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치료
2. 간호
3. 간호진단
2. 간호
3. 간호진단
본문내용
간호중재
- 환자가 장루에 대해 적응하도록 정서적 지지와 인공항문 자가간호 방법에 대해 폭 넓은 교육을 제공한다.
- 간호사는 환자가 장루를 보도록 격려하며, 사실적 방법으로 접근하여 간호한다.
- Watson은 위기에 처한 사람이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단계를 ‘장루 형성술’ 환자들의 적응단계와 비교했다. 이들 단계는 ①쇼크, ②방어적인 위축, ③인정, ④적응이다.
간호진단
성기능 장애 위험성
간호중재
- s자결장과 직장 절제로 인해 골반자율신경이 손상되어 배뇨 및 성기능의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 성적인 문제가 장루를 가진 환자와 가족의 중요한 관심 중 하나이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기 때문에 간호사가 직접 말한다.
- 결장루술을 한 환자 대부분은 정상적인 성생활을 할 수 있다.
- 여성 환자에게는 장루술이 피임, 임신이나 분만을 방해하지 않음을 교육한다.
간호진단
지식부족(자가간호)
간호중재
- 장루세척은 s자결장루술을 행한 경우에만 행해진다. (수술 후 5-7일에 처음 시작)
- 장루 세척을 위한 좋은 시간은 환자의 수술 전 배변시간과 같은 시간이다.
- 장루 세척을 성공적으로 시행하는 환자는 장루주머니 대신 장루마개를 사용할 수 있다.
- 환자가 카테터를 삽입하지 못하면서 손가락 끝으로는 어떠한 폐색도 감지할 수가 없다면 이 사실을 의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 한번에 1000ml이상을 주입해서는 안 되며 하루에 한 번 이상 관장을 하지 않도록 하고 설사 시에는 시행하지 않는다.
- 세척 후 나오는 것이 없다면 걷거나 복부를 부드럽게 마사지하거나 또는 따뜻한 물을 마시도록 한다.
간호진단
피부손상 위해성
간호중재
- 복회음절제술이 시행되었다면, 간호사는 복부의 상처뿐만 아니라 회음부의 상처까지 사정해야 한다.
- 주머니를 교환하거나 비울 대, 대변 배설물로 수술 부위의 피부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보통 회음부 상처는 드레싱을 할 때 생리식염수를 세척한다.
- 배액물은 감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미생물을 확인하기 위해 세균배양을 실시한다.
- 퇴원 전에 회음부 상처가 완전히 치유되지 않은 경우는 치유기간 동안 환자에게 회음부 드레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간호진단
변비/설사 위험성
간호중재
- 4시간마다 장음을 청진하여 가스의 이동을 사정하고 연동운동이 돌아올 때까지 금식한다.
- 연동운동이 돌아오면 물과 음식물을 먹을 수 있다.
- 설사는 결장루술 환자에게는 심각한 문제로 설사로 인해 재흡수되지 않은 소화액에 의한 피부 자극과 전해질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 설시 시에는 장운동이 정상으로 되돌아 올 때까지 고형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 변비가 발생하면 장루를 통한 대변배출과 장루 세척액 주입도 어렵게 되며 분변매복도 생길 수 있다.
- 변비가 지속되면 과일, 야채, 섬유질 식품, 수분 등을 늘려야 한다.
참고문헌
전시자 외(2009).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p. 405~412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p. 479~485
- 환자가 장루에 대해 적응하도록 정서적 지지와 인공항문 자가간호 방법에 대해 폭 넓은 교육을 제공한다.
- 간호사는 환자가 장루를 보도록 격려하며, 사실적 방법으로 접근하여 간호한다.
- Watson은 위기에 처한 사람이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단계를 ‘장루 형성술’ 환자들의 적응단계와 비교했다. 이들 단계는 ①쇼크, ②방어적인 위축, ③인정, ④적응이다.
간호진단
성기능 장애 위험성
간호중재
- s자결장과 직장 절제로 인해 골반자율신경이 손상되어 배뇨 및 성기능의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 성적인 문제가 장루를 가진 환자와 가족의 중요한 관심 중 하나이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기 때문에 간호사가 직접 말한다.
- 결장루술을 한 환자 대부분은 정상적인 성생활을 할 수 있다.
- 여성 환자에게는 장루술이 피임, 임신이나 분만을 방해하지 않음을 교육한다.
간호진단
지식부족(자가간호)
간호중재
- 장루세척은 s자결장루술을 행한 경우에만 행해진다. (수술 후 5-7일에 처음 시작)
- 장루 세척을 위한 좋은 시간은 환자의 수술 전 배변시간과 같은 시간이다.
- 장루 세척을 성공적으로 시행하는 환자는 장루주머니 대신 장루마개를 사용할 수 있다.
- 환자가 카테터를 삽입하지 못하면서 손가락 끝으로는 어떠한 폐색도 감지할 수가 없다면 이 사실을 의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 한번에 1000ml이상을 주입해서는 안 되며 하루에 한 번 이상 관장을 하지 않도록 하고 설사 시에는 시행하지 않는다.
- 세척 후 나오는 것이 없다면 걷거나 복부를 부드럽게 마사지하거나 또는 따뜻한 물을 마시도록 한다.
간호진단
피부손상 위해성
간호중재
- 복회음절제술이 시행되었다면, 간호사는 복부의 상처뿐만 아니라 회음부의 상처까지 사정해야 한다.
- 주머니를 교환하거나 비울 대, 대변 배설물로 수술 부위의 피부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보통 회음부 상처는 드레싱을 할 때 생리식염수를 세척한다.
- 배액물은 감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미생물을 확인하기 위해 세균배양을 실시한다.
- 퇴원 전에 회음부 상처가 완전히 치유되지 않은 경우는 치유기간 동안 환자에게 회음부 드레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간호진단
변비/설사 위험성
간호중재
- 4시간마다 장음을 청진하여 가스의 이동을 사정하고 연동운동이 돌아올 때까지 금식한다.
- 연동운동이 돌아오면 물과 음식물을 먹을 수 있다.
- 설사는 결장루술 환자에게는 심각한 문제로 설사로 인해 재흡수되지 않은 소화액에 의한 피부 자극과 전해질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 설시 시에는 장운동이 정상으로 되돌아 올 때까지 고형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 변비가 발생하면 장루를 통한 대변배출과 장루 세척액 주입도 어렵게 되며 분변매복도 생길 수 있다.
- 변비가 지속되면 과일, 야채, 섬유질 식품, 수분 등을 늘려야 한다.
참고문헌
전시자 외(2009).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p. 405~412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p. 479~485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 1. 1) 당뇨병의 분류와 2) 당뇨병 환자의 일반적인 치료 중재 및 3) 당뇨병 환...
고 빌리루빈혈증과 간호(용혈성 질환) 1) 신생아 용혈성 질환의 정의 2) 혈액부적합증 3) 임...
암의 치료와 간호, 수술, 방사선 요법 A+( 1. 암치료의 목적 2. 수술요법 3. 방사선요법 4. ...
재활간호(1. 재활과 관련된 개념 2. 재활 대상자의 심리 사회적 문제 3. 재활 간호 중재 4. ...
크론병 1) 병태생리 2) 임상증상 3) 진단검사 4) 치료 5) 간호
기분장애 (▶ 기분장애 1. 정의 2. 역학 3. 원인 ▶ 기분장애 환자의 간호 1. 간호사정 2.간호...
호흡기 치료 및 간호에 사용하는 기구(1. 분무기 2. 최대호기유속기(PEFM) 3. 정량식 흡입기 ...
협심증(angina pectoris) -1) 원인과 병태생리 2) 협심증의 형태 3) 안정형 협심증의 증상과 ...
만성 췌장염 A+ (chronic pancreatitis)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