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초등교육의 정체 혼미
2. 초등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방법적 태도
3. 초등교육에 대한 기존 인식들의 해체
4. 초등교육의 본질: 탐색적 재구성
5. 초등교육과 중ㆍ고등교육
6. 초등교육론의 과제
2. 초등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방법적 태도
3. 초등교육에 대한 기존 인식들의 해체
4. 초등교육의 본질: 탐색적 재구성
5. 초등교육과 중ㆍ고등교육
6. 초등교육론의 과제
본문내용
등교육과 중ㆍ고등교육
초등교육의 본질적 모습이 드러나려면 중등교육, 고등교육과 구분되는 차별성을 보여주어야 함. 초등교육을 차별화된 모습으로 묘사하려면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의 본질적 모습도 어느 정도 정립되어 있어야 함
고등교육의 지향점: 최신의 지식과 기능을 생산, 이것으로 무장한 전문인을 기르는 것
주체적 학습 역량은 이미 고등교육 이전 단계를 통하여 습득하고 있을 것은 전제 함
내실 있는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적 충실성 < 관련 분야에서의 결과상의 성취
중등교육: 고등교육을 준비하는 단계의 교육으로 중등교육을 통하여 전수되는 지식이나 기능은 고등교육 단계에서 접하게 될 지식이나 기능을 예비하는 것으로 선정되고 조직됨
중등교육을 고등교육을 준비하는 교육이라고만 보면 중등교육으로 마무리한 학생들에게는 부당한 조치
교육사를 통해 보면 중등교육을 고등교육의 준비단계나 고등교육 원리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보면 교과의 가치를 강조하고 교육 활동은 교과를 내면화하는 수단적 위치에 있음 - 성격상 고등교육의 형태에 접근
교육과 교과를 분리하면 중등교육은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과 연계를 이루는 내용들을 통해 학생들의 경험이 성장하도록 하는 데 주의를 집중. 경험의 성장을 가져오는 활동 그 자체에 충실해야 함 - 성격상 초등교육에 접근
중등교육은 초등교육을 통하여 형성된 주체적 학습의 역량과 그러한 역량을 발휘하는 가운데 확인된 학습자의 가능성과 소질의 방향을 전제로 하여 성립됨
6. 초등교육론의 과제
초등교육론은 중등교육론이나 고등교육론으로부터 제대로 분리되어 있지×
교육대학의 교수 대부분이 사범대학에서 교육 받음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교사양성 프로그램 간의 차이점×
⇒ 초등교육론은 이제 막 출범한 미개척지
우리는 초보적 연구 성과라고 하더라도 초등교육론 분야의 연구들을 격려하고 개선을 위한 조언을 제공하고 동시에 초등교육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분명히 해야 함
기존의 교육론, 교과교육론을 아동과 초등학교를 위한 것으로 적절히 번역만 하면 초등교육론이 된다는 생각×
초등교육: 학습의 가치를 알고 이를 추구하면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역량을 형성하는 교육, 그러한 학습의 역량을 다양한 교과, 즉 학습의 소재(素材)에 적용하고 시험하면서 자신에게 잠재된 가능성의 방향을 확인하는 교육
당장 우리는 중등교육과는 구분되는 초등교육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원리, 교수-학습의 방법, 교육적 성장의 평가 원리 등을 마련해야 함
초등교육의 본질적 모습이 드러나려면 중등교육, 고등교육과 구분되는 차별성을 보여주어야 함. 초등교육을 차별화된 모습으로 묘사하려면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의 본질적 모습도 어느 정도 정립되어 있어야 함
고등교육의 지향점: 최신의 지식과 기능을 생산, 이것으로 무장한 전문인을 기르는 것
주체적 학습 역량은 이미 고등교육 이전 단계를 통하여 습득하고 있을 것은 전제 함
내실 있는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적 충실성 < 관련 분야에서의 결과상의 성취
중등교육: 고등교육을 준비하는 단계의 교육으로 중등교육을 통하여 전수되는 지식이나 기능은 고등교육 단계에서 접하게 될 지식이나 기능을 예비하는 것으로 선정되고 조직됨
중등교육을 고등교육을 준비하는 교육이라고만 보면 중등교육으로 마무리한 학생들에게는 부당한 조치
교육사를 통해 보면 중등교육을 고등교육의 준비단계나 고등교육 원리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보면 교과의 가치를 강조하고 교육 활동은 교과를 내면화하는 수단적 위치에 있음 - 성격상 고등교육의 형태에 접근
교육과 교과를 분리하면 중등교육은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과 연계를 이루는 내용들을 통해 학생들의 경험이 성장하도록 하는 데 주의를 집중. 경험의 성장을 가져오는 활동 그 자체에 충실해야 함 - 성격상 초등교육에 접근
중등교육은 초등교육을 통하여 형성된 주체적 학습의 역량과 그러한 역량을 발휘하는 가운데 확인된 학습자의 가능성과 소질의 방향을 전제로 하여 성립됨
6. 초등교육론의 과제
초등교육론은 중등교육론이나 고등교육론으로부터 제대로 분리되어 있지×
교육대학의 교수 대부분이 사범대학에서 교육 받음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교사양성 프로그램 간의 차이점×
⇒ 초등교육론은 이제 막 출범한 미개척지
우리는 초보적 연구 성과라고 하더라도 초등교육론 분야의 연구들을 격려하고 개선을 위한 조언을 제공하고 동시에 초등교육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분명히 해야 함
기존의 교육론, 교과교육론을 아동과 초등학교를 위한 것으로 적절히 번역만 하면 초등교육론이 된다는 생각×
초등교육: 학습의 가치를 알고 이를 추구하면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역량을 형성하는 교육, 그러한 학습의 역량을 다양한 교과, 즉 학습의 소재(素材)에 적용하고 시험하면서 자신에게 잠재된 가능성의 방향을 확인하는 교육
당장 우리는 중등교육과는 구분되는 초등교육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원리, 교수-학습의 방법, 교육적 성장의 평가 원리 등을 마련해야 함
키워드
추천자료
초등학교(학생) 영재교육의 선행연구와 대상자, 초등학교(학생) 영재교육의 운영방법과 심화...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의 내용체계와 기초실태,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사회과교육과정 배경과 특징,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 내용선정과 내용조직, 초등학교 ...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과학교육) 실태,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과학교육) 지도중점과 지도내...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교육과정 변천,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내용, 초등학...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성격과 성취기준,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내용...
체육과(체육교육) 교육과정 개정배경과 개정중점,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 연구사례, 초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성격과 중점내용,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환경조성과 교...
초등학교 1학년 역할놀이학습(역할놀이수업)과 특별활동지도(특별활동교육), 초등학교 1학년 ...
수학과(수학교육) 교육과정 개정배경과 개정중점,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내용체계, 초등...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목표와 이론적 배경,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현황과 문제...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 ...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교과용도서활용과 발문활용,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계산...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 특성과 목표,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 내용, 초등학교 체육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