D]아동복지정책 프로그램의 사례를 제시하여 정책의 목표, 현황, 앞으로의 과제를 ...
공직부패의 폐해를 설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
SNS의 활용 사례와 문제점 분석 및 방안 제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에 대한 사례요약 법조항제시
최근 어린이집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아동학대의 발생현황과 원인을 제시하고 예방대책에 대...
사회복지실천모델 중 과제중심모델의 개입과정과 그 적용 사례를 제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지역복지문제를 한 가지 제시하고, 자신이 지역사회 사회복지사...
사회복지법상의 권리구제제도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이에 해당하는 사례를 제시.
사회복지조사의 윤리성에 대하여 서술하고 본인의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하시오. (사회복지조...
입양특례법에 개정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대한 의견을 제시하시오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보장협정을 체결하는 이유를 사례를 제시하고 개인의 의견을 반영하여 ...
다문화가정 정의현황분석과 국내해외정책사례분석및 다문화가정 문제점과 해결방안제언 및 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