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줄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방법
3) 일반적 간호
(1) 환자와 체위
- 앙와위로 눕히고 손상 부위에 불필요한 긴장이 가지 않도록 함
(2) 대항 견인 유지
- 대항견인 : 치료적 견인력에 대응하여 환자가 침대 밑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치 료적 견인력의 분산을 막기위한 것
- 대항견인력을 위해 침상발치나 환자의 무릎을 상승 시킴 (침대 발치를 올려주거나 나무 발판을 이용하여 침대 다리 밑을 높여줌)
- 대항견인을 유지하기 위해 환자의 등을 올릴 때 침대의 각도가 20도보다 높지 않도록 함
(3) 마찰
- 견인장치의 추나 줄에 마찰이 있으면 견인력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추의 당김이 방해받음
- 발판이나 견인줄 연결자이가 침대에 닿지 않도록 하고, 추가 땅에 닿지 않도록 함
- 침상 가운이나 홑이불이 견인줄에 끼지 않도록 함
(4) 견인의 계속성
- 처방 없이는 절대 제거하지 않고 견인줄이나 도르레가 빠져 있는지 계속 확인함
(5) 견인줄
- 견인줄은 항상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함
(6) 운동과 감각상태에 대한 관찰
- 혈액순환과 운동감각을 파악하기 위해 환자의 피부색, 움직임, 체온, 감각, 맥박 관찰
- 견인장치시에 특히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부위
상지 : 팔굽뼈, 뼈돌출부, 팔굽 관절의 연조직, 팔복의 뼈돌출부와 손바닥 부분 등
하지 : 비골 ,비골신경부위, 발목의 뼈 돌출부, 발뒤꿈치, 발진 등의 연조직, 대퇴부의 대 전자 등
체부 : 척추 돌출부, 견갑골부, 장골능, 천골 등
- 팔굽관절이나 손목, 무릎, 발뒤꿈치에 압박을 적게하기 위해 패드를 잘 대주거나 넓은 홑이불로 감싸 주며 발목을 올려 놓고 발뒤꿈치는 침요에서 떨어져 있게 함
4) 견인장치 종류별 간호
피부견인
- 피부에 부착성 테이프를 적용하고 추를 연결함으로써 견인력을 적용하는 방법
- 골절의 경우 수술전 부종예방과 골절편의 고정을 위해 일시적으로 적용되나 관절염 환자와 같이 관절 경축이 우려 될 때 예방 목적으로 사용
- 추의 무게는 보통 2~4kg이며 약 3~4주간 적용함
- 골절정복의 목적 일 때 추의 무게는 근육의 긴장도를 충분히 유지 할 수 있는 정도가 적당함 (무게가 무거우면 골절편이 더욱 분리되어 불유합상태가 됨)
- 추의 무게가 너무 무거울 때, 뼈돌출부와 신경에 압박이 가해질 때, 탄력붕대를 너무 단단히 감았을 때, 혈액순환 장애 요인이 있을 때 등 합병증이 올 수 있음
① Buck 신전견
골반부 골절의 수술전 일시적 고정, 대퇴의 전자하부나 대퇴상부 골절의 정복, 심한 근 육경련의 이완, 굴곡경축의 경감 및 예방에 적용함
수평방향으로 견인력유지
하지 적용시 무릎 밑~발목까지 접착성 테이프를 부착
상지 적용시 특히 요골 신경, 척골신경의 압박유무를 살펴 무감각, 저린감 등 관찰
② Russel 견인
수평방향으로 견인력 외의 무릎을 걸대로 받쳐서 걸어주는 수직견인력 적용
골반부나 대퇴부 골절에 흔히 적용
상대적 견인력을 유지하기 위해 침대발치를 상승하거나 무릎부위를 올림
비골신경 압박 피하기 위해 발판으로 지지하고 패드 대줌
욕창 예방 위해 발뒤꿈치가 침대에 닿지 않도록하고 피부상태 관찰, 마사지함
③ 골반하수견인
골반부의 골절이나 하복부 연조직 손상시 걸대를 이용하여 지지해주는 견인방법
손상부위 통증 완화하여 염증을 감소하고 치유과정을 촉진함
배변, 배뇨곤란이 있을 수 있으므로 회음부 간호필요
④ 골반띠 견인
신경근의 병변에 대한 치료나 좌골신경통, 요부의 근육경련에 적용
골반띠를 피부에 대어 주므로 피부간호가 중요 (특히 장골능 부위)
⑤ 경부견인
경추부 근엄이나 탈골, 아탈구가 있을 때 또는 경미한 골절이 있을 때 머리에 견인띠 를 적용하여 견인함
턱에 패드를 대주어 압박으로 인한 자극을 피하고 음식 저작이 힘들므로 먹기 쉬운 연 동식 음식 마련
⑥ Bryant 견인
3세 미만의 아기로 체중이 18kg 이하일 때 대퇴골절을 치료하기위한 것
고관절을 90도로 굴곡한 상태로 견인틀에 추를 연결하는 방법이므로 하지의 혈액순환 장애가 문제가 될 수 있음 (사지의 순환장애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간호필요)
골격견인
- 피부견인에 비해 골격견인은 추의 무게가 무겁고 견인기간이 장기화 될 때 선택
- 핀이나 철사를 직접 뼈에 삽입한 후 추를 연결하여 골편이 어긋나거나 겹치게 됨을 막아 줄 뿐아니라 근육경련도 감소시킴
- 핀, 철사 삽입하는 부위는 발뒤꿈치, 비골 ,주골 ,상박골, 두부, 발가락 등 (장골능, 치골봉합부, 어깨, 늑골에는 금속을 삽입하지 않음)
- 핀 삽입부의 감염여부나 핀으로 인한 피부자극 자세히 관찰
- 피부견인보다 장치가 복잡하여 환자들이 불안해하므로 심리적 간호 하도록함
① 평형 현수대 골격견인법
대퇴 골절시 골절편이 전위되었거나 겹치게 되었을 때, 골반이나 하지의 다발성 골절 시에 골절편의 정복과 고정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함
kirschner wire 또는 Steinman pin, Thomas부목, 하지 지지할 pearson 연결대, 발 판, 견인줄, 도르래, 추 등 필요
비골 신경의 압박을 피하기 위해 무거운 담요로 발을 덮지 않음
발뒤꿈치는 침요에 닿지 않게 하여 순환사태를 자주 관찰하고 욕창예방
붕대가 너무 조여서 비골신경이 압박받는지 관찰
부목으로 지지하고 있는 하지의 관절운동을 격려함
침대에 달려 있는 삼각손잡이 이용하여 무릎아래 하지의 운동할 수있음
토마스 부목 때문에 서혜부나 장골부에 압박을 받을 수 있으므로 자주 관찰
핀이 꽂힌 부분에 발적과 배농 등 감염의 유무 관찰하고 무균적으로 간호
② 두부 골격견인
경추나 흉추 상부에 손상이 있을 때 집게 형태의 금속 제품을 두부에 삽입하여 고정하 고 더 이상의 손상이 없도록 하는 것이 목적
두개골 집게(크로치휠드 집게), 빈케 집게(Vinke tong) 및 할로 견인(Halo traction) 등 흔히 사용
경추나 흉추의 손상이 심하면 척수신경이 손상되어 사지마비가 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유의하여 관찰하고 간호함
두부 견인으로 뇌압이 상승되면 활력증상 측정 (맥박감소, 동맥압 저하됨)
의식 및 지남력 자세히 관찰
동공 크기와
3) 일반적 간호
(1) 환자와 체위
- 앙와위로 눕히고 손상 부위에 불필요한 긴장이 가지 않도록 함
(2) 대항 견인 유지
- 대항견인 : 치료적 견인력에 대응하여 환자가 침대 밑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치 료적 견인력의 분산을 막기위한 것
- 대항견인력을 위해 침상발치나 환자의 무릎을 상승 시킴 (침대 발치를 올려주거나 나무 발판을 이용하여 침대 다리 밑을 높여줌)
- 대항견인을 유지하기 위해 환자의 등을 올릴 때 침대의 각도가 20도보다 높지 않도록 함
(3) 마찰
- 견인장치의 추나 줄에 마찰이 있으면 견인력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추의 당김이 방해받음
- 발판이나 견인줄 연결자이가 침대에 닿지 않도록 하고, 추가 땅에 닿지 않도록 함
- 침상 가운이나 홑이불이 견인줄에 끼지 않도록 함
(4) 견인의 계속성
- 처방 없이는 절대 제거하지 않고 견인줄이나 도르레가 빠져 있는지 계속 확인함
(5) 견인줄
- 견인줄은 항상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함
(6) 운동과 감각상태에 대한 관찰
- 혈액순환과 운동감각을 파악하기 위해 환자의 피부색, 움직임, 체온, 감각, 맥박 관찰
- 견인장치시에 특히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부위
상지 : 팔굽뼈, 뼈돌출부, 팔굽 관절의 연조직, 팔복의 뼈돌출부와 손바닥 부분 등
하지 : 비골 ,비골신경부위, 발목의 뼈 돌출부, 발뒤꿈치, 발진 등의 연조직, 대퇴부의 대 전자 등
체부 : 척추 돌출부, 견갑골부, 장골능, 천골 등
- 팔굽관절이나 손목, 무릎, 발뒤꿈치에 압박을 적게하기 위해 패드를 잘 대주거나 넓은 홑이불로 감싸 주며 발목을 올려 놓고 발뒤꿈치는 침요에서 떨어져 있게 함
4) 견인장치 종류별 간호
피부견인
- 피부에 부착성 테이프를 적용하고 추를 연결함으로써 견인력을 적용하는 방법
- 골절의 경우 수술전 부종예방과 골절편의 고정을 위해 일시적으로 적용되나 관절염 환자와 같이 관절 경축이 우려 될 때 예방 목적으로 사용
- 추의 무게는 보통 2~4kg이며 약 3~4주간 적용함
- 골절정복의 목적 일 때 추의 무게는 근육의 긴장도를 충분히 유지 할 수 있는 정도가 적당함 (무게가 무거우면 골절편이 더욱 분리되어 불유합상태가 됨)
- 추의 무게가 너무 무거울 때, 뼈돌출부와 신경에 압박이 가해질 때, 탄력붕대를 너무 단단히 감았을 때, 혈액순환 장애 요인이 있을 때 등 합병증이 올 수 있음
① Buck 신전견
골반부 골절의 수술전 일시적 고정, 대퇴의 전자하부나 대퇴상부 골절의 정복, 심한 근 육경련의 이완, 굴곡경축의 경감 및 예방에 적용함
수평방향으로 견인력유지
하지 적용시 무릎 밑~발목까지 접착성 테이프를 부착
상지 적용시 특히 요골 신경, 척골신경의 압박유무를 살펴 무감각, 저린감 등 관찰
② Russel 견인
수평방향으로 견인력 외의 무릎을 걸대로 받쳐서 걸어주는 수직견인력 적용
골반부나 대퇴부 골절에 흔히 적용
상대적 견인력을 유지하기 위해 침대발치를 상승하거나 무릎부위를 올림
비골신경 압박 피하기 위해 발판으로 지지하고 패드 대줌
욕창 예방 위해 발뒤꿈치가 침대에 닿지 않도록하고 피부상태 관찰, 마사지함
③ 골반하수견인
골반부의 골절이나 하복부 연조직 손상시 걸대를 이용하여 지지해주는 견인방법
손상부위 통증 완화하여 염증을 감소하고 치유과정을 촉진함
배변, 배뇨곤란이 있을 수 있으므로 회음부 간호필요
④ 골반띠 견인
신경근의 병변에 대한 치료나 좌골신경통, 요부의 근육경련에 적용
골반띠를 피부에 대어 주므로 피부간호가 중요 (특히 장골능 부위)
⑤ 경부견인
경추부 근엄이나 탈골, 아탈구가 있을 때 또는 경미한 골절이 있을 때 머리에 견인띠 를 적용하여 견인함
턱에 패드를 대주어 압박으로 인한 자극을 피하고 음식 저작이 힘들므로 먹기 쉬운 연 동식 음식 마련
⑥ Bryant 견인
3세 미만의 아기로 체중이 18kg 이하일 때 대퇴골절을 치료하기위한 것
고관절을 90도로 굴곡한 상태로 견인틀에 추를 연결하는 방법이므로 하지의 혈액순환 장애가 문제가 될 수 있음 (사지의 순환장애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간호필요)
골격견인
- 피부견인에 비해 골격견인은 추의 무게가 무겁고 견인기간이 장기화 될 때 선택
- 핀이나 철사를 직접 뼈에 삽입한 후 추를 연결하여 골편이 어긋나거나 겹치게 됨을 막아 줄 뿐아니라 근육경련도 감소시킴
- 핀, 철사 삽입하는 부위는 발뒤꿈치, 비골 ,주골 ,상박골, 두부, 발가락 등 (장골능, 치골봉합부, 어깨, 늑골에는 금속을 삽입하지 않음)
- 핀 삽입부의 감염여부나 핀으로 인한 피부자극 자세히 관찰
- 피부견인보다 장치가 복잡하여 환자들이 불안해하므로 심리적 간호 하도록함
① 평형 현수대 골격견인법
대퇴 골절시 골절편이 전위되었거나 겹치게 되었을 때, 골반이나 하지의 다발성 골절 시에 골절편의 정복과 고정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함
kirschner wire 또는 Steinman pin, Thomas부목, 하지 지지할 pearson 연결대, 발 판, 견인줄, 도르래, 추 등 필요
비골 신경의 압박을 피하기 위해 무거운 담요로 발을 덮지 않음
발뒤꿈치는 침요에 닿지 않게 하여 순환사태를 자주 관찰하고 욕창예방
붕대가 너무 조여서 비골신경이 압박받는지 관찰
부목으로 지지하고 있는 하지의 관절운동을 격려함
침대에 달려 있는 삼각손잡이 이용하여 무릎아래 하지의 운동할 수있음
토마스 부목 때문에 서혜부나 장골부에 압박을 받을 수 있으므로 자주 관찰
핀이 꽂힌 부분에 발적과 배농 등 감염의 유무 관찰하고 무균적으로 간호
② 두부 골격견인
경추나 흉추 상부에 손상이 있을 때 집게 형태의 금속 제품을 두부에 삽입하여 고정하 고 더 이상의 손상이 없도록 하는 것이 목적
두개골 집게(크로치휠드 집게), 빈케 집게(Vinke tong) 및 할로 견인(Halo traction) 등 흔히 사용
경추나 흉추의 손상이 심하면 척수신경이 손상되어 사지마비가 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유의하여 관찰하고 간호함
두부 견인으로 뇌압이 상승되면 활력증상 측정 (맥박감소, 동맥압 저하됨)
의식 및 지남력 자세히 관찰
동공 크기와
추천자료
운동을 통한 요통예방과 치료
견인환자의 간호
중족골 골절 case study
대퇴골 골절(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 케이스
[골절][두개저 골절][관골 골절][상악골 골절][골절 치료][골절환자][골절환자 간호]골절의 ...
골반 골절 케이스 plevic fracture
OS- 골관절염(Osteoarthritis) 케이스
Fracture (골절) case study 간호사례연구
OS,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case
미세현미경 디스크제거술(Micro lumbar discectomy)PPT
[간호과]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케이스 스터디
골절치료 (석고붕대와 환자 간호)
절단(amputation)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