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우리 사회의 실제 현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심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우리 사회의 실제 현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동조
(1) 정의
(2) Sherif의 규범형성 연구
(3) Asch의 집단압력 연구
(4) 동조 이유
(5) 동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2. 동조와 지역감정
(1) 지역감정
(2) 동조와 지역감정
(3) 지역감정 동조 이유
(4) 지역감정 동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 Wider(1977)가 주장한 집단의 크기와 지역감정은 행정지역의 구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동(洞)이나 구(區)와 같은 소집단의 일치된 부정적
의견은 시(市)나 도(道)와 같은 하나의 대집단의 통일된 의견보다 더 많은
동조를 일으킨다. 부분적인 부정(否定)이 모여 전체를 이룬다고 생각한다.
2) 지위 - 지역감정의 대표적인 설명으로 생각한다. 즉, 지위가 높은 사람이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동조를 유도하여 지역감정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3) 응집력 - 규범적 사회영향과 유사한 의미로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들로부터 거부
당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집단의 응집력이 높을수록 구성원들에 대한 지역
감정 동조 압력이 높으며, 구성원들 역시 집단의 영향에 더 잘 순응한다.
Ⅲ. 결론
- 동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뿐만 아니라 정보적 사회영향은 정확하고 옳은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리고 규범적 사회영향은 사회적 체면에 관한 관심 때문에 지역감정이 촉발되고
유지된다. 지역감정이라는 문제에서 두 가지 영향은 공존하며 구분해내지 못할 정도로 얽혀
있다. 즉, 사람들은 남들과 다르게 독자적인 행동을 할 엄두가 나지도 않을뿐더러, 어떻게
해야 옳을지도 몰라서 남의 행동을 보고 배워 그대로 따라하게 된다.
Ⅳ. 참고 문헌
1. 사회심리학, 한덕웅·성한기·강혜자·이경성·최훈석·박군석·김금미·장은영 공저, 학지사, 2004
2. 사회심리학 강의 교안 p.20
3. 지역감정,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5742100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1.25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7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