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음단의 클럭에 인가한다. 상승이나 하강클
럭에 무관하다.
5. JK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카운터를 설계할 때 J=K=1로 놓는 이유는?
J=K=1로 놓으면 플립플롭의 이전출력이 반전되어 출력되며 RS 플립플롭의 단점을 보
완할 수 있다.
6. D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카운터를 설계할 때 Q 의 출력을 D의 입력에 인가한 이유는?
입력 값이 항상 반전되어 입력되도록 하고 다음 단의 CLK에 인가하여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7. 본 실험에서 배운 카운터로 10진 카운터를 설계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10진 카운터로 설계할 수 없다. 2n 카운터만 설계가 가능하며 그 이유는 원하는 카운터에서
reset 기능이 없기 때문이다.
8. 7474와 7476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7474는 D 플립플롭이고 상승클럭을 이용한다. 7476은 JK 플립플롭이고 하강클럭을 이용
한다.
9. 응용실험 (2)의 실험을 위한 패턴도를 완성하시오.
10. 본과를 실험하면서 나름대로 배운점을 쓰시오.
마지막 실험은 최고 였다. 실험을 통해 느낀 것은 매사에 신중하고 조심스럽고 서두르지 않아야 된다고 느꼈다. 빨리 끝내기 위해 서두르다 보니 놓치는 것이 많았었다.
럭에 무관하다.
5. JK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카운터를 설계할 때 J=K=1로 놓는 이유는?
J=K=1로 놓으면 플립플롭의 이전출력이 반전되어 출력되며 RS 플립플롭의 단점을 보
완할 수 있다.
6. D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카운터를 설계할 때 Q 의 출력을 D의 입력에 인가한 이유는?
입력 값이 항상 반전되어 입력되도록 하고 다음 단의 CLK에 인가하여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7. 본 실험에서 배운 카운터로 10진 카운터를 설계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10진 카운터로 설계할 수 없다. 2n 카운터만 설계가 가능하며 그 이유는 원하는 카운터에서
reset 기능이 없기 때문이다.
8. 7474와 7476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7474는 D 플립플롭이고 상승클럭을 이용한다. 7476은 JK 플립플롭이고 하강클럭을 이용
한다.
9. 응용실험 (2)의 실험을 위한 패턴도를 완성하시오.
10. 본과를 실험하면서 나름대로 배운점을 쓰시오.
마지막 실험은 최고 였다. 실험을 통해 느낀 것은 매사에 신중하고 조심스럽고 서두르지 않아야 된다고 느꼈다. 빨리 끝내기 위해 서두르다 보니 놓치는 것이 많았었다.
추천자료
전원회로설계(cemtool 이용)
Ch3. NAND와 NOR 게이트<디지털회로실험//경희대학교>
Ch9. RS 래치와 D 래치<디지털회로실험//경희대학교>
[전자회로설계]Common-Emitter/Common-Base/Common-Collector구조를 Pspice로 설계
[전자회로설계]CS & Cascode 증폭기를 Pspice설계
2011년 1학기 디지털논리회로 중간시험 핵심체크
[논리회로실험설계] 한 자리 십진수 가산기
[논리회로실험설계] 7 세그먼트, 7-segment 설계
2012년 1학기 디지털논리회로 중간시험 핵심체크
유압회로설계
논리회로설계 - 영상 스크램블러
전자회로설계 - 저항 ,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마이크로 프로세서 응용회로설계실습] (3주차) 04. 4. DOT Matrix 제어용 Device Driver 설...
[마이크로 프로세서 응용회로설계실습] (5주차) 08. Stepping Motor 제어용 Device Driver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