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체계 비교분석]삼성전자, 현대차, 아모레퍼시픽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체계 비교분석]삼성전자, 현대차, 아모레퍼시픽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선정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체계
Ⅱ. 기업별 인적자원개발 체계의 특징과 장단점 분석
Ⅲ. 느낀점 및 제언사항
참고문헌

본문내용

육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교육들은 단계별 명확한 목표를 명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신입사원들로 하여금 아모레퍼시픽에 빠른 시간 내 효율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신입사원들은 교육제도의 마지막 5단계 F/U과정을 통해 10개월간의 회사생활을 다시금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서 직원 스스로 자신을 평가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진단평가의 일환으로서 인적자원개발 교육과정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참가자 스스로 자신과 팀원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모레퍼시픽에는 경력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지 않다. 이는 이전에 살펴본 삼성전자, 현대차와는 다른 모습이다. 따라서 만약 내부적으로 체계적인 교육제도가 있다면 신입사원 교육제도뿐만 아니라 경력사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제도도 적극적으로 외부에 알릴 필요가 있다. 만약 이러한 절차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직원들로 하여금 기업의 인재 양성을 위한 조직관리가 체계적이지 않다는 부정적인 인상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Ⅲ. 느낀점 및 제언사항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업들로서 삼성전자, 현대차, 아모레퍼시픽의 인적자원개발체계에 대해 살펴봤다. 이번 조사를 통해 대기업으로 성장하기 까지 인재양성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온 기업들의 노력을 새삼 깨닫게 된 계기가 되었다. 실제 위의 기업들과 같이 성장하기 위해서 인적자원개발체계는 반드시 필요한 선결조건이 될 것이다. 하지만 삼성전자, 현대차와 비교하여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상대적으로 인적자원개발체계가 정교하지 않다는 인상을 얻게 되었다.
삼성전자와 현대차는 신입직원뿐만 아니라 경력사원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아모레퍼시픽의 채용홈페이지에서는 오로지 신입사원에 대한 교육제도만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3개의 기업 중 인적자원개발체계가 가장 정교한 기업은 단연 ‘현대차’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현대차는 직무, 직급별 인재양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으며, 기업의 가치관과 프로그램들이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는 직원들이 기업이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를 지속적으로 공유해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러한 현대차의 인적자원개발체계는 향후 우리사회의 다양한 기업들의 인재양성을 위한 하나의 모델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아모레퍼시픽 채용사이트 (http://recruit.amorepacific.co.kr/home.do)
현대차 채용사이트 (http://recruit.hyundai.com/hfront/Main.do?cmd=main&p_hgrcode=1)
삼성전자 채용사이트
(http://www.samsung.com/sec/aboutsamsung/careers/employment/employment_list.html)
인적자원개발 이론과 실천, 정원섭 저, 학지사, 2015.09.05.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3.02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98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