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1. 구개파열의 이론적 고찰
2. 자궁내 성장 지연(IUGR)의 이론적 고찰
3. 다지증의 이론적 고찰
4. 신생아 사례연구
- 출생력,가족력,신체검진
5. 임상 검사
- 실시한 검사결과, 염색체 검사 설명
6. 간호 진단
- 진단1,진단2,진단3,진단4,진단5
2. 자궁내 성장 지연(IUGR)의 이론적 고찰
3. 다지증의 이론적 고찰
4. 신생아 사례연구
- 출생력,가족력,신체검진
5. 임상 검사
- 실시한 검사결과, 염색체 검사 설명
6. 간호 진단
- 진단1,진단2,진단3,진단4,진단5
본문내용
process' 'Web neck' 'Poly dactyle (Lt. hand)' 'Both hand contractive'
'Lt. 5th toe 위치이상' 이 발견 되었다.
: 입원 후 검사에서 pelviectasia of Rt. kidney.
Brain에 Small subependymal cyst (5.8㎜) in Lt. caudothalamic groove.
Prominent thymus suggesting pseudocardiomegaly. 이상의 검사 결과가 나옴
: 11/10 환아 면회 시 환아를 안고 feeding하는 방법을 교육 받기는 하였으나 eye contact 하지 않음
: 11/10 환아 면회 시 무표정으로 보다가 한숨을 쉬고 약간 웃는 모습 등 불안한 모습 관찰
: 산전 진단 서 발견 하지 못하였고 전혀 무방비 상태에서 출산 (환아의 위에 여아가 있으나 정상)
: 11/0 현재 환아의 출생이 24일 경과하였지만 아직 이름을 정하지 않았다.
목표
환아의 부모는 11/15일 까지 감정 표현을 할 수 있다
환아의 부모는 11/15일 까지 eye contact를 할 수 있다
환아의 부모는 11/15일 까지 퇴원 후 환아 수유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고 올바른 방법으로 흡인 없이 수유할 수 있다
간호 계획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환아의 부모가 직접 수유에 참여
하도록 한다. 11/10~
·환아의 부모가 감정을 솔직히 이야기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11/10~
·자조 그룹을 소개하여 효과적인 대응
을 하도록 유도한다. 11/14
·환아의 외모의 교정 가능성에 대해 낙관적으로 이야기 하고 성공적인 교정 후 사진을 보여준다.
11/14~15
·환아의 부모에게 궁금한 것을 물어보게 하여 일상 생활에서 환아의 돌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11/14~15
·환아의 부모는 직접 feeding을 하였
고 올바른 방법에 대해 교육 받았다.
11/10~
·환아의 부모가 feeding 하는 동안
틀린 방법을 취하면 이를 부드럽게
교정하여 주었고 지금 잘하고 있다고
옆에서 격려하여 부모의 불안을 감소
하는 시도를 하였다. 11/10
·fedding이 끝난 뒤에도 계속 환아를
안게 하여 접촉을 통한 애착행동을
증진시키도록 시도 하였다.
11/10
·토순과 구개 파열 환아의 부모들은
영아의 기형적인 얼굴 때문에 부정적
인 반응을 보이고 영아를 멀리하고
슬픔을 느낀다.
아동 간호학 . 신희선 외.
·부모가 가능한 빨리 영아를 안고 만지도록 격려하고 지지하는 것이 간호사의 책임이다.
아동 간호학. 신희선 외.
·간호사는 신생아의 외모에 대하여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
하다.
아동 간호학. 신희선 외.
·간호사는 단기 간호와 장기 간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부모에게 전해
주어야 한다.
아동 간호학. 신희선 외.
·11/10 환아 면회 시 eye contact
하지 않는 모습이 관찰
·11/11~11/12 환아 면회 시 약간의
eye contact을 보이고 약간의
미소를 보임
·11/13 면회 오지 않음
·11/14 면회 와써 애착 형성을 보이
는듯 하였지만 어머니가 또 다른 기
형을 발견하고는 충격을 받았다.
·11/15 면회오지 않음
#5. 선천적 기형으로 인한 운동 장애 11/10
아동 간호학 Case study - NICU
객관적 자료
: 환아는 운동 장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선천적 기형을 가지고 있다
- 'Poly dactyle (Lt. hand)' 'Both hand contractive' 'Both leg contractive' 'Lt. 5th toe 위치이상'
: 환아에게 지속적인 ROM을 해주지 않는다면 관절의 경축 - 특히 elbow, wrist, knee - 이 더 심해져 영구적인 장애로 남는다고 함
3개월 후 교정 위해 splint할 예정이지만 지속적인 ROM을 해주지 않으면 할 수 없다고 함
: 11/10 환아에게 PT elbow, wrist, knee q 3hr 처방이 내려있음
: 환아는 자발적인 extension이 전혀 보이지 않음 11/10
: 선천적 장애로 ' Prominent xiphoid process' 'Web neck' 이 있음
: ROM order가 있었지만 잘 시행하지 않는 모습 관찰 11/10
목표
환아는 더 이상의 'Both hand contractive' 'Both leg contractive' 를 보이지 않는다.
간호 계획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매일 처방에 따라 ROM을 실시한다.
11/10~
·매일 지속적으로 환아의 관절 경축 정도를 사정한다.
11/10~
·11/10 q 3 hr ROM을 실시하였다.
11/11~13 수유 전 10분 씩 ROM을
실시하였다.
ROM 할 떠 환아의 특성에 맞게 각
관절들을 부드럽게 extension 시켜
주었다.
환아가 자고 있거나 수유 중이면
ROM을 잠시 미루었다.
ROM을 시행 중 환아의 상태를 사정
하여 지나치게 힘들어 하는 모습이
관찰되면 잠시 휴식을 취하게 해
주었다.
·매일 출근 한 직후부터 퇴근 시 까지
관절 운동을 시행하기 전과 시행 한
후에 관절의 extension을 사정하였다.
11/10~
·관절 질환의 치료 목적은 동통을
경감시키고 재활을 통해 관절의 강직
과 변형을 예방함으로서 관절 기능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정형외과학. 대한 정형외과 학회
·ROM의 목적은 현재 대상자의 관절
의 기능을 유지시켜 상해 또는 관절
을 사용하지 않아서 잃어버린 관절의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것이다.
기본 간호학. 변영순 외.
·ROM 시 위,아래 관절을 지지하고
천천히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은 대상
자의 피로감과 경련, 경직을 막는다.
기본 간호학. 변영순 외.
·NICU로 출근 후 처음 ROM을 시행할
때는 관절이 잘 움직이지 않았지만
지속적으로 관절 운동을 시행하여
퇴근 직전에 관절 운동 정도를 사정
하니 아침보다 extension 각도가
더 커진 것을 사정할 수 있었다
11/10
그 전날보다 눈에 띄는 호전은
없었으나 약간의 관절의 유연성을
느낄 수 있었다.
11/11~
'Lt. 5th toe 위치이상' 이 발견 되었다.
: 입원 후 검사에서 pelviectasia of Rt. kidney.
Brain에 Small subependymal cyst (5.8㎜) in Lt. caudothalamic groove.
Prominent thymus suggesting pseudocardiomegaly. 이상의 검사 결과가 나옴
: 11/10 환아 면회 시 환아를 안고 feeding하는 방법을 교육 받기는 하였으나 eye contact 하지 않음
: 11/10 환아 면회 시 무표정으로 보다가 한숨을 쉬고 약간 웃는 모습 등 불안한 모습 관찰
: 산전 진단 서 발견 하지 못하였고 전혀 무방비 상태에서 출산 (환아의 위에 여아가 있으나 정상)
: 11/0 현재 환아의 출생이 24일 경과하였지만 아직 이름을 정하지 않았다.
목표
환아의 부모는 11/15일 까지 감정 표현을 할 수 있다
환아의 부모는 11/15일 까지 eye contact를 할 수 있다
환아의 부모는 11/15일 까지 퇴원 후 환아 수유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고 올바른 방법으로 흡인 없이 수유할 수 있다
간호 계획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환아의 부모가 직접 수유에 참여
하도록 한다. 11/10~
·환아의 부모가 감정을 솔직히 이야기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11/10~
·자조 그룹을 소개하여 효과적인 대응
을 하도록 유도한다. 11/14
·환아의 외모의 교정 가능성에 대해 낙관적으로 이야기 하고 성공적인 교정 후 사진을 보여준다.
11/14~15
·환아의 부모에게 궁금한 것을 물어보게 하여 일상 생활에서 환아의 돌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11/14~15
·환아의 부모는 직접 feeding을 하였
고 올바른 방법에 대해 교육 받았다.
11/10~
·환아의 부모가 feeding 하는 동안
틀린 방법을 취하면 이를 부드럽게
교정하여 주었고 지금 잘하고 있다고
옆에서 격려하여 부모의 불안을 감소
하는 시도를 하였다. 11/10
·fedding이 끝난 뒤에도 계속 환아를
안게 하여 접촉을 통한 애착행동을
증진시키도록 시도 하였다.
11/10
·토순과 구개 파열 환아의 부모들은
영아의 기형적인 얼굴 때문에 부정적
인 반응을 보이고 영아를 멀리하고
슬픔을 느낀다.
아동 간호학 . 신희선 외.
·부모가 가능한 빨리 영아를 안고 만지도록 격려하고 지지하는 것이 간호사의 책임이다.
아동 간호학. 신희선 외.
·간호사는 신생아의 외모에 대하여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
하다.
아동 간호학. 신희선 외.
·간호사는 단기 간호와 장기 간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부모에게 전해
주어야 한다.
아동 간호학. 신희선 외.
·11/10 환아 면회 시 eye contact
하지 않는 모습이 관찰
·11/11~11/12 환아 면회 시 약간의
eye contact을 보이고 약간의
미소를 보임
·11/13 면회 오지 않음
·11/14 면회 와써 애착 형성을 보이
는듯 하였지만 어머니가 또 다른 기
형을 발견하고는 충격을 받았다.
·11/15 면회오지 않음
#5. 선천적 기형으로 인한 운동 장애 11/10
아동 간호학 Case study - NICU
객관적 자료
: 환아는 운동 장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선천적 기형을 가지고 있다
- 'Poly dactyle (Lt. hand)' 'Both hand contractive' 'Both leg contractive' 'Lt. 5th toe 위치이상'
: 환아에게 지속적인 ROM을 해주지 않는다면 관절의 경축 - 특히 elbow, wrist, knee - 이 더 심해져 영구적인 장애로 남는다고 함
3개월 후 교정 위해 splint할 예정이지만 지속적인 ROM을 해주지 않으면 할 수 없다고 함
: 11/10 환아에게 PT elbow, wrist, knee q 3hr 처방이 내려있음
: 환아는 자발적인 extension이 전혀 보이지 않음 11/10
: 선천적 장애로 ' Prominent xiphoid process' 'Web neck' 이 있음
: ROM order가 있었지만 잘 시행하지 않는 모습 관찰 11/10
목표
환아는 더 이상의 'Both hand contractive' 'Both leg contractive' 를 보이지 않는다.
간호 계획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매일 처방에 따라 ROM을 실시한다.
11/10~
·매일 지속적으로 환아의 관절 경축 정도를 사정한다.
11/10~
·11/10 q 3 hr ROM을 실시하였다.
11/11~13 수유 전 10분 씩 ROM을
실시하였다.
ROM 할 떠 환아의 특성에 맞게 각
관절들을 부드럽게 extension 시켜
주었다.
환아가 자고 있거나 수유 중이면
ROM을 잠시 미루었다.
ROM을 시행 중 환아의 상태를 사정
하여 지나치게 힘들어 하는 모습이
관찰되면 잠시 휴식을 취하게 해
주었다.
·매일 출근 한 직후부터 퇴근 시 까지
관절 운동을 시행하기 전과 시행 한
후에 관절의 extension을 사정하였다.
11/10~
·관절 질환의 치료 목적은 동통을
경감시키고 재활을 통해 관절의 강직
과 변형을 예방함으로서 관절 기능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정형외과학. 대한 정형외과 학회
·ROM의 목적은 현재 대상자의 관절
의 기능을 유지시켜 상해 또는 관절
을 사용하지 않아서 잃어버린 관절의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것이다.
기본 간호학. 변영순 외.
·ROM 시 위,아래 관절을 지지하고
천천히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은 대상
자의 피로감과 경련, 경직을 막는다.
기본 간호학. 변영순 외.
·NICU로 출근 후 처음 ROM을 시행할
때는 관절이 잘 움직이지 않았지만
지속적으로 관절 운동을 시행하여
퇴근 직전에 관절 운동 정도를 사정
하니 아침보다 extension 각도가
더 커진 것을 사정할 수 있었다
11/10
그 전날보다 눈에 띄는 호전은
없었으나 약간의 관절의 유연성을
느낄 수 있었다.
11/11~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패혈증(sepsis)환아의 case study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담관낭종
아동간호학 case study-구순구개열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박테리아성 뇌수막염
아동간호학 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아동간호학 실습 신생아 중환자실 NICU 케이스
아동간호학실습 :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사례연구 -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칸디다성 구내염 candidal stomatitis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임파선염 (lymphadenopathy)
아동간호 LBW 저체중출생아, 미숙아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case study-인플루엔자
아동간호학 황달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 병동 case study - pneumonia A받은 자료
아동간호 NICU case study - 미숙아 (A++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