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민수기 27장 개요
2. 새로 제정된 여자 상속법(27:1-11)
3. 모세를 대신한 지도자 여호수아(27:12-23)
참고문헌
2. 새로 제정된 여자 상속법(27:1-11)
3. 모세를 대신한 지도자 여호수아(27:12-23)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는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진 것으로서, 그 지도자가 하나님의 뜻에 배치되지 않는 이상 그의 권위를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롬 13:1).
한편 모세와 여호수아는 이스라엘의 가나안 입국을 위해 준비된 지도자들이지만, 모세가 이스라엘을 출애굽 시킨 인물이라면 여호수아는 이스라엘을 가나안에 안착시킨 인물이란 점에서 각각 차이가 난다. 이러한 두 사역은 인류를 죄악에서 구출하시고 또한 하늘 가나안으로 인도하여 들이시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한 조화를 이루게 된다(히 3:7-4:11).
· 모세의 죽음이 의미하는 것
모세는 그 죽음에 앞서 하나님으로부터 죽음의 예고를 받는 은혜를 누렸다. 이때 하나님께서 모세의 죽음을 미리 말씀하신 것은 아마도 그에게 자신의 임무를 정리할 기회를 주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그리고 모세는 막상 죽을 때에도 그의 눈이 흐리지 않았고 기력이 쇠하지 않았다(신 34:7). 이것 역시 죽음의 예고와 더불어 최후의 순간까지 보살피시는 하나님의 극진하신 배려로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모세의 죽음은 비록 신 광야의 므리바 물 사건(20: 13)으로 인한 하나님의 징벌로 주어진 것이었으나 일반적인 악인들의 죽옴, 또는 가데스 반역 사건으로 죽어간 이스라엘 구세대의 죽음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즉 그는 인간적인 열심과 혈기로 인해 실수하여 가나안 입국이 불허되었지만 약속의 땅을 멀리서나마 바라볼 수 있는 은혜를 누렸으며 끝내 출애굽의 영웅으로서 찬란한 영광이 약속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모세는 훗날 엘리야와 함께 변화 산상에 나타나 예수 그리스도와 친밀한 교제를 나누었다. 즉 이로써 하나님께서는 모세의 공로를 따라 영광스런 보응을 하고 계심을 보이신 것이다(마 17:1-3; 고전 11:29-32). 이는 결국 하나님께서 각 개인의 행위에 따라 선악 간에 분명한 보응을 하고 계심을 실증적으로 확인시키는 장면이다(고후 5:10). 실로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일꾼들에게 최후의 순간까지, 아니 영원의 세계에까지 보살피시고 책임져 주신다.
참고문헌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데니스 T. 올슨 저, 민수기(현대성서주석), 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민수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아카데미 2012
게리 버지, 앤드루 힐 저, 베이커 성경주석(구약편), 부흥과개혁사 2016
존 맥아더 저, 맥아더 성경주석, 아비서원 2016
한편 모세와 여호수아는 이스라엘의 가나안 입국을 위해 준비된 지도자들이지만, 모세가 이스라엘을 출애굽 시킨 인물이라면 여호수아는 이스라엘을 가나안에 안착시킨 인물이란 점에서 각각 차이가 난다. 이러한 두 사역은 인류를 죄악에서 구출하시고 또한 하늘 가나안으로 인도하여 들이시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한 조화를 이루게 된다(히 3:7-4:11).
· 모세의 죽음이 의미하는 것
모세는 그 죽음에 앞서 하나님으로부터 죽음의 예고를 받는 은혜를 누렸다. 이때 하나님께서 모세의 죽음을 미리 말씀하신 것은 아마도 그에게 자신의 임무를 정리할 기회를 주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그리고 모세는 막상 죽을 때에도 그의 눈이 흐리지 않았고 기력이 쇠하지 않았다(신 34:7). 이것 역시 죽음의 예고와 더불어 최후의 순간까지 보살피시는 하나님의 극진하신 배려로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모세의 죽음은 비록 신 광야의 므리바 물 사건(20: 13)으로 인한 하나님의 징벌로 주어진 것이었으나 일반적인 악인들의 죽옴, 또는 가데스 반역 사건으로 죽어간 이스라엘 구세대의 죽음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즉 그는 인간적인 열심과 혈기로 인해 실수하여 가나안 입국이 불허되었지만 약속의 땅을 멀리서나마 바라볼 수 있는 은혜를 누렸으며 끝내 출애굽의 영웅으로서 찬란한 영광이 약속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모세는 훗날 엘리야와 함께 변화 산상에 나타나 예수 그리스도와 친밀한 교제를 나누었다. 즉 이로써 하나님께서는 모세의 공로를 따라 영광스런 보응을 하고 계심을 보이신 것이다(마 17:1-3; 고전 11:29-32). 이는 결국 하나님께서 각 개인의 행위에 따라 선악 간에 분명한 보응을 하고 계심을 실증적으로 확인시키는 장면이다(고후 5:10). 실로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일꾼들에게 최후의 순간까지, 아니 영원의 세계에까지 보살피시고 책임져 주신다.
참고문헌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데니스 T. 올슨 저, 민수기(현대성서주석), 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민수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아카데미 2012
게리 버지, 앤드루 힐 저, 베이커 성경주석(구약편), 부흥과개혁사 2016
존 맥아더 저, 맥아더 성경주석, 아비서원 2016
추천자료
[구약신학] 창세기 2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이삭에게 축복 받는 야곱
[구약신학] 출애굽기 2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번제단과 성막 뜰의 모형
[구약신학] 민수기 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성막 중심의 진 배치와 진행 순서
[구약신학] 레위기 2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종 서원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민수기 1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부정을 깨끗케 하는 잿물
[구약신학] 민수기 2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2차 인구 조사
[구약신학] 민수기 28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물과 절기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민수기 3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여자의 서원에 관한 제율법
[구약신학] 민수기 3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보완된 여성 상속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