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과정이론 소개
2. 순치이론(학습이론)의 내용
Ⅲ. 결론 (순치이론, 동기이론으로의 활용가능성 평가)
참고문헌
Ⅱ. 본론
1. 과정이론 소개
2. 순치이론(학습이론)의 내용
Ⅲ. 결론 (순치이론, 동기이론으로의 활용가능성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서 야기되는 행동의 영향에 대해서는 평가할 수 없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와 더불어 순치이론은 조직 내에서 외재적 보상만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직무’ 자체가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쳐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또한 순치이론의 가정들은 대부분 동물실험과, 실험실적 조사연구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사회에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Ⅲ. 결론 (순치이론, 동기이론으로의 활용가능성 평가)
지금까지 순치이론의 기본적인 관점과 원리, 이론구조, 유인기제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순치이론은 주로 기대이론과 대비된다. 기대이론이 인간의 내면에서 행동 동기를 찾고자 하는 것과는 달리 순치이론은 관찰이 가능한 행동에서 인간의 동기를 찾고자 한다. 순치이론은 객관화 할 수 있는 ‘행동’을 지표로 하고 있기에 기존의 기대이론이 가지는 인간 행동에 대한 막연성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순치이론의 내용들이 대부분 실험실적 조사연구와 동물실험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제 인간의 조직행태에 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비판도 내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나는 순치이론이 동기이론으로서 활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순치이론이 가지는 내재적인 비판을 보완하기 위해 기대이론과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순치이론의 유인기제들은 인간의 행동의 직접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행동과 유인기제를 적용한 이후의 행동을 비교함으로서 실제 유인기제의 효과성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동기이론으로서 순치이론이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이라 생각된다. 조직을 운영하고 구성원을 관리함에 있어 순치이론은 명확한 유인기제를 바탕으로 조직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허나, 인간의 복잡한 심리와 의사결정과정에 의해 최종적으로 판단되는 행동의 동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순치이론이 배제하고 있는 인간 내면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점에서 기대이론은 순치이론의 훌륭한 보완재가 되리라 판단된다.
참고자료
조직행태론, 오세덕, 이명재, 임영제, 동림사, 2004.4.6.
조직행태론, 오석홍, 정홍익 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4.01.22
조직 행태의 이해, 김호섭 저, 대영문화사, 2002.02.20.
행정과 조직행태, 김호섭, 김판석 외 2명 저, 대영문화사, 2011.07.25
이와 더불어 순치이론은 조직 내에서 외재적 보상만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직무’ 자체가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쳐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또한 순치이론의 가정들은 대부분 동물실험과, 실험실적 조사연구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사회에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Ⅲ. 결론 (순치이론, 동기이론으로의 활용가능성 평가)
지금까지 순치이론의 기본적인 관점과 원리, 이론구조, 유인기제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순치이론은 주로 기대이론과 대비된다. 기대이론이 인간의 내면에서 행동 동기를 찾고자 하는 것과는 달리 순치이론은 관찰이 가능한 행동에서 인간의 동기를 찾고자 한다. 순치이론은 객관화 할 수 있는 ‘행동’을 지표로 하고 있기에 기존의 기대이론이 가지는 인간 행동에 대한 막연성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순치이론의 내용들이 대부분 실험실적 조사연구와 동물실험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제 인간의 조직행태에 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비판도 내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나는 순치이론이 동기이론으로서 활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순치이론이 가지는 내재적인 비판을 보완하기 위해 기대이론과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순치이론의 유인기제들은 인간의 행동의 직접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행동과 유인기제를 적용한 이후의 행동을 비교함으로서 실제 유인기제의 효과성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동기이론으로서 순치이론이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이라 생각된다. 조직을 운영하고 구성원을 관리함에 있어 순치이론은 명확한 유인기제를 바탕으로 조직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허나, 인간의 복잡한 심리와 의사결정과정에 의해 최종적으로 판단되는 행동의 동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순치이론이 배제하고 있는 인간 내면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점에서 기대이론은 순치이론의 훌륭한 보완재가 되리라 판단된다.
참고자료
조직행태론, 오세덕, 이명재, 임영제, 동림사, 2004.4.6.
조직행태론, 오석홍, 정홍익 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4.01.22
조직 행태의 이해, 김호섭 저, 대영문화사, 2002.02.20.
행정과 조직행태, 김호섭, 김판석 외 2명 저, 대영문화사, 2011.07.25
추천자료
조직행동론 동기부여이론
교육과정이론 소견서
조직발전: 행태론적 접근법
교육과정및_평가_형식도야이론
플라톤의 동굴이론으로 바라본 조직행태
2011년 1학기 조직행태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사회복지정책 과정) 사회복지정책의 과정이론과 정책과정 이해당사자 및 사회복지정책과정의 ...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과 형성과정이론
모티베이션의 과정이론
교과론_과정중심이론의허점과_보완
사회복지와 관련된 동기부여이론으로 본인이 조직의 관리자라면 어떠한 동기부여이론으로 부...
[범죄학] 유영철 소개, 유영철 범행 소개, 범죄 원인, 범행 원인, 범행 수법, 수법을 통한 행...
[성격이론] 과정이론-행동주의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