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퇴원과
가정간호 준비
-------------------------------------
2. 퇴원계획서
-------------------------------------
가정간호 준비
-------------------------------------
2. 퇴원계획서
-------------------------------------
본문내용
5일이상 지속; 퇴원 전 빌리루빈 측정과 위험 요인 규명.
제대
- 제대 아래 기저귀, 건조하고 분비물 없음
- 제대 주위 홍반 없음.
활력징후
- 심박동수는 휴식 시 120-140회/분.
- 호흡수는 휴식 시 흉골 함몰이나 끙끙거림, 비익 확장없이 30-55회/분.
- 액와체온이 36.3-37℃.
수면자세
- 앙와위
퇴원계획서
작성자 : NICU 000
김소영님 환아의 퇴원을 축하드립니다!
① 퇴원일: 2016년 09월 02일
② 외래방문일자: 2016년 09월 04일
③ 문의사항: NICU병동 간호사실
(02-XXX-XXXX)
※ 퇴원 후 자녀를 이렇게 관리해주세요!
♥ 집으로 돌아갈 때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돌 말은 담요나 수건을 사용하여 사타구니와 다리 사이에 지지하거나, 담요를 몸의 측면에 놓으시면 좌우로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어요.
♥ 퇴원 후에 아이의 활동이 감소하거나, 수유저하, 진하고 노란 피부색이 5일이상 지속되면 다시 저희 병원을 찾아주세요.
♥ 시기마다 맞아야 하는 예방접종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 모유수유는 성공적으로 물리고, 매일 1시간 반-3시간마다 수유해 주세요.
♥ 분유는 3-4시간 마다 최소 30-60cc정도 수유해 주세요.
♥ 아이의 대변 횟수는 인공수유 시 48-72시간마다 적어도 1회씩, 모유수유 시 하루에 2-3회 정도 하는 것을 확인해주세요.
♥ 수면 시에는 바로 눕는 자세를 취하도록 해 주세요.
참고문헌
김영혜 외(2013). 아동간호총론. 현문사 p 320~323
김미예 외(2013). 아동간호총론, 수문사 p 199~200
제대
- 제대 아래 기저귀, 건조하고 분비물 없음
- 제대 주위 홍반 없음.
활력징후
- 심박동수는 휴식 시 120-140회/분.
- 호흡수는 휴식 시 흉골 함몰이나 끙끙거림, 비익 확장없이 30-55회/분.
- 액와체온이 36.3-37℃.
수면자세
- 앙와위
퇴원계획서
작성자 : NICU 000
김소영님 환아의 퇴원을 축하드립니다!
① 퇴원일: 2016년 09월 02일
② 외래방문일자: 2016년 09월 04일
③ 문의사항: NICU병동 간호사실
(02-XXX-XXXX)
※ 퇴원 후 자녀를 이렇게 관리해주세요!
♥ 집으로 돌아갈 때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돌 말은 담요나 수건을 사용하여 사타구니와 다리 사이에 지지하거나, 담요를 몸의 측면에 놓으시면 좌우로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어요.
♥ 퇴원 후에 아이의 활동이 감소하거나, 수유저하, 진하고 노란 피부색이 5일이상 지속되면 다시 저희 병원을 찾아주세요.
♥ 시기마다 맞아야 하는 예방접종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 모유수유는 성공적으로 물리고, 매일 1시간 반-3시간마다 수유해 주세요.
♥ 분유는 3-4시간 마다 최소 30-60cc정도 수유해 주세요.
♥ 아이의 대변 횟수는 인공수유 시 48-72시간마다 적어도 1회씩, 모유수유 시 하루에 2-3회 정도 하는 것을 확인해주세요.
♥ 수면 시에는 바로 눕는 자세를 취하도록 해 주세요.
참고문헌
김영혜 외(2013). 아동간호총론. 현문사 p 320~323
김미예 외(2013). 아동간호총론, 수문사 p 199~200
추천자료
아동 간호학 Case study - 신생아중환자실 NICU - 구개파열
고위험 신생아 관리 (아동간호학 )
[간호학]정상신생아
[간호] 아동 RDS(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NEC(괴사성장염)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데일리-신생아실
[간호학]신생아실데일리
[간호학]신생아-Neonatal Jaundice
[간호학]신생아실(New born nursery) Check list
[아동간호학] 고위험신생아 casestudy
분만 후 신생아에 대한 간호상 주의점 (의약학)
[아동간호학] 신생아 신체사정
*아동간호학* IDM case study (신생아실 실습)
[아동 간호학] 신생아기의 발달과 특성
[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특징 [미숙아 과숙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