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실관계
Ⅱ. 법원의 판단
1. 쟁점1
2. 쟁점2
3. 쟁점3
Ⅲ. 판결의 검토
1. 영업양도인의 경업금지의무
2. 경업금지의무의 내용
3. 경업금지의무의 승계
4. 의무위반의 효과
-참고자료
Ⅱ. 법원의 판단
1. 쟁점1
2. 쟁점2
3. 쟁점3
Ⅲ. 판결의 검토
1. 영업양도인의 경업금지의무
2. 경업금지의무의 내용
3. 경업금지의무의 승계
4. 의무위반의 효과
-참고자료
본문내용
가 이전되지 않는다는게 통설이다. 상법 제41조의 경업금지의무는 특정승계에 의해 이전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통설이다. 최초양도인은 영업양수인이 제3자에게 양도하게 될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상황에서 두번째 양수인에 대해 경업금지의무를 부담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상법 제41조의 규정취지상 이를 긍정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4. 의무위반의 효과
현재 양도인의 경업금지의무 위반할 경우에 별도의 규정이 없다. 경업금지의무가 부작위적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양수인은 민법 제389조 제3항에 의한 강제이행과 제390조에 의한 손해배상청구권을 통해 구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수인이 경업금지를 위반하면 민사집행법을 통한 강제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경업금지를 내용으로 하는 판결을 얻어 위반행위를 막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양수인은 위의 방법을 통해 양도인의 위반행위를 막아야한다. 그리고 이어 물적 시설을 제거함으로써 자신의 재산과 이익을 보호함이 당연하다. 영업양도인의 부작위의무를 위배하여 영업행위를 한 경우 영업을 폐지할 것이 요구할 수 있다는 판례가 있다. 더불어 의무를 피하기 위해 타인에게 임대, 양도하더라도 시설 및 설비 영업의 행태가 자행될 경우 해소되지 않는다. 더욱 강력한 강제이행으로 영업양도인의 영업금지 외에 제3자에 대한 영업의 임대, 양도 기타 처분도 금지시킬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참고자료
이철송, 상법총칙상행위(제13판), 박영사, 2015.
정찬형, 상법강의(상)(제18판), 박영사, 2015.
정병덕, 商事判例硏究 第29輯 第1卷 2016.3.31
4. 의무위반의 효과
현재 양도인의 경업금지의무 위반할 경우에 별도의 규정이 없다. 경업금지의무가 부작위적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양수인은 민법 제389조 제3항에 의한 강제이행과 제390조에 의한 손해배상청구권을 통해 구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수인이 경업금지를 위반하면 민사집행법을 통한 강제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경업금지를 내용으로 하는 판결을 얻어 위반행위를 막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양수인은 위의 방법을 통해 양도인의 위반행위를 막아야한다. 그리고 이어 물적 시설을 제거함으로써 자신의 재산과 이익을 보호함이 당연하다. 영업양도인의 부작위의무를 위배하여 영업행위를 한 경우 영업을 폐지할 것이 요구할 수 있다는 판례가 있다. 더불어 의무를 피하기 위해 타인에게 임대, 양도하더라도 시설 및 설비 영업의 행태가 자행될 경우 해소되지 않는다. 더욱 강력한 강제이행으로 영업양도인의 영업금지 외에 제3자에 대한 영업의 임대, 양도 기타 처분도 금지시킬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참고자료
이철송, 상법총칙상행위(제13판), 박영사, 2015.
정찬형, 상법강의(상)(제18판), 박영사, 2015.
정병덕, 商事判例硏究 第29輯 第1卷 2016.3.31
키워드
추천자료
상행위의 유상성과 연대성
불공정거래행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스토커행위규제법의 성립과 배경에 관한 고찰
상인과 상행위
수익적행정행위의 철회와 철회의 제한
상담의 기초이론(정신분석적, 인간중심적, 합리적정의적, 인지적)
[불공정거래행위][심결례][연예계][신문사]불공정거래행위의 유형, 기준, 심결례와 연예계 불...
[부당노동행위][부당노동행위에 대한 법규정][부당노동행위 구제]부당노동행위의 유형, 부당...
[미성년자][미성년][미성년자(미성년) 매매춘][미성년자(미성년) 불법행위][청소년][청소년문...
(사회복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주요내용정리 및 정책 제안 보고서
사인의 공법행위
[부정, 부정과 부정수급, 부정과 부정광고, 부정과 부정이용, 부정과 부정행위방지, 부정과 ...
소급과세 금지의 원칙
장애인 차별금지법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