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신학] 레위기 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번제에 관한 규례 및 그 제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약신학] 레위기 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번제에 관한 규례 및 그 제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레위기 1장 개요
2. 생축으로 제물을 삼으라는 하나님의 지시(1:1, 2)
3. 번제물이 소일 경우(1:3-9)
4. 번제물이 양이나 염소일 경우(1:10-13)
5. 번제물이 새일 경우(1:14-17)

참고문헌

본문내용

애받아 신앙생활에 시험 드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실제로 가난했던 예수님의 부모 요셉과 마리아는 산결례(産潔禮)로 비둘기 새끼 두 마리를 하나님께 바쳤었다(눅 2:24). 또한 예수님께서는 정성이 담긴 과부의 적은 헌금을 심히 기뻐하셨다(막 12 :41-44). 이러한 사실은 하나님께서 진정으로 기뻐하시는 예물은 어떠한 것이며 동시에 오늘날 우리 성도들이 견지해야 할 헌금 정신 역시 어떠해야 하는지를 잘 깨우쳐 준다.
· 구약의 제사 속에 담긴 예배 정신
구약의 5대 제사는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이다. 각기 독특한 특징과 규례를 가진 이 5대 제사들은 구약 시대 이스라엘 백성들이 죄 많은 인간으로써 거룩하신 하나님과 교제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 구약의 5대 제사 규례는 히브리서 곳곳에 명쾌히 지적되고 있는 바대로 옛(첫) 언약 하의 규례로서(히 8:7; 9:1) 그리스도가 오실 때까지만 적용되는 모형적이고 예표적인 규례였다(히 8:5). 따라서 실체이신 그리스도께서 오신 후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완전 성취된 구약의 제사규례들은 더 이상 신약 시대의 성도들에게 그 문자적 구속력을 가질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비록 신약 시대라 할지라도 구약의 제사 규례들이 가지고 있는 그 법 정신마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각 제사 규례 속에 담긴 법 정신은 오늘날 성도들이 드리는 예배 정신 속으로 복합 승화되어 우리 성도들이 어떠한 마음가짐과 어떠한 삶으로 하나님 앞에 나아가야 할 것인지를 밝히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① 번제에 나타난 바 주님은 우리 성도들이 자신을 십자가 앞에 완전히 죽이는 온전한 희생과 헌신의 자세로 하나님 앞에 나와 예배드리기를 원하신다(롬 12:1, 2; 고전 15:31).
② 소제에 나타난 바 주님은 우리 성도들이 늘 감사하는 마음과 죽도록 충성하는 자세로 하나님 앞에 나와 예배드리기를 원하신다(살전 5:18; 계 2:10).
③ 화목제에 나타난 바 주님은 우리 성도들이 위로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옆으로는 이웃을 진정 사랑하는 마음으로 하나님 앞에 나와 예배드리기를 원하신다(마 22:37-39).
④ 속죄제에 나타난 바 주님은 우리 성도들이 자신의 죄를 깊이 통회하고 진정 자복하는 겸허한 심령으로 오직 당신의 보혈만을 의지하고 하나님 앞에 나와 예배드리기를 원하신다(마 11:28).
⑤ 속건제에 나타난 바 주님은 우리 성도들이 “여호와께서 내게 주신 모든 은혜를 무엇으로 보답할꼬”(시 116:12)하는 빚진 자의 심령, 즉 내가 가진 모든 것을 하나님께 바쳐도 하나님과 이웃에게 빚진 그 빚을 다 갚을 수 없다는 자세로 하나님 앞에 나와 예배드리기를 원하신다(마 18:21-35; 롬 1:14).
참고문헌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김의원 저, 레위기 주석, 기독교문서선교회 2013
정중호 저, 레위기, 한국장로교출판사 2014
존 맥아더 저, 설교론, 부흥과개혁사, 2012
데렉 티드볼 저, 레위기 강해, IVP 2016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1.18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67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