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본론
2) 신장의 해부생리
3) 신장의 기능
4) 병태생리
5) 원인
6) 증상
7) 진단
8) 치료 및 간호
9) 예방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본론
2) 신장의 해부생리
3) 신장의 기능
4) 병태생리
5) 원인
6) 증상
7) 진단
8) 치료 및 간호
9) 예방
본문내용
결석에 겨냥한다. 시술하기 45분 전에 피부의 특정부위에 국소마취 크림을 바른다. 시술하는 동안 심전도를 통해 심장 박동을 관찰하면서 심전동의 R파에 일치시켜 30-45분 동안 1500회 이상의 충격파가 필요할 수도 있다. 부정맥이 생기는지 심전도를 모니터하면 투시촬영을 통해 결석이 파괴되는 것을 계속 관찰한다. 쇄석술 후 결석 파편들의 배출을 확인하기 위해 소변을 거른다. 체외충격파 쇄석술 후 시술 한쪽의 옆구리에 약간의 멍이 생길 수 있다. 때로 결석 파편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ESWL을 하기 전 요관에 스턴트를 설치한다. Cystine 결석은 일반적으로 ESWL이 효과가 없다.
(6) 경피적 쇄석술(Percutaneous Nephro Lithotomy, PNL)
결석 지름이 2cm 이상인 경우 시행한다. 형광투시 검사/초음파검사 하에서 바늘을 삽입한다. guidewire를 신장 골반 또는 요관으로 진행시킨다. 확장기나 고압풍선 확장기로 요관을 확장시켜 신장경을 삽입 할 수 있게 한다. 결석은 신장경을 통해 전달된 수력충격 파동이나 레이저로 부수고, forcep, grasper, basket을 사용하여 제거한다. ESWL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이 있다. 크기가 비교적 큰 결석의 경우 마취상태에서 방사선과 초음파 하에서 시행한다. 신장루관 삽입하여 소변 배액 유도한다.
(7) 개복수술
피부를 절개하여 신장, 요관을 열고 요로를 통과하지 못하는 결석을 외과적 수술로 제거한다. 단점으로는 수술 후 통증, 출혈, 신 손상 등의 합병증, 흉터(불가피한 경우에만 시행 함)
(8) 복강경 요관결석제거술
다른 방법으로 결석을 제거하지 못하거나 요관이나 신장에 대한 영구적 손상 위험이 있을 때 수술을 한다.
- 개방형 요관결석제거술(open ureterolithotomy) : 요관을 통해
- 신우 결석제거술(pyelolithotomy) : 신우를 통해
- 신결석제거술(nephrolithotomy) : 신장을 통해
9) 예방
요로 결석 환자는 평소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에는 수분 섭취량을 늘리는 것이 좋다. 적절한 식이요법은 결석 예방과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된다.
일단 하루 2ℓ이상의 수분 섭취는 기본이다. 그다음은 염분 섭취를 줄여야 한다. 염분은 소변에 칼슘양을 증가시키고 결석을 억제하는 구연산을 감소시키므로 반드시 줄여야 한다. 소변에 수산화나트륨을 증가시키는 시금치, 땅콩, 초콜릿, 홍차, 양배추, 파, 부추, 딸기, 당근 등은 되도록 피한다. 결석 성분이 수산칼슘인 환자라면 비타민 C 복용도 금지해야 한다. 단백질을 많이 함유한 쇠고기, 돼지고기, 닭, 생선은 가급적 피하는 게 좋다.
이미 결석을 앓은 환자라면 칼슘 섭취 제한은 오히려 재발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음식을 통해 칼슘을 충분히 섭취하는 게 좋다. 하지만 칼슘이 든 약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칼슘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저지방 요구르트, 밀크셰이크, 피자, 치즈, 우유, 연어, 버섯, 아이스크림, 굴, 옥수수빵 등이다. 결석 형성을 억제하는 오렌지, 자몽, 귤, 포도 같은 시큼한 과일이나 주스를 많이 먹는 것도 도움이 되고 오렌지 주스가 레모네이드나 다른 감귤류 과일 주스 보다 더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신결석은 재발이 빈번하므로 이러한 재발방지가 매우 중요하다. 그 방법으로는 첫째, 결석성분을 분석하고 고칼슘뇨, 고요산뇨 등의 가능한 원인을 치료하고 둘째, 신결석을 조장하는 요저류, 감염, 와상(immobilization), 요량감소와 같은 요인을 제거하며 우유나 차를 제외한 하루에 3리터 이상의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6) 경피적 쇄석술(Percutaneous Nephro Lithotomy, PNL)
결석 지름이 2cm 이상인 경우 시행한다. 형광투시 검사/초음파검사 하에서 바늘을 삽입한다. guidewire를 신장 골반 또는 요관으로 진행시킨다. 확장기나 고압풍선 확장기로 요관을 확장시켜 신장경을 삽입 할 수 있게 한다. 결석은 신장경을 통해 전달된 수력충격 파동이나 레이저로 부수고, forcep, grasper, basket을 사용하여 제거한다. ESWL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이 있다. 크기가 비교적 큰 결석의 경우 마취상태에서 방사선과 초음파 하에서 시행한다. 신장루관 삽입하여 소변 배액 유도한다.
(7) 개복수술
피부를 절개하여 신장, 요관을 열고 요로를 통과하지 못하는 결석을 외과적 수술로 제거한다. 단점으로는 수술 후 통증, 출혈, 신 손상 등의 합병증, 흉터(불가피한 경우에만 시행 함)
(8) 복강경 요관결석제거술
다른 방법으로 결석을 제거하지 못하거나 요관이나 신장에 대한 영구적 손상 위험이 있을 때 수술을 한다.
- 개방형 요관결석제거술(open ureterolithotomy) : 요관을 통해
- 신우 결석제거술(pyelolithotomy) : 신우를 통해
- 신결석제거술(nephrolithotomy) : 신장을 통해
9) 예방
요로 결석 환자는 평소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에는 수분 섭취량을 늘리는 것이 좋다. 적절한 식이요법은 결석 예방과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된다.
일단 하루 2ℓ이상의 수분 섭취는 기본이다. 그다음은 염분 섭취를 줄여야 한다. 염분은 소변에 칼슘양을 증가시키고 결석을 억제하는 구연산을 감소시키므로 반드시 줄여야 한다. 소변에 수산화나트륨을 증가시키는 시금치, 땅콩, 초콜릿, 홍차, 양배추, 파, 부추, 딸기, 당근 등은 되도록 피한다. 결석 성분이 수산칼슘인 환자라면 비타민 C 복용도 금지해야 한다. 단백질을 많이 함유한 쇠고기, 돼지고기, 닭, 생선은 가급적 피하는 게 좋다.
이미 결석을 앓은 환자라면 칼슘 섭취 제한은 오히려 재발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음식을 통해 칼슘을 충분히 섭취하는 게 좋다. 하지만 칼슘이 든 약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칼슘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저지방 요구르트, 밀크셰이크, 피자, 치즈, 우유, 연어, 버섯, 아이스크림, 굴, 옥수수빵 등이다. 결석 형성을 억제하는 오렌지, 자몽, 귤, 포도 같은 시큼한 과일이나 주스를 많이 먹는 것도 도움이 되고 오렌지 주스가 레모네이드나 다른 감귤류 과일 주스 보다 더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신결석은 재발이 빈번하므로 이러한 재발방지가 매우 중요하다. 그 방법으로는 첫째, 결석성분을 분석하고 고칼슘뇨, 고요산뇨 등의 가능한 원인을 치료하고 둘째, 신결석을 조장하는 요저류, 감염, 와상(immobilization), 요량감소와 같은 요인을 제거하며 우유나 차를 제외한 하루에 3리터 이상의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