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레위기 17장 개요
2. 생축을 잡는 규례(17:1-9)
3. 피에 대한 금기(17:10-16)
참고문헌
2. 생축을 잡는 규례(17:1-9)
3. 피에 대한 금기(17:10-16)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여기에서 죄에 대한 하나님의 공의와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이중(二重)으로 완전히 충족시킬 수 있는 유일무이(唯一無二)한 한 원리가 생겨났으니 그것이 곧 구약시대 피 제사의 원리로 상징화 되어 나타났던 것이다(16 :10-14; 히 10장). 왜냐하면 피는 '죽음’과 ‘생명’을 동시에 상징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 중 11절은 이 원리를 가장 핵심적으로 시사하고 있는 구절이며 히브리서는 그 생생한 주석이다(히 9:11-23). 따라서 피 제사를 드리는 행위는 희생 제물의 피를 통하여 상징적으로 자신의 죽음을 바치는 것임과 동시에 하나님으로부터 새로운 생명을 보장받는 행위인 것이다. 이처럼 흠없고 순전한 동물의 피를 홀리는 이 피 제사의 원리는 유월절 어린양의 회생 사건에서 계시의 정점을 이루다가 마침내 모든 희생 제물의 실체(實體)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영원히 완성되었다. 한편 죄인인 인간들에게 있어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은 곧 죄의 빚이 청산되었음을 뜻한다. 그리스도께서도 당신의 죽음이 구약시대 모든 피 제사의 영적 성취임을 선언하셨다(마26:26-29; 막 10:45). 이런 의미에서 피 제사의 원리는 하나님의 공의와 하나님의 사랑을 이중으로 충족시키는 대속의 원리이며 동시에 십자가의 원리이다.
참고문헌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김의원 저, 레위기 주석, 기독교문서선교회 2013
정중호 저, 레위기, 한국장로교출판사 2014
존 맥아더 저, 설교론, 부흥과개혁사, 2012
데렉 티드볼 저, 레위기 강해, IVP 2016
본문 중 11절은 이 원리를 가장 핵심적으로 시사하고 있는 구절이며 히브리서는 그 생생한 주석이다(히 9:11-23). 따라서 피 제사를 드리는 행위는 희생 제물의 피를 통하여 상징적으로 자신의 죽음을 바치는 것임과 동시에 하나님으로부터 새로운 생명을 보장받는 행위인 것이다. 이처럼 흠없고 순전한 동물의 피를 홀리는 이 피 제사의 원리는 유월절 어린양의 회생 사건에서 계시의 정점을 이루다가 마침내 모든 희생 제물의 실체(實體)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영원히 완성되었다. 한편 죄인인 인간들에게 있어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은 곧 죄의 빚이 청산되었음을 뜻한다. 그리스도께서도 당신의 죽음이 구약시대 모든 피 제사의 영적 성취임을 선언하셨다(마26:26-29; 막 10:45). 이런 의미에서 피 제사의 원리는 하나님의 공의와 하나님의 사랑을 이중으로 충족시키는 대속의 원리이며 동시에 십자가의 원리이다.
참고문헌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김의원 저, 레위기 주석, 기독교문서선교회 2013
정중호 저, 레위기, 한국장로교출판사 2014
존 맥아더 저, 설교론, 부흥과개혁사, 2012
데렉 티드볼 저, 레위기 강해, IVP 2016
추천자료
[구약신학] 레위기 18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성 도덕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2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성물에 관한 정결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속죄제에 관한 규례 및 그 제물
[구약신학] 레위기 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속죄제 및 속건제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번제에 관한 규례 및 그 제물
[구약신학] 레위기 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소제에 관한 규례 및 그 제물
[구약신학] 레위기 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화목제에 관한 규례 및 그 제물
[구약신학] 레위기 2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종 서원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민수기 28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물과 절기에 관한 규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