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짙은갈색, 소변, 회색변, 설사, 지방변 등
가장 특징적인 징후는 통증과 황달임.→통증은 악성 종양의 위치와 관계가 있으며, 황달은 소양증을 동반하기도 함
극심한 통증은 암이 후복강 조직과 신경총 신경근 또는 말초신경이 복잡하게 문합해서 형성하는 신경섬유의 집합을 말함
으로 확장되었을 때 나타남
통증은 대게 상복부나 좌측 늑연골 하부에 나타나 등으로 방사됨→ 주로 음식 섭취와 관련되고 밤에 발생함
췌장의 소화효소 부족으로 소화와 흡수가 좋지 않아서 체중이 감소함
4. 진단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술을 통하여 2cm 이상의 종양을 찾아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진단 영상 기법임
MRI 와 MRCR(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췌장암을 진단하고 단계를 결정하는 데 이용됨
※ERCP란?
내시경과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로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하고 ‘십이지장 유두부’ 라고 하는 작은 구멍을 통하여 담관 및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시겨 담관 및 췌관의 병변을 관찰하는 검사법
진단적 목적이외에도 담췌관계의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한 치료에도 활용
내시경과 방사선 조영길을 이용 담관조영을 통해 담석증이나 담석증 담낭염 환장의 병변위치 폐쇄 결석이나 종양등을 알아보기위한 검사로써 진단 및 치료의 목적으로 시행
역행성 내시경 담관 췌장 조영술(ERCP): 확실한 진단을 내림, 종양표식자를 분석하기 위해 췌장조직이나 분비물을 수집하기도함, 췌장관과 담도계를 볼수 있음.
내시경 초음파: 위 와 십이지장에 내시경을 넣음→ 췌장을 영상화하며 동시에 종양의 세침흡인을 할 수 있음
종양표식자:췌장 선종의 확인과 치료에 대한 반응을 암시
혈관의 침범을 검사하기 위하여 혈관 조영술을 함
암 관련 항원 및 검사수치
CA19-9 (carbohydrate antigen 19-9)
췌장암에서 상승하는 종양표식자로 가장 널리 사용됨
급성과 만성 췌장염, 간염과 담도 폐쇄와 같은 양성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담낭암에서도 상승.
CEA(carcinoembryonic antigen 태아암 항원)
췌장암 뿐만 아니라 대장암에서도 상승함
Elastase 1
효소가 상승함
amylase
수치가 상승함
참고문헌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 Ⅰ, 서울: 수문사.
조경숙 외 (2014), 성인간호학 상, 서울: 현문사.
대한간호협회(2014), 성인간호학.
대한간호협회(2010), 성인간호학.
가장 특징적인 징후는 통증과 황달임.→통증은 악성 종양의 위치와 관계가 있으며, 황달은 소양증을 동반하기도 함
극심한 통증은 암이 후복강 조직과 신경총 신경근 또는 말초신경이 복잡하게 문합해서 형성하는 신경섬유의 집합을 말함
으로 확장되었을 때 나타남
통증은 대게 상복부나 좌측 늑연골 하부에 나타나 등으로 방사됨→ 주로 음식 섭취와 관련되고 밤에 발생함
췌장의 소화효소 부족으로 소화와 흡수가 좋지 않아서 체중이 감소함
4. 진단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술을 통하여 2cm 이상의 종양을 찾아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진단 영상 기법임
MRI 와 MRCR(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췌장암을 진단하고 단계를 결정하는 데 이용됨
※ERCP란?
내시경과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로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하고 ‘십이지장 유두부’ 라고 하는 작은 구멍을 통하여 담관 및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시겨 담관 및 췌관의 병변을 관찰하는 검사법
진단적 목적이외에도 담췌관계의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한 치료에도 활용
내시경과 방사선 조영길을 이용 담관조영을 통해 담석증이나 담석증 담낭염 환장의 병변위치 폐쇄 결석이나 종양등을 알아보기위한 검사로써 진단 및 치료의 목적으로 시행
역행성 내시경 담관 췌장 조영술(ERCP): 확실한 진단을 내림, 종양표식자를 분석하기 위해 췌장조직이나 분비물을 수집하기도함, 췌장관과 담도계를 볼수 있음.
내시경 초음파: 위 와 십이지장에 내시경을 넣음→ 췌장을 영상화하며 동시에 종양의 세침흡인을 할 수 있음
종양표식자:췌장 선종의 확인과 치료에 대한 반응을 암시
혈관의 침범을 검사하기 위하여 혈관 조영술을 함
암 관련 항원 및 검사수치
CA19-9 (carbohydrate antigen 19-9)
췌장암에서 상승하는 종양표식자로 가장 널리 사용됨
급성과 만성 췌장염, 간염과 담도 폐쇄와 같은 양성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담낭암에서도 상승.
CEA(carcinoembryonic antigen 태아암 항원)
췌장암 뿐만 아니라 대장암에서도 상승함
Elastase 1
효소가 상승함
amylase
수치가 상승함
참고문헌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 Ⅰ, 서울: 수문사.
조경숙 외 (2014), 성인간호학 상, 서울: 현문사.
대한간호협회(2014), 성인간호학.
대한간호협회(2010), 성인간호학.
추천자료
간암 간호 사례 연구 - HCC 원인, 병태생리
위암(Gastric Cancer) &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정의 , 증상, 분류, 원인,...
[성인간호학] 고혈압과 췌장암 - 고혈압 (고혈압 정의 및 분류, 원인, 병태생리, 증상과 징후...
성인호흡곤란증후군 (ARDS)
★ 성인간호학 - 당뇨병 ( 당뇨병의 병태생리,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종류, 당뇨병의 진단기...
★ 성인간호학 - 폐렴 ( 정의, 분류, 병태생리, 원인과 위험요인, 발생빈도, 임상증상, 진단, ...
간암 간호 사례 연구 (HCC 원인)
hepatitis, 간염, 간염원인, 간염병태생리, 간염증상, 간염징후, 간염간호, 간염진단, 간염치...
성인간호학) 고혈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