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토대로 불확실한 정보를 줄임으로써 그 대학에 올 유인이 더 생길 수 있을 것이다.
5. 사이버 대학과의 차이점
만약 오픈코스웨어가 일정부분 유료화를 했을 경우, 사이버 대학과 다른 것이 무엇이며, 사이버 대학을 상대로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겠냐는 물음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오픈코스웨어의 내용은 단순히 대학의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만약 유료화를 한다면 오픈코스웨어는 사이버 대학과 비교하여 시장성 및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가라는 물음 역시 있을 수 있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우선 전반적인 사이버 대학교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오픈코스웨어와 사이버 대학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다.
현재 사이버 대학교는 232개이며(정부가 인가한 사이버 대학교 기준), 서울디지털대학교 같은 경우 학점 당 6만원 정도를 받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이버 대학교는 경제, 경영, 부동산, 사회복지 등의 실용적인 강의를 하고 있으며, 이를 이수하면 정상적으로 학점을 부여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물론 강의 역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지원하며, 중간, 기말 시험 역시 온라인을 통하여 보고 있다.
이런 상황을 종합해서 봤을 때,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오픈코스웨어의 부분적 유료화가 합리적인 가격으로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사이버 대학과 비교하여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했다. 사이버 대학의 경우, 학점을 제공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웹상에서의 서비스 이외에도 학사관리 등의 추가적인 비용이 들고, 이 때문에 앞에서 제안했던 비즈니즈 모델을 통해 부분적인 유료화를 합리적으로 시행한다면 충분히 사이버 대학과의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가장 큰 이유는, 앞에서 말했던 이유 때문에 사이버 대학은 학생이 수강을 해야만 강의를 들을 수 있어 강의의 질에 대한 확신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지만, 오픈코스웨어는 강의 및 실라부스, 동영상 강의까지 무료로 제공되기 때문에 강의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비록 학점을 제공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만약 강의 질에 대한 확신과 합리적인 가격대가 마련된다면 고퀄리티의 동영상 및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오픈코스웨어의 비즈니즈 모델은 충분히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이버 대학교에서 지원하지 않는 강의들을 지원한다면 오픈코스웨어 역시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사이버 대학의 경우, 앞에서도 보았듯이 경제, 경영, 부동산, 어학 계열들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는 사이버 대학을 듣는 사람들을 분석한 결과로써, 대부분 사이버 대학에서 학점을 이수하는 사람들이 실질적인 도움을 원하는 사람들, 즉 실용적인 학문들을 원하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이런 실용적인 학문들과 함께 기초가 되는 인문계열의 강의들이나 소위 교양과목에 대한 수요는 사이버 대학교가 채워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오픈코스웨어에서 사이버 대학교에서 제공하지 않는 인문학적 소양 등을 제공한다면, 사이버 대학과 차별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종합해서 생각해보자면, 오픈코스웨어와 사이버 대학은 일정 부분 대체재의 특성을 가지지만, 사이버 대학에서 제공할 수 없는 특별한 가치를 오픈코스웨어에서 제공할 수 있으며, 본질적으로 무료 서비스인 오픈코스웨어는 사용자들에게 자료를 제공하는 과정을 통해 정보의 불완전성을 해소하고 오픈코스웨어를 선택할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사이버 대학과의 경쟁에서도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도, 대체재 경쟁에서도 독자적인 서비스로 충분히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오픈코스웨어의 향후 발전에 대한 제언
그러나 현재 연구에서 제시한 오픈코스웨어의 모습은 단순히 위에서 아래로 지식을 전파하는 역할에 불과하다. 즉, 웹 2.0의 정신인 참여와 공유보다는 어느 정도 공신력이 있는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이 때문에, 현재의 오픈코스웨어 역시 고급 지식의 전파라는 본래의 목적을 살리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런 노력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우선, 오픈코스웨어 자체가 단순히 대학 강의를 올리는 것만이 아닌, 지식 소비자들이 직접 질문 및 답변을 하고 그런 자료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장을 마련해 줌으로써 소극적으로 자료만을 받고 학습을 하는 것에서 벗어나 스스로 지식을 창출하게끔 발전해야 한다. 또한 포털들과의 연계를 통해 오픈코스웨어의 자료를 사람들이 쉽게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고급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딱딱한 UI를 개선하여 일목요연하게 자신이 원하는 과목을 찾을 수 있게 하고, 향후 로그인과 관련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직접 맞춤형 강의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의 생각을 받아 우수 컨텐트를 제공하면 댓가를 제공하여 더 효과적으로 고급 지식을 전달하고자 하는 인센티브를 주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이런 발전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오픈코스웨어는 고급 지식 생산층을 확대시킴으로써 우리나라의 지식인을 늘리고, 다시 이들의 참여를 권장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고급 지식의 확대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전달영, 권주형, 안광진, 사이버대학의 e-Learning 서비스 품질과 참여요인이 학생만족과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제8권 제4호(2005. 12)
김희연, 웹에서 유통되는 정보, 지식의 신뢰연구, 정보통신정책 제 19권 8호 통권 415호
http://ocw.mit.edu/OcwWeb/web/home/home/index.htm
http://kr.youtube.com/user/MIT
http://jp.youtube.com/user/KyoDaiOcw
http://webcast.berkeley.edu/index.php
http://ocw.korea.edu/
http://ocw.khu.ac.kr:8080/CTL/CTL
http://kin.naver.com/
http://ko.wikipedia.org/
http://happybean.naver.com/
5. 사이버 대학과의 차이점
만약 오픈코스웨어가 일정부분 유료화를 했을 경우, 사이버 대학과 다른 것이 무엇이며, 사이버 대학을 상대로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겠냐는 물음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오픈코스웨어의 내용은 단순히 대학의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만약 유료화를 한다면 오픈코스웨어는 사이버 대학과 비교하여 시장성 및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가라는 물음 역시 있을 수 있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우선 전반적인 사이버 대학교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오픈코스웨어와 사이버 대학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다.
현재 사이버 대학교는 232개이며(정부가 인가한 사이버 대학교 기준), 서울디지털대학교 같은 경우 학점 당 6만원 정도를 받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이버 대학교는 경제, 경영, 부동산, 사회복지 등의 실용적인 강의를 하고 있으며, 이를 이수하면 정상적으로 학점을 부여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물론 강의 역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지원하며, 중간, 기말 시험 역시 온라인을 통하여 보고 있다.
이런 상황을 종합해서 봤을 때,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오픈코스웨어의 부분적 유료화가 합리적인 가격으로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사이버 대학과 비교하여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했다. 사이버 대학의 경우, 학점을 제공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웹상에서의 서비스 이외에도 학사관리 등의 추가적인 비용이 들고, 이 때문에 앞에서 제안했던 비즈니즈 모델을 통해 부분적인 유료화를 합리적으로 시행한다면 충분히 사이버 대학과의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가장 큰 이유는, 앞에서 말했던 이유 때문에 사이버 대학은 학생이 수강을 해야만 강의를 들을 수 있어 강의의 질에 대한 확신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지만, 오픈코스웨어는 강의 및 실라부스, 동영상 강의까지 무료로 제공되기 때문에 강의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비록 학점을 제공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만약 강의 질에 대한 확신과 합리적인 가격대가 마련된다면 고퀄리티의 동영상 및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오픈코스웨어의 비즈니즈 모델은 충분히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이버 대학교에서 지원하지 않는 강의들을 지원한다면 오픈코스웨어 역시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사이버 대학의 경우, 앞에서도 보았듯이 경제, 경영, 부동산, 어학 계열들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는 사이버 대학을 듣는 사람들을 분석한 결과로써, 대부분 사이버 대학에서 학점을 이수하는 사람들이 실질적인 도움을 원하는 사람들, 즉 실용적인 학문들을 원하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이런 실용적인 학문들과 함께 기초가 되는 인문계열의 강의들이나 소위 교양과목에 대한 수요는 사이버 대학교가 채워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오픈코스웨어에서 사이버 대학교에서 제공하지 않는 인문학적 소양 등을 제공한다면, 사이버 대학과 차별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종합해서 생각해보자면, 오픈코스웨어와 사이버 대학은 일정 부분 대체재의 특성을 가지지만, 사이버 대학에서 제공할 수 없는 특별한 가치를 오픈코스웨어에서 제공할 수 있으며, 본질적으로 무료 서비스인 오픈코스웨어는 사용자들에게 자료를 제공하는 과정을 통해 정보의 불완전성을 해소하고 오픈코스웨어를 선택할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사이버 대학과의 경쟁에서도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도, 대체재 경쟁에서도 독자적인 서비스로 충분히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오픈코스웨어의 향후 발전에 대한 제언
그러나 현재 연구에서 제시한 오픈코스웨어의 모습은 단순히 위에서 아래로 지식을 전파하는 역할에 불과하다. 즉, 웹 2.0의 정신인 참여와 공유보다는 어느 정도 공신력이 있는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이 때문에, 현재의 오픈코스웨어 역시 고급 지식의 전파라는 본래의 목적을 살리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런 노력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우선, 오픈코스웨어 자체가 단순히 대학 강의를 올리는 것만이 아닌, 지식 소비자들이 직접 질문 및 답변을 하고 그런 자료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장을 마련해 줌으로써 소극적으로 자료만을 받고 학습을 하는 것에서 벗어나 스스로 지식을 창출하게끔 발전해야 한다. 또한 포털들과의 연계를 통해 오픈코스웨어의 자료를 사람들이 쉽게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고급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딱딱한 UI를 개선하여 일목요연하게 자신이 원하는 과목을 찾을 수 있게 하고, 향후 로그인과 관련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직접 맞춤형 강의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의 생각을 받아 우수 컨텐트를 제공하면 댓가를 제공하여 더 효과적으로 고급 지식을 전달하고자 하는 인센티브를 주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이런 발전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오픈코스웨어는 고급 지식 생산층을 확대시킴으로써 우리나라의 지식인을 늘리고, 다시 이들의 참여를 권장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고급 지식의 확대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전달영, 권주형, 안광진, 사이버대학의 e-Learning 서비스 품질과 참여요인이 학생만족과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제8권 제4호(2005. 12)
김희연, 웹에서 유통되는 정보, 지식의 신뢰연구, 정보통신정책 제 19권 8호 통권 415호
http://ocw.mit.edu/OcwWeb/web/home/home/index.htm
http://kr.youtube.com/user/MIT
http://jp.youtube.com/user/KyoDaiOcw
http://webcast.berkeley.edu/index.php
http://ocw.korea.edu/
http://ocw.khu.ac.kr:8080/CTL/CTL
http://kin.naver.com/
http://ko.wikipedia.org/
http://happybean.naver.com/
키워드
추천자료
[품질경영, 인적자원관리] 지식경영과 품질경영에 관하여...
치매예방 프로그램이 노인 치매의 지식. 태도, 우울에 미치는 효과
구조주의, 탈구조주의이론과 구조주의와 지식
중국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수준이 제조국별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민가]한국 전통민가 실례를 통해 본 목수들의 지식체계
(주)SK의 지식경영
교육사회(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관점 지식의 계층화)
[금융기관]금융기관의 지식경영, 금융기관의 위험관리, 금융기관의 금융리스크, 금융기관의 ...
교과중심/학문중심의 교육과 통합교육과정(간학문적 교육과정)의 기본하부구조(지식에 대한 ...
[산학협동] 지식재산 투자확대와 산학협력 강화.PPT자료
21세기 새로운 경영패러다임 - 지식경영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 전문지식과 실천기술, 사회복지사의 윤리에 대해
자원봉사자(volunteer)가 갖추어야 할 필요한 지식知識 및 이론과 자원봉사실천의 기술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