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사정과 치료 및 간호에 대해 설명, 다혜의 탈수 정도 및 24시간 동안의 수분 유지 요구량과 신체사정 자료, 임상증상 및 나타날 수 있는 간호진단을 2 가지 도출하고 각 진단에 따른 간호중재계획을 세우시오.
A.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사정 (진단평가 및 임상증상)과 치료 및 간호에 대해 설명하시오
B. 위장관계 장애는 급성 또는 만성으로 올 수 있으며, 일상생활을 방해하고 생활 방식의 변화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영아와 아동은 성인보다 세포외액이 더 많아 이 시기에는 수분 손실이 더 많고 빠르며 보상기전이 좋지 않으므로,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반응은 타 시기보다 심각합니다. 다음의 사례를 읽고 문항별 답안을 작성하기 바랍니다.
<사례> 24개월인 다혜가 4일간의 심한 구토와 설사로 입원하였다. 설사와 구토 증세가 나타나기 전의 다혜의 체중은 15kg이었으나 현재 체중은 12kg이고, 요비중은 1.036으로 나타났다.
1. 다혜의 탈수 정도를 판정하고, 24시간 동안의 수분 유지 요구량을 계산하시오
2. 다혜에게서 수집해야 할 신체사정 자료와 나타날 수 있는 임상증상을 나열하시오
3.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다혜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간호진단을 2가지 도출하고 각 진단에 따른 간호중재계획을 세우시오
A.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사정 (진단평가 및 임상증상)과 치료 및 간호에 대해 설명하시오
B. 위장관계 장애는 급성 또는 만성으로 올 수 있으며, 일상생활을 방해하고 생활 방식의 변화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영아와 아동은 성인보다 세포외액이 더 많아 이 시기에는 수분 손실이 더 많고 빠르며 보상기전이 좋지 않으므로,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반응은 타 시기보다 심각합니다. 다음의 사례를 읽고 문항별 답안을 작성하기 바랍니다.
<사례> 24개월인 다혜가 4일간의 심한 구토와 설사로 입원하였다. 설사와 구토 증세가 나타나기 전의 다혜의 체중은 15kg이었으나 현재 체중은 12kg이고, 요비중은 1.036으로 나타났다.
1. 다혜의 탈수 정도를 판정하고, 24시간 동안의 수분 유지 요구량을 계산하시오
2. 다혜에게서 수집해야 할 신체사정 자료와 나타날 수 있는 임상증상을 나열하시오
3.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다혜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간호진단을 2가지 도출하고 각 진단에 따른 간호중재계획을 세우시오
본문내용
오 (8점).
간호진단 1) 잦은 구토 및 설사로 인한 과도한 손실과 관련된 체액 부족의 위험성
간호 중재 계획
첫 번째, 배뇨량감소와 소변농축정도를 사정한다. 두 번째, 구토횟수와 구토상태를 사정한다. 세 번째,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네 번째, v/s을 자주(2~4시간마다) 사정한다. 다섯 번째, 피부와 점막 건조상태를 사정한다. 여섯 번째, 매일 정해진 시간에 몸무게를 측정해 몸무게감소를 사정한다. 일곱째, 수분전해질 불균형정도를 사정한다. 여덟째,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아홉째, 의사처방에 따라 수액을 공급하고 전해질을 보충할 수 있는 용액을 경구 투여한다.
간호진단 2) 잦은 설사로 인한 자극과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간호중재 계획
첫 번째, 엉덩이와 회음부의 감염증상을 관찰한다. 두 번째, 기저귀를 자주 교환한다. 세 번째, 약간 발적된 피부는 되도록 공기에 노출시킨다. 네 번째, 비알칼리성 비누와 물로 엉덩이를 부드럽게 닦아주거나 목욕한다. 다섯 번째, 산화 아연연고를 피부에 도포한다. 여섯 번째, 알코올등 자극을 줄 수 있는 성분이 함유된 물티슈의 사용을 피한다. 일곱째, 진균감염이 있으면 그에 맞는 적합한 항진균제를 도포한다.
간호진단 1) 잦은 구토 및 설사로 인한 과도한 손실과 관련된 체액 부족의 위험성
간호 중재 계획
첫 번째, 배뇨량감소와 소변농축정도를 사정한다. 두 번째, 구토횟수와 구토상태를 사정한다. 세 번째,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네 번째, v/s을 자주(2~4시간마다) 사정한다. 다섯 번째, 피부와 점막 건조상태를 사정한다. 여섯 번째, 매일 정해진 시간에 몸무게를 측정해 몸무게감소를 사정한다. 일곱째, 수분전해질 불균형정도를 사정한다. 여덟째,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아홉째, 의사처방에 따라 수액을 공급하고 전해질을 보충할 수 있는 용액을 경구 투여한다.
간호진단 2) 잦은 설사로 인한 자극과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간호중재 계획
첫 번째, 엉덩이와 회음부의 감염증상을 관찰한다. 두 번째, 기저귀를 자주 교환한다. 세 번째, 약간 발적된 피부는 되도록 공기에 노출시킨다. 네 번째, 비알칼리성 비누와 물로 엉덩이를 부드럽게 닦아주거나 목욕한다. 다섯 번째, 산화 아연연고를 피부에 도포한다. 여섯 번째, 알코올등 자극을 줄 수 있는 성분이 함유된 물티슈의 사용을 피한다. 일곱째, 진균감염이 있으면 그에 맞는 적합한 항진균제를 도포한다.
추천자료
[간호학]모성-제왕절개
[간호학]신생아중환자실Check list
모성 간호학 간호사 국가고시 총정리
모성 간호학 CASE( 분만장 케이스 ) - 조기진통 PTL 대상자
모성 간호학 (여성건강,사회,문화, 성 생식기, 임부 간호, 질환, 분만, 폐경기)
[모성간호학] 조기분만(preterm delivery)
[성인간호학] ICU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케이스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T-SAH C...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예방접종(豫防接種) - 우리나라의 표준 예방접종, 접종방법(백신의 ...
[모성간호학A+] 스토리텔링을 통한 전치태반과 자간전증 산모의 간호과정 적용
[모성간호학A+] 자간전증 환자의 간호 CASE STUDY
[모성간호학] 정상분만 case study
[간호학] 비뇨기계 염증성 질환 대상자의 간호 (신우신염 방광염 요관 및 요도염 사구체 신염...
[간호학] 정신건강증진 - 위기중재
[간호학] 정신건강증진 위기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