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검사
(5) 치료
3. 간호과정
-간호사정-
(1)개인력
(2)건강력
(3)신체검진
(4)진단검사
(5)치료 및 경과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참고문헌-
2.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검사
(5) 치료
3. 간호과정
-간호사정-
(1)개인력
(2)건강력
(3)신체검진
(4)진단검사
(5)치료 및 경과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시적인 구토, 어지러움, 권태, 완화한 혈압강하, 국소통증과 근육주사 후 국소통증
2. 간호진단
간호진단
#1. 폐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사정
▣ 주관적 자료 - “애기 얼굴이 붉어져 몸을 만져보니 몸이 뜨끈뜨끈해요”
“애기가 자꾸만 칭얼거리며 보채요.” - (By 보호자)
▣ 객관적 자료 - BT: 38.9℃
WBC: 12.6(정상치:4.0-12.0 10^9/L㎕ )
만졌을 때 몸 전체에서 열감이 느껴진다.
얼굴이 찌푸려져 있고 호흡이 빨라짐(38회/분).
간호목표
▣ 장기목표 - 정상체온으로 측정된다.
▣ 단기목표 - 당일 체온이 떨어진다.
2주 내로 WBC가 정상치로 떨어진다.
표정이 편안해지고 호흡수가 정상치로 돌아온다.
간호계획
1. 해열제를 투여 한다.
2. 해열제 투여 후 2시간마다 BT를 측정하며 발열양상을 관찰한다.
3. 두꺼운 이불을 벗겨놓아 체온을 떨어뜨린다.
4. tepid massage를 해준다.
간호수행
1.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하는것을 보았 다.
(Denogan Injection)
2. 2시간마다 BT를 측정하였다.
3. 두꺼운 이불을 벗기고 반시트를 덮 어 주었다.
4. Tepid massage를 해준다.
*방법: 수건에 미지근한 물을 묻히 고 체온이 내려 갈 때까지 전신을 닦아 준다.
이론적 근거
Tepid massage를 하면 전신을 닦아주었을 때 물이 증발하면서 기화열에 의해 체온이 내려간다. 기화열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젖은 수건으로 계속 덮고 있으면 효과가 없다. 물 1cc가 증발하면서 540cal의 열을 뺏어 갑니다. 그러나 40℃의 물과 10℃의 물의 열량 차이는 물의 비열이 1cal/1℃/1cc 이므로 1cc 당 30cal 이다. 이 열량은 기화열 540cal에 비교하면 크지 않은 반면, 10℃의 찬물은 아이가 훨씬 힘들어 하고, 또 혈관을 수축시켜, 몸 중심의 열이 체 표면으로 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효과를 훨씬 떨어트린다.
평가
* “어머니가 컨디션이 좋아요. 이젠 칭얼대지 않고 열도 높지 않은 것 같아요.”라 고 보호지가 말씀하였다.
* 몸을 만졌을 때 열감이 나타나지 않았다.
* 입원당일 38.9℃였던 환자가 해열제를 복용하고 Tepid massage를 시행한 결 과 체온이 떨어지다가 해열제를 복용하지 않고 tepid massage를 시행하 지 않아도 36℃로 정상체온을 보인다.
간호진단
#2. 분비물 배출의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사정
▣ 주관적 자료 - “숨 쉴 때마다 특히 잠잘 때 쌕쌕거려요”(weezing있음)
“기침을 하기 시작하면 어머니가 힘들어 해요” -(By보호자)
▣ 객관적 자료 - 기침증상을 자주 보이며 기침 시 힘들어 한다.
호흡 시 천명음이 들린다.
호흡횟수가 분당 38회
간호목표
▣ 장기목표 - 정상적인 호흡을 한다.
▣ 단기목표 - 호흡음이 깨끗하고 일정하게 들린다.
1주일 내로 기침증상이 감소한다.
간호계획
1. T.P.R.체크, 특히 호흡수를 사정한다.
2. 환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반 좌위를 취해 준다.
3. 흉부 물리요법의 방법을 설명하고 실시한다.
4. nebulization(분무요법)의 실시한다.
5. 수분 섭취를 증가 시켜 분비물이 묽어지도록 한다.
6. 필요시 기관지 확장제나 거담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1. 6시간 마다 호흡수를 사정하고 폐음 을 청취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2. 침상머리를 30도 정도 올려주고 반 좌위를 하도록 하였다.
3. 흉부 타진요법을 30분마다 한번씩 5 분간 실시 후 기침, 가래를 유도시켰 다.
*방법: 환자를 하엽 뒤쪽 분절을 손 을 컵 모양으로 오므리고 팔 꿈치를 약간 구부린 후 손목 을 이완시켜 빠르게 폐분절 부위를 교대로 두드림
4. nebulization(분무요법)를 하루 4시간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아벤트로흡입액)
*방법: sodium chloride[remark : 3% saline
(Nacl1cc+SW3cc)]을 4cc씩 4시간 간 격으로 실시하였다.
5. 수분을 800ml 이상 섭취하도록 하였다.(수저로 물을 떠서 섭취하도록 한다.)
6.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였다.
이론적 근거
2. 폐확장을 도모한다.
3. 손을 컵모양으로 오므려 공기주머니를 형성하여 두드리면 흉벽을 통해 분비물을 일시적으로 진동시키므로 분비물이 묽어져 쉽게 떨어져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4. 기관지확장제와 수증기를 공급함으로서 기관지를 확장시키고,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하기 쉽게한다. 약물이 기도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소량의 약물로 효과가 크고 약효가 신속하게 나타난다.
5. 마시고 있는 동안에 기침을 하기 시작하면 사래가 들거나 토하기 쉬우므로 숟가락으로 한 입씩 떠먹이는 것이 안심이 된다.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평가
* 쌕쌕거리는 호흡음이 덜해졌다.
“잘 때 숨소리가 훨씬 좋아졌어요.”라고 보호자가 말씀하셨다.
* 대상자의 호흡이 평균 24으로 측정되었다.
* 충분한 수분섭취와 흉부타진요법으로 가래와 기침의 양이 입원할 때 보다 많 이 줄었고 불평도 없어졌다.
Ⅳ. 결론
폐렴은 말초 기관지와 폐 실질에 발생하는 염증성 호흡기 질환을 말한다. 이런 폐렴의 간호는 아동의 요구에 따라 대중적지지 간호를 해야 한다. 신체적 정신적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해 가능한 휴식을 취하고 에너지를 보존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질병의 진행과정을 사정하고 합병증의 초기증상을 확인하기 위해 활력징후의 측정과 흉부의 청진을 계속적으로 실시해야한다. 무엇보다도 치료보다는 예방이 우선인데 폐렴은 환절기나 추운 겨울철에 호흡기계의 감염병을 조심하여야한다.
폐렴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고 간호과정을 하는 등 사례보고서를 하면서 폐렴이 어떤 질환이고 어떻게 간호를 해야 하는지 확실히 알게 되었다.
♣ 참고 문헌 ♣
감수 김조자, 2007. for nurse Review Book, 의학서원(Medicean)
대한내과학회편, HARRISON'S 내과학, 도서출판 MIP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 참고 Site ♣
국가통계포털사이트(http://www.kosis.kr/)
킴스온라인(www.kimsonline.co.kr)
2. 간호진단
간호진단
#1. 폐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사정
▣ 주관적 자료 - “애기 얼굴이 붉어져 몸을 만져보니 몸이 뜨끈뜨끈해요”
“애기가 자꾸만 칭얼거리며 보채요.” - (By 보호자)
▣ 객관적 자료 - BT: 38.9℃
WBC: 12.6(정상치:4.0-12.0 10^9/L㎕ )
만졌을 때 몸 전체에서 열감이 느껴진다.
얼굴이 찌푸려져 있고 호흡이 빨라짐(38회/분).
간호목표
▣ 장기목표 - 정상체온으로 측정된다.
▣ 단기목표 - 당일 체온이 떨어진다.
2주 내로 WBC가 정상치로 떨어진다.
표정이 편안해지고 호흡수가 정상치로 돌아온다.
간호계획
1. 해열제를 투여 한다.
2. 해열제 투여 후 2시간마다 BT를 측정하며 발열양상을 관찰한다.
3. 두꺼운 이불을 벗겨놓아 체온을 떨어뜨린다.
4. tepid massage를 해준다.
간호수행
1.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하는것을 보았 다.
(Denogan Injection)
2. 2시간마다 BT를 측정하였다.
3. 두꺼운 이불을 벗기고 반시트를 덮 어 주었다.
4. Tepid massage를 해준다.
*방법: 수건에 미지근한 물을 묻히 고 체온이 내려 갈 때까지 전신을 닦아 준다.
이론적 근거
Tepid massage를 하면 전신을 닦아주었을 때 물이 증발하면서 기화열에 의해 체온이 내려간다. 기화열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젖은 수건으로 계속 덮고 있으면 효과가 없다. 물 1cc가 증발하면서 540cal의 열을 뺏어 갑니다. 그러나 40℃의 물과 10℃의 물의 열량 차이는 물의 비열이 1cal/1℃/1cc 이므로 1cc 당 30cal 이다. 이 열량은 기화열 540cal에 비교하면 크지 않은 반면, 10℃의 찬물은 아이가 훨씬 힘들어 하고, 또 혈관을 수축시켜, 몸 중심의 열이 체 표면으로 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효과를 훨씬 떨어트린다.
평가
* “어머니가 컨디션이 좋아요. 이젠 칭얼대지 않고 열도 높지 않은 것 같아요.”라 고 보호지가 말씀하였다.
* 몸을 만졌을 때 열감이 나타나지 않았다.
* 입원당일 38.9℃였던 환자가 해열제를 복용하고 Tepid massage를 시행한 결 과 체온이 떨어지다가 해열제를 복용하지 않고 tepid massage를 시행하 지 않아도 36℃로 정상체온을 보인다.
간호진단
#2. 분비물 배출의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사정
▣ 주관적 자료 - “숨 쉴 때마다 특히 잠잘 때 쌕쌕거려요”(weezing있음)
“기침을 하기 시작하면 어머니가 힘들어 해요” -(By보호자)
▣ 객관적 자료 - 기침증상을 자주 보이며 기침 시 힘들어 한다.
호흡 시 천명음이 들린다.
호흡횟수가 분당 38회
간호목표
▣ 장기목표 - 정상적인 호흡을 한다.
▣ 단기목표 - 호흡음이 깨끗하고 일정하게 들린다.
1주일 내로 기침증상이 감소한다.
간호계획
1. T.P.R.체크, 특히 호흡수를 사정한다.
2. 환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반 좌위를 취해 준다.
3. 흉부 물리요법의 방법을 설명하고 실시한다.
4. nebulization(분무요법)의 실시한다.
5. 수분 섭취를 증가 시켜 분비물이 묽어지도록 한다.
6. 필요시 기관지 확장제나 거담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1. 6시간 마다 호흡수를 사정하고 폐음 을 청취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2. 침상머리를 30도 정도 올려주고 반 좌위를 하도록 하였다.
3. 흉부 타진요법을 30분마다 한번씩 5 분간 실시 후 기침, 가래를 유도시켰 다.
*방법: 환자를 하엽 뒤쪽 분절을 손 을 컵 모양으로 오므리고 팔 꿈치를 약간 구부린 후 손목 을 이완시켜 빠르게 폐분절 부위를 교대로 두드림
4. nebulization(분무요법)를 하루 4시간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아벤트로흡입액)
*방법: sodium chloride[remark : 3% saline
(Nacl1cc+SW3cc)]을 4cc씩 4시간 간 격으로 실시하였다.
5. 수분을 800ml 이상 섭취하도록 하였다.(수저로 물을 떠서 섭취하도록 한다.)
6.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였다.
이론적 근거
2. 폐확장을 도모한다.
3. 손을 컵모양으로 오므려 공기주머니를 형성하여 두드리면 흉벽을 통해 분비물을 일시적으로 진동시키므로 분비물이 묽어져 쉽게 떨어져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4. 기관지확장제와 수증기를 공급함으로서 기관지를 확장시키고,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하기 쉽게한다. 약물이 기도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소량의 약물로 효과가 크고 약효가 신속하게 나타난다.
5. 마시고 있는 동안에 기침을 하기 시작하면 사래가 들거나 토하기 쉬우므로 숟가락으로 한 입씩 떠먹이는 것이 안심이 된다.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평가
* 쌕쌕거리는 호흡음이 덜해졌다.
“잘 때 숨소리가 훨씬 좋아졌어요.”라고 보호자가 말씀하셨다.
* 대상자의 호흡이 평균 24으로 측정되었다.
* 충분한 수분섭취와 흉부타진요법으로 가래와 기침의 양이 입원할 때 보다 많 이 줄었고 불평도 없어졌다.
Ⅳ. 결론
폐렴은 말초 기관지와 폐 실질에 발생하는 염증성 호흡기 질환을 말한다. 이런 폐렴의 간호는 아동의 요구에 따라 대중적지지 간호를 해야 한다. 신체적 정신적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해 가능한 휴식을 취하고 에너지를 보존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질병의 진행과정을 사정하고 합병증의 초기증상을 확인하기 위해 활력징후의 측정과 흉부의 청진을 계속적으로 실시해야한다. 무엇보다도 치료보다는 예방이 우선인데 폐렴은 환절기나 추운 겨울철에 호흡기계의 감염병을 조심하여야한다.
폐렴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고 간호과정을 하는 등 사례보고서를 하면서 폐렴이 어떤 질환이고 어떻게 간호를 해야 하는지 확실히 알게 되었다.
♣ 참고 문헌 ♣
감수 김조자, 2007. for nurse Review Book, 의학서원(Medicean)
대한내과학회편, HARRISON'S 내과학, 도서출판 MIP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 참고 Site ♣
국가통계포털사이트(http://www.kosis.kr/)
킴스온라인(www.kimsonline.co.kr)
키워드
추천자료
폐결핵케이스스터디 폐결핵약물종류 폐결핵진단검사 폐결핵병태생리 폐결핵문헌고찰 폐결핵간...
[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 케이스 스터디 Unspecified nonorganic Psychosis case study 간호...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간호사례연구 & 간호과정
뇌출혈, ICH, Intracranial, hemorrhage, 간호과정,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SOAPIE, 간호...
뇌줄중케이스,중환자실실습,중환자실케이스스터디,간호과정,간호진단
대퇴경부골절 케이스(Femur neck FX, 대퇴경부골절 케이스, 대퇴경부골절 간호과정, 대퇴경부...
불안정형 협심증 케이스(Unstable angina 케이스,Unstable angina 간호과정, Unstable angina...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자궁근종 케이스,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간호과정, 자궁...
갑상선암 (갑상선 암 케이스, 갑상선 케이스, 갑상선, 갑상선 암 간호과정, Thyroid cancer ...
급성 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 (Myocardial infarction) - 심근경색증 케이스, 심근경색증 ...
급성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급성신우신염 간호과정, 급...
만성 중이염(chronic otitis media) 케이스 스터디 A+ (만성중이염 케이스 스터디, 만성 중이...
난소암 케이스, 난소암케이스, 난소암 CASE, 난소암 간호과정, 난소암 간호진단, 난소암 사례...
치매 케이스, 치매 간호과정, 치매 간호진단, 치매 CASE, 치매 사례연구, 노인간호 실습, De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