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본론
Ⅳ. 결론
Ⅱ. 문헌 고찰
Ⅲ. 본론
Ⅳ. 결론
본문내용
PLT
Pct
MPV
PDW
5,000~10,000/㎣
4.2~5.4*10^6/㎣
12~16g/100ml
37~47%
80~95
27~31pg
32~36g/100dl
15~40*10^4/㎣
31~43%
15.5~17.5%
5250/㎣
4.79*10^6/㎣
12.1g/100ml
42%
87.7
29pg
33.1g/100ml
14.7%
28.6*10^4/㎣
42%
12.3%
항목
정상범주
결과
임상적 의의
S.G
pH
Protein
Glucose
Ketones
Bilirubin
Blood
Nitrite
Urobilinogen
1.005~1.030
5.0~8.5
3.2~4.5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1.020
5.5
4.2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ormal
RBC
WBC
Epithelial
Bacteria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0~1/hpf
0/hpf
2)urinalysis
(3)Blood Chemistry
항목
정상범주
결과
임상적 의의
T.Protein
Albumine
T.Bilirubin
Cholesterol
A.S.T
A.L.P
r-G.T
6.5~8.2g/100ml
3.5~5.1g/100ml
1.2↓mg/100ml
120~230mg/100ml
0~40IU/l
0~40IU/l
7.7g/100ml
4.1g/100ml
0.6mg/100ml
118mg/100ml
22IU/l
26IU/l
Glucose
B.U.N
Creatine
Uric acid
in.P
Ca
70~110mg/100ml
5.0~23mg/100ml
0.5~1.4mg/100ml
8.2~10.8
73mg/100ml
13mg/100ml
0.9mg/100ml
9.1mg/100ml
Na
K
Cl
TCO2
135~145
3.5~5.5
98~110
24~31
146
4.6
109
25
TG
Osm(blood)
Osm(urine)
2. 간호진단(Ⅰ)
◈진단명 : 부비동염과 관련된 통증
▶과학적 근거
부비동염에서 점막종창으로 부비동과 코의 통로가 폐쇄 되면 분비물이 없으며 대상자는 심한 통증을 호소 한다.
▶합리적 근거
"광대뼈 있는 데가 아파요.“
“아침에 통증이 특히 심해요.”
부비동 부위를 손으로 감싸며 얼굴을 찡그리고 있는 것을 자주 볼 수 있 다.
상악동 부위가 발적이 되고 부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평가
통증 횟수와 강도가 감소한다.
독서, TV시청, 산책등으로 주위 전환을 한다.
이완요법, 심호흡, 요가 등을 권한다.
과도한 불안, 공포, 활동 등의 요인을 감소시킨다.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아늑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독서나 TV시청등을 하도록 해 주위 전환을 시켰다.
심호흡, 이완 요법등을 하도록 권했다.
과도한 활동을 하지 않도록 했다.
조용한 환경을 제공했다.
아늑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커텐을 쳐주었다.
아직 많이 아파하긴
하지만 예전보다는
안정된 모습으로 생
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간호진단(Ⅱ)
◈진단명 : 연하시 부비동 통증으로 인한 영양부족
▶과학적 근거
부비동염으로 인해 통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움직이거나 누룰 때 압통이 더 심해진다. 그러므로 연하시에는 통증이 더 심해진다.
▶합리적 근거
"씹을 때 아파요.“
“다른 것은 못 먹고 죽만 먹어요.”
식사 할 때 죽을 반 정도 먹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체중 56kg(표준체중 63.9kg)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평가
정상적인 영양상태를 유지한다.
식사를 소량씩 자주 제공한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악취나 분비물이 없는 깨끗한 상태에서 식사를 제공한다.
천천히 먹고 마시도록 권장한다.
식사 중간에는 음료수를 제한한다.
먹기 싫은 음식은 제거한다.
고칼륨, 고탄수화물, 고단백 식이를 제공한다.
식욕을 증진시킨다.
비타민 부족을 보충한다.
일주일에 2~3회 체중을 측정하도록 한다.
입안을 청결히 하여 식욕을 증진시킨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해주었다.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했다.
천천히 먹고 마시도록 했다.
식사 중간에 음료수를 먹지 않도록 했다.
먹기 싫은 음식은 먹지 않도록 했다.
일주일에 2~3회 체중을 측정하도록 했다.
입안을 청결하게 하도록 했다.
여전히 죽을 먹긴 하지만 예전보다 많이 먹는 것을 볼 수 있었다.
6/28 체중 57.5kg
2. 간호진단(Ⅲ)
◈진단명: 안면 손상으로 인한 자긍심 저하
▶과학적 근거
안면 수술 경험으로 외과적 상처가 얼굴에 남아 있다.
▶합리적 근거
"얼굴이 이래서 잘 못들고 다니겠어요.“
“사람들이 빤히 쳐다보는 것 같아요.”
다른 사람이 지나가면 고개를 숙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대화를 할 때 사람을 똑바로 바라보지 못한다.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평가
신체상의 변화를 수용한다.
신체 변화의 원인을 알려준다.
느낌을 말하게 한다.
정서적 지지와 격려를 한다.
감정과 관심을 표현하도록 대상자와 가족을 격려한다.
잘못된 생각을 명확하게 해준다.
신체적 진전에 대해 토론한다.
안면 수술로 인해 신체적 변화가 생겼다는 것을 알려줬다.
느낌과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했다.
정서적 지지와 격려를 했다.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리고 밖에 잘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Ⅳ. 결론
case study를 해보면서 간호과정이라는 것을 미흡하게나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대상자의 문제에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것을 통해서만 진정한 전문인으로서의 간호사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하게 되었다. 비록 계속해서 대상자를 관찰하고 간호를 할 수 없어서 제대로 간호를 수행하고 평가하지 못했지만 이렇게 간호사정을 하고 간호계획을 세우므로써 대상자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간호과정을 잘 이해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환자간호사례 연구를 통해서 앞으로도 진정한 의료전문인으로서 대상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한 간호를 수행해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Pct
MPV
PDW
5,000~10,000/㎣
4.2~5.4*10^6/㎣
12~16g/100ml
37~47%
80~95
27~31pg
32~36g/100dl
15~40*10^4/㎣
31~43%
15.5~17.5%
5250/㎣
4.79*10^6/㎣
12.1g/100ml
42%
87.7
29pg
33.1g/100ml
14.7%
28.6*10^4/㎣
42%
12.3%
항목
정상범주
결과
임상적 의의
S.G
pH
Protein
Glucose
Ketones
Bilirubin
Blood
Nitrite
Urobilinogen
1.005~1.030
5.0~8.5
3.2~4.5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1.020
5.5
4.2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ormal
RBC
WBC
Epithelial
Bacteria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0~1/hpf
0/hpf
2)urinalysis
(3)Blood Chemistry
항목
정상범주
결과
임상적 의의
T.Protein
Albumine
T.Bilirubin
Cholesterol
A.S.T
A.L.P
r-G.T
6.5~8.2g/100ml
3.5~5.1g/100ml
1.2↓mg/100ml
120~230mg/100ml
0~40IU/l
0~40IU/l
7.7g/100ml
4.1g/100ml
0.6mg/100ml
118mg/100ml
22IU/l
26IU/l
Glucose
B.U.N
Creatine
Uric acid
in.P
Ca
70~110mg/100ml
5.0~23mg/100ml
0.5~1.4mg/100ml
8.2~10.8
73mg/100ml
13mg/100ml
0.9mg/100ml
9.1mg/100ml
Na
K
Cl
TCO2
135~145
3.5~5.5
98~110
24~31
146
4.6
109
25
TG
Osm(blood)
Osm(urine)
2. 간호진단(Ⅰ)
◈진단명 : 부비동염과 관련된 통증
▶과학적 근거
부비동염에서 점막종창으로 부비동과 코의 통로가 폐쇄 되면 분비물이 없으며 대상자는 심한 통증을 호소 한다.
▶합리적 근거
“아침에 통증이 특히 심해요.”
상악동 부위가 발적이 되고 부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평가
통증 횟수와 강도가 감소한다.
독서, TV시청, 산책등으로 주위 전환을 한다.
이완요법, 심호흡, 요가 등을 권한다.
과도한 불안, 공포, 활동 등의 요인을 감소시킨다.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아늑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독서나 TV시청등을 하도록 해 주위 전환을 시켰다.
심호흡, 이완 요법등을 하도록 권했다.
과도한 활동을 하지 않도록 했다.
조용한 환경을 제공했다.
아늑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커텐을 쳐주었다.
아직 많이 아파하긴
하지만 예전보다는
안정된 모습으로 생
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간호진단(Ⅱ)
◈진단명 : 연하시 부비동 통증으로 인한 영양부족
▶과학적 근거
부비동염으로 인해 통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움직이거나 누룰 때 압통이 더 심해진다. 그러므로 연하시에는 통증이 더 심해진다.
▶합리적 근거
“다른 것은 못 먹고 죽만 먹어요.”
체중 56kg(표준체중 63.9kg)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평가
정상적인 영양상태를 유지한다.
식사를 소량씩 자주 제공한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악취나 분비물이 없는 깨끗한 상태에서 식사를 제공한다.
천천히 먹고 마시도록 권장한다.
식사 중간에는 음료수를 제한한다.
먹기 싫은 음식은 제거한다.
고칼륨, 고탄수화물, 고단백 식이를 제공한다.
식욕을 증진시킨다.
비타민 부족을 보충한다.
일주일에 2~3회 체중을 측정하도록 한다.
입안을 청결히 하여 식욕을 증진시킨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해주었다.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했다.
천천히 먹고 마시도록 했다.
식사 중간에 음료수를 먹지 않도록 했다.
먹기 싫은 음식은 먹지 않도록 했다.
일주일에 2~3회 체중을 측정하도록 했다.
입안을 청결하게 하도록 했다.
여전히 죽을 먹긴 하지만 예전보다 많이 먹는 것을 볼 수 있었다.
6/28 체중 57.5kg
2. 간호진단(Ⅲ)
◈진단명: 안면 손상으로 인한 자긍심 저하
▶과학적 근거
안면 수술 경험으로 외과적 상처가 얼굴에 남아 있다.
▶합리적 근거
“사람들이 빤히 쳐다보는 것 같아요.”
대화를 할 때 사람을 똑바로 바라보지 못한다.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평가
신체상의 변화를 수용한다.
신체 변화의 원인을 알려준다.
느낌을 말하게 한다.
정서적 지지와 격려를 한다.
감정과 관심을 표현하도록 대상자와 가족을 격려한다.
잘못된 생각을 명확하게 해준다.
신체적 진전에 대해 토론한다.
안면 수술로 인해 신체적 변화가 생겼다는 것을 알려줬다.
느낌과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했다.
정서적 지지와 격려를 했다.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리고 밖에 잘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Ⅳ. 결론
case study를 해보면서 간호과정이라는 것을 미흡하게나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대상자의 문제에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것을 통해서만 진정한 전문인으로서의 간호사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하게 되었다. 비록 계속해서 대상자를 관찰하고 간호를 할 수 없어서 제대로 간호를 수행하고 평가하지 못했지만 이렇게 간호사정을 하고 간호계획을 세우므로써 대상자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간호과정을 잘 이해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환자간호사례 연구를 통해서 앞으로도 진정한 의료전문인으로서 대상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한 간호를 수행해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추천자료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수술 중 간호 및대퇴골절의 수술과정
대장암 케이스 스터디와 간호과정입니다
만성부비동염 케이스 스터디
[모성간호학 실습] 분만 과정 - 분만 1기 케이스 스터디 (미래여성병원 모성병동+DR)
지역사회간호진단 지역사회간호과정 지역사회케이스 스터디 만성 통증 질환에 대한 비효율적 ...
폐렴 케이스 스터디 Pneumonia case study (성인케이스스터디, 폐렴간호진단, 폐렴간호사례, ...
[성인간호학][LC][간경화][liver cirrhos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간호진단,간호과정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간호과정, 간호진단
[모성간호학][분만 케이스][분만과정]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양극성장애 1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A+ 받았어요!!
Asthma 천식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A+ 받았어요!
A+) Placenta Previa 전치태반 케이스 스터디, 전치태반 간호과정, 전치태반 case study, 전...
위암(Stomach cancer) 케이스 스터디, 위암(Stomach cancer) 간호과정, 위암 사례연구, 위암 ...
sigmoid volvulus 에스결장 염전 케이스 스터디 주진단 : poor intake, constipation-sigmoi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