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신학] 민수기 2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바알브올 음행 사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약신학] 민수기 2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바알브올 음행 사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수기 25장 개요
2. 바알브올에 부속된 자들(25:1-5)
3. 비느하스의 공의로운 열심(25:6-18)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에 의해 엮어져 간다는 진리를 명확히 제시해 주고 있다.
· 하나님의 질투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이 당신만을 섬기지 않고 우상에게 눈길을 돌릴 때 극렬히 질투하신다. 이런 질투는 역설적인 것으로서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사랑하는 만큼 그 질투하시는 농도는 짙은 것이다.
따라서 하나님의 질투는 당신의 이중적 속성 곧 사랑과 공의를 함축한 신인동형동성론(Anthropomorphism) 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하나님의 이 같은 이중적 속성은 그분의 역사에서도 그대로 나타나는데 이에 대해 잠언 기자는 "왕은 인자와 진리로 스스로 보호하고 그 위도 인자함으로 말미암아 견고하니라”(잠 20:28)고 표현했다. 실로 하나님께서는 공의가 빠져버린 사랑의 실현을 원치 않으신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권위의 보좌는 공의로 말미암아 견고하게 되기 때문이다(잠언 16:12). 만약 하나님께서 공의를 굽게 하여 죄악을 묵과하신다면 그것은 하나님께서 죄와 타협하는 분으로서 그의 권위에 심각한 도전을 받게 될 것이요 사랑도 마찬가지이다. 즉 그 같은 사랑은 참된 사랑이 아니라 인간을 죽음의 길로 치닫게 내버려 두는 방임(放任)이라 할 수 밖에 없으니 누가 하나님을 가리켜 '사랑의 하나님’이라 하겠는가?
아무튼 본문은 하나님께서 범죄한 당신의 백성들에 대해 공의를 집행하시는 거룩한 모습을 "나의 질투심으로 질투하여”(11절)란 말로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질투’란 죄에 대한 당신의 공의를 나타내시는 표현의 한 수단이며, 또한 당신의 백성들에 대한 사랑의 극적인 표현이라 할 수 있다(출 20:5). 그런데 이와 관련하여 우리가 잊어서는 안 될 한 가지 사실이 있다면 그것은 사랑에 찬 하나님의 질투에는 반드시 그 대상인 인간의 뼈저린 아픔이 수반된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사랑하시되 그 인간의 허물에 대해서는 철저히 물으신다. 이것 없이는 하나님의 사랑이 완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결코 하나님의 질투심에 대해 너무 쉽게 생각하는 폐단은 버려야 한다.
참고문헌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데니스 T. 올슨 저, 민수기(현대성서주석), 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민수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아카데미 2012
게리 버지, 앤드루 힐 저, 베이커 성경주석(구약편), 부흥과개혁사 2016
존 맥아더 저, 맥아더 성경주석, 아비서원 2016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1.18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67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