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양
1) 생리적 특징
2) 영양요구
3) 젖병수유
4) 모유수유
5) 위관영양
6) 수유저항
2. 발달간호
1) 발달지지 간호
2) 환경자극의 최소화
3) 발달지지 간호중재
4) 회복기 간호중재
3. 비외상성 간호
참고문헌
1) 생리적 특징
2) 영양요구
3) 젖병수유
4) 모유수유
5) 위관영양
6) 수유저항
2. 발달간호
1) 발달지지 간호
2) 환경자극의 최소화
3) 발달지지 간호중재
4) 회복기 간호중재
3. 비외상성 간호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아에서 말초 혈액 검사물을 채취하는 일반적인 방법.
(1) 과정
혈액채취를 하기 전에 발뒤꿈치를 3분간 따뜻하게 해줌.
↓
혈액채취 부위를 알코올로 닦음.
↓
한 손으로 영아의 발을 단단히 쥔 뒤 자동 란셋장치를 이용하여 발뒤꿈치를 천자함.
↓
필요한 검사를 빨리 수행한 뒤 출혈이 멈출 때까지 마른 거즈로 천자부위를 압박한 팔을 굽히지 않고 펴도록 함.
↓
그 부위를 접착붕대로 덮어줌.
(2) 합병증
- 괴사성 골연골염(necrotizing osteochondritis)
- 영아의 발뒤꿈치 천자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 종골(calcaneus bone) 아래로 천자 침이 관통하여 생김.
(3) 예방법
- 2mm보다 깊게 천자하면 안 되고, 발뒤꿈치 바깥부위에 실시하여야 함.
- 팔을 굽히지 않고 펴도록 함.
(4) 방법
- 종골의 경계를 가상으로 선으로 표시 함.
이때 선은 4번째와 5번째 발가락 사이지점에서 뒤쪽으로 이어지고 발뒤꿈치의 옆면에 평행을 이루는 선과 첫 번째 발가락의 중간부위로부터 뒤쪽으로 이어지면서 발뒤꿈치 중간 부위부터 뒤쪽으로 이어지면서 발뒤꿈치 중간부분에 평행을 이루는 선으로 구성됨.
- 걸을 때 사용하는 발뒤꿈치의 반복적 손상으로 인해 섬유화와 반흔이 생길 수 있고, 이동이 어려울 수 있음.
(5) 주의사항
- 자동장치는 천자 깊이를 좀 더 정확히 하고, 린셋으로 실시하는 것보다 덜 고통스러움.
- 수술용 칼날 사용은 금기임.
- 안전한 장치 중 하나는 BD Quickheel 안전 란셋.
- Tenderfoot Preemie는 Monolet 란셋과 비교되는데, 발뒤꿈치 천자 횟수가 적고 수집시간이 짧으며 재 수집률이 더 낮기 때문에 lancetand보다 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음.
- 신생아 선별검사를 위해서는 Tenderfoot 기구가 란셋보다 더 효과적이고 안전함.
- 말초혈액 가스검사를 하는 것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방법은 동맥혈 측정치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
- 어린 아동의 경우 접착붕대는 흡인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접착붕대는 출혈이 멈추면 바로 제거해야 함.
- 반상 출혈 부위에 따뜻한 찜질을 적용하면 순환을 증가시키고, 스며나온 혈액의 제거를 돕고, 통증을 감소시킴.
- 검사물이 어떤 방법으로 누구에 의해서 수집되든지 간에, 좀 더 나이든 아동도 혈액의 손실에 대한 두려움을 느낌.
- 빈번한 혈액검사를 실시하는 아동에게 혈액은 신체에서 계속 생산되고 있음을 설명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혈액채취 과정에 대해 안심하게 만듦.
- 접착붕대를 천자부위에 덮음으로써 중요한 체액이 새어나오지 않는다는 안심을 줌.
- 아동은 또한 정맥, 동맥, 모세혈관 천자와 관련된 불편함을 싫어함.
- 유아는 학령기 아동이나 청소년보다 정맥천자를 더 고통스러워함.
- 간호사는 이러한 과정의 불편감을 줄이기 위해 통증감소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함.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총론/ 2010 / 수문사 PP.191~193
아동간호학 각론/ 2012 / 현문사 PP.300~303
(1) 과정
혈액채취를 하기 전에 발뒤꿈치를 3분간 따뜻하게 해줌.
↓
혈액채취 부위를 알코올로 닦음.
↓
한 손으로 영아의 발을 단단히 쥔 뒤 자동 란셋장치를 이용하여 발뒤꿈치를 천자함.
↓
필요한 검사를 빨리 수행한 뒤 출혈이 멈출 때까지 마른 거즈로 천자부위를 압박한 팔을 굽히지 않고 펴도록 함.
↓
그 부위를 접착붕대로 덮어줌.
(2) 합병증
- 괴사성 골연골염(necrotizing osteochondritis)
- 영아의 발뒤꿈치 천자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 종골(calcaneus bone) 아래로 천자 침이 관통하여 생김.
(3) 예방법
- 2mm보다 깊게 천자하면 안 되고, 발뒤꿈치 바깥부위에 실시하여야 함.
- 팔을 굽히지 않고 펴도록 함.
(4) 방법
- 종골의 경계를 가상으로 선으로 표시 함.
이때 선은 4번째와 5번째 발가락 사이지점에서 뒤쪽으로 이어지고 발뒤꿈치의 옆면에 평행을 이루는 선과 첫 번째 발가락의 중간부위로부터 뒤쪽으로 이어지면서 발뒤꿈치 중간 부위부터 뒤쪽으로 이어지면서 발뒤꿈치 중간부분에 평행을 이루는 선으로 구성됨.
- 걸을 때 사용하는 발뒤꿈치의 반복적 손상으로 인해 섬유화와 반흔이 생길 수 있고, 이동이 어려울 수 있음.
(5) 주의사항
- 자동장치는 천자 깊이를 좀 더 정확히 하고, 린셋으로 실시하는 것보다 덜 고통스러움.
- 수술용 칼날 사용은 금기임.
- 안전한 장치 중 하나는 BD Quickheel 안전 란셋.
- Tenderfoot Preemie는 Monolet 란셋과 비교되는데, 발뒤꿈치 천자 횟수가 적고 수집시간이 짧으며 재 수집률이 더 낮기 때문에 lancetand보다 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음.
- 신생아 선별검사를 위해서는 Tenderfoot 기구가 란셋보다 더 효과적이고 안전함.
- 말초혈액 가스검사를 하는 것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방법은 동맥혈 측정치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
- 어린 아동의 경우 접착붕대는 흡인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접착붕대는 출혈이 멈추면 바로 제거해야 함.
- 반상 출혈 부위에 따뜻한 찜질을 적용하면 순환을 증가시키고, 스며나온 혈액의 제거를 돕고, 통증을 감소시킴.
- 검사물이 어떤 방법으로 누구에 의해서 수집되든지 간에, 좀 더 나이든 아동도 혈액의 손실에 대한 두려움을 느낌.
- 빈번한 혈액검사를 실시하는 아동에게 혈액은 신체에서 계속 생산되고 있음을 설명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혈액채취 과정에 대해 안심하게 만듦.
- 접착붕대를 천자부위에 덮음으로써 중요한 체액이 새어나오지 않는다는 안심을 줌.
- 아동은 또한 정맥, 동맥, 모세혈관 천자와 관련된 불편함을 싫어함.
- 유아는 학령기 아동이나 청소년보다 정맥천자를 더 고통스러워함.
- 간호사는 이러한 과정의 불편감을 줄이기 위해 통증감소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함.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총론/ 2010 / 수문사 PP.191~193
아동간호학 각론/ 2012 / 현문사 PP.300~303
추천자료
고위험산부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 -TTN (신생아 패혈증)
미숙아, 패혈증, 황달 신생아실 케이스
신생아실, 신생아중환자실 간호과정
[간호]고위험임산부간호
신생아 청색증 케이스 (NR/NICU 케이스)
고위험 임부 계류유산 케이스
모성간호)[고위험임부간호] 임부의 감염성 질환
아동간호학실습 :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스터디
보건복지부의 임신, 출산과 관련된 복지제도 중 한 가지 주제를 들어 서술하시오 - 출산 (의...
[모성 간호학 Ⅰ 실습 Daily Work Sheet] 신생아실 데일리입니다. A+자료입니다. ^^
아동간호학케이스/미숙아/아동간호학실습/premature infant/아동간호실습/신생아/NICU
간호학과=고위험 모아간호학=(1) 아동간호 시 고려해야 할 윤리적인 문제들과 해결방안 그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