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 1
1) 문헌고찰
Ⅱ. 본론 ……………………………···……… 2
1) 사정
2) 진단
3) 중재
Ⅲ. 결론 …………………………………···… 12
Ⅳ. 참고문헌 ………………………………···… 12
Ⅰ. 서론 ……………………………………… 1
1) 문헌고찰
Ⅱ. 본론 ……………………………···……… 2
1) 사정
2) 진단
3) 중재
Ⅲ. 결론 …………………………………···… 12
Ⅳ. 참고문헌 ………………………………···… 12
본문내용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수행한다.
진단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통증 사정도구와 통증기록일지를 매일 작성하도록 격려한다.
1~2. 통증을 잘 표현하며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자신의 통증방법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동기화하여 적극적으로 통증 조절방법을 사용하게 한다.
2. 정규 활력징후 사정 시 마다 통증부위를 사정한다.
치료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하루에 1번 이상 냉찜질을 해준다.
: 수건이나 베갯잇으로 잘싸서 15분 이하로 적용한다.
1. 혈관 수축과 국소 감각이상증을 유발하여 염증, 손상 후 발생하는 부종, 근육 경축을 감소하게 한다.
2.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트라마돌)을 투여한다.
2,예방적으로 진통제를 사용하면 더욱 일정하게 편안함을 느끼며 불안감을 감소시킨다.
3. 사용된 약물의 부작용을 관찰한다.
3. 적절한 통증 완화가 이루어 져야하며 약물과다는 호흡과 기침반사를 억압할 수 있다.
4. 통증이나 두려움, 불안을 표현할 기회를 주고, 환자의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환자가 힘들어할 때 옆에서 최선을 다해 돌보아 줄 것이라는 사실을 알린다.
4. 통증은 주관적인 경험이므로 환자가 자신의 통증을 의료진에게 정확히 표현하고 통증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교육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심호흡을 격려하고, 점진적인 근육이완 훈련을 교육한다.
1~2.이완훈련은 신체적, 정신적 이완을 가져오며, 신체적인 이완은 골격근의 긴장을 감소하게 하여 각성 상태를 낮추게 하고 통증의 지각을 변화시키고 정신적인 이완은 불안감을 줄인다.
2. 통증이 느껴질 때 음악청취나 TV시청 등을 이용하여 주위를 환기시키고 기분을 전환한다.
Evaluation
1.수술후 3일 이내 통증을 견딜만 하다고 말했다.
2. 퇴원시 스스로 적절하게 통증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수행한다.
#1. 수술후 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
#2. 수술과 관련한 불안
Assessment
Subjective data
“원래 이렇게 아픈가?”
“언제 이거 줄 빼요?”
Objective data
수술에 대한 걱정을 말로 표현함
수면시 불안감 느낌
보호자를 자주 찾음
Diagnosis
#2. 수술과 관련한 불안
Plan&
Interventions
Goals
대상자는 불안이 감소 되었다고 말한다.
Expected outcomes
1.단기목표: 수술후 3일 이내 불안이 감소 되었다고 말한다.
2.장기목표: 퇴원시 불안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진단적 중재
이론적 근거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불안에 대한 상태를 사정한다.
2. 불안을 말로 표현할 경우 기록에 남긴다.
2. 환자의 불안 정도를 매일 기록한다.
치료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환자와 신뢰감을 형성하며 조용하고 일관성 있게 행동한다.
1. 환자-간호사 간에 치료적인 신뢰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2.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며 환자의 질문에 끝까지 답한다.
2.적절한 정보는 불안을 완화할 수 있고 예방할 수 있다.
3. 불안의 정도가 심하면 환자와 함께 있도록 한다.
3~4. 환자의 불안을 완화하기 위함이다.
4. 관심있는 태도로 환자를 대한다.
교육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수술 후 보호자에게 환자가 혼자 있지 않도록 교육한다.
1~2. 의료진 뿐만 아니라 24시간 환자를 keep하는 보호자도 환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줄 수 있다.
2. 환자의 말을 들어주고 불안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도록 교육한다.
Evaluation
1. 수술후 3일 이내 불안이 감소 되었다고 말했다.
2.퇴원시 불안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3. 가슴관 삽입 및 도뇨관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Assessment
Subjective data
“몸이 화끈해요”
“이거 소변줄 어떻게 해요?”
Objective data
11/3 RUL Lobectomy of lung시행함
11/2~11/6 Foley catheter적용함
11/3
11/4
11/5
11/6
600
850
950
remove
11/2~11/5 chest tube적용함
11/3 chest tube drain 400cc
11/3 Fever BT 37.8도 check
11/2 WBC 47.8 (50.~10. 10^3μl)
Diagnosis
#3. 가슴관 삽입 및 도뇨관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Plan&
Interventions
Goals
대상자는 감염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Expected outcomes
1.단기목표: 수술후 3일 이내 대상자는 발적, 동통 등 감염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2.장기목표: 퇴원시 감염의 증상이 없다.
진단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활력징후를 6시간마다 측정한다.
1, 감염발생시 혈압, 호흡수, 맥박, 체온이 상승된다.
2.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2, 백혈구 수와 적혈구 침강속도가 증가한다.
치료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가슴관 삽입 부위를 무균적으로 관리한다
1. 가슴관 삽입 부위를 통하여 체내 감염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2. 필요시 항생제(Cefazolin 1g)를 IV로 투여하고 효과 및 부작용을 관찰한다.
-효과: 그람 양성 및 음성균에 작용하는 항생제
-부작용: 발적, 동통, 열감, 어지러움 등
2. 항생제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3. 모든 투약시 약물의 5Right를 준수한다.
-올바른 환자, 약물, 약용량, 시간, 경로
3. 투약의 오류를 범하지 않고, 무균술을 준수하기 위함이다.
4. Foley catheter의 삽입부위와 urine bag을 비울 시 무균적으로 관리한다.
4. 가장 쉽게 발생하는 요로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교육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Foley catheter가 대상자의 방광 아래로 오도록 교육한다.
1. Foley catheter가 방광 위로 갈 경우 관을 통한 역류로 세균감염이 일어나기 쉽다.
2. 손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도록 교육한다.
2. 환자 스스로 감염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관리한다.
Evaluation
1.수술후 3일째 대상자는 발적, 동통 등 감염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2. 퇴원시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진단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통증 사정도구와 통증기록일지를 매일 작성하도록 격려한다.
1~2. 통증을 잘 표현하며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자신의 통증방법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동기화하여 적극적으로 통증 조절방법을 사용하게 한다.
2. 정규 활력징후 사정 시 마다 통증부위를 사정한다.
치료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하루에 1번 이상 냉찜질을 해준다.
: 수건이나 베갯잇으로 잘싸서 15분 이하로 적용한다.
1. 혈관 수축과 국소 감각이상증을 유발하여 염증, 손상 후 발생하는 부종, 근육 경축을 감소하게 한다.
2.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트라마돌)을 투여한다.
2,예방적으로 진통제를 사용하면 더욱 일정하게 편안함을 느끼며 불안감을 감소시킨다.
3. 사용된 약물의 부작용을 관찰한다.
3. 적절한 통증 완화가 이루어 져야하며 약물과다는 호흡과 기침반사를 억압할 수 있다.
4. 통증이나 두려움, 불안을 표현할 기회를 주고, 환자의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환자가 힘들어할 때 옆에서 최선을 다해 돌보아 줄 것이라는 사실을 알린다.
4. 통증은 주관적인 경험이므로 환자가 자신의 통증을 의료진에게 정확히 표현하고 통증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교육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심호흡을 격려하고, 점진적인 근육이완 훈련을 교육한다.
1~2.이완훈련은 신체적, 정신적 이완을 가져오며, 신체적인 이완은 골격근의 긴장을 감소하게 하여 각성 상태를 낮추게 하고 통증의 지각을 변화시키고 정신적인 이완은 불안감을 줄인다.
2. 통증이 느껴질 때 음악청취나 TV시청 등을 이용하여 주위를 환기시키고 기분을 전환한다.
Evaluation
1.수술후 3일 이내 통증을 견딜만 하다고 말했다.
2. 퇴원시 스스로 적절하게 통증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수행한다.
#1. 수술후 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
#2. 수술과 관련한 불안
Assessment
Subjective data
“원래 이렇게 아픈가?”
“언제 이거 줄 빼요?”
Objective data
수술에 대한 걱정을 말로 표현함
수면시 불안감 느낌
보호자를 자주 찾음
Diagnosis
#2. 수술과 관련한 불안
Plan&
Interventions
Goals
대상자는 불안이 감소 되었다고 말한다.
Expected outcomes
1.단기목표: 수술후 3일 이내 불안이 감소 되었다고 말한다.
2.장기목표: 퇴원시 불안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진단적 중재
이론적 근거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불안에 대한 상태를 사정한다.
2. 불안을 말로 표현할 경우 기록에 남긴다.
2. 환자의 불안 정도를 매일 기록한다.
치료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환자와 신뢰감을 형성하며 조용하고 일관성 있게 행동한다.
1. 환자-간호사 간에 치료적인 신뢰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2.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며 환자의 질문에 끝까지 답한다.
2.적절한 정보는 불안을 완화할 수 있고 예방할 수 있다.
3. 불안의 정도가 심하면 환자와 함께 있도록 한다.
3~4. 환자의 불안을 완화하기 위함이다.
4. 관심있는 태도로 환자를 대한다.
교육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수술 후 보호자에게 환자가 혼자 있지 않도록 교육한다.
1~2. 의료진 뿐만 아니라 24시간 환자를 keep하는 보호자도 환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줄 수 있다.
2. 환자의 말을 들어주고 불안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도록 교육한다.
Evaluation
1. 수술후 3일 이내 불안이 감소 되었다고 말했다.
2.퇴원시 불안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3. 가슴관 삽입 및 도뇨관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Assessment
Subjective data
“몸이 화끈해요”
“이거 소변줄 어떻게 해요?”
Objective data
11/3 RUL Lobectomy of lung시행함
11/2~11/6 Foley catheter적용함
11/3
11/4
11/5
11/6
600
850
950
remove
11/2~11/5 chest tube적용함
11/3 chest tube drain 400cc
11/3 Fever BT 37.8도 check
11/2 WBC 47.8 (50.~10. 10^3μl)
Diagnosis
#3. 가슴관 삽입 및 도뇨관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Plan&
Interventions
Goals
대상자는 감염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Expected outcomes
1.단기목표: 수술후 3일 이내 대상자는 발적, 동통 등 감염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2.장기목표: 퇴원시 감염의 증상이 없다.
진단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활력징후를 6시간마다 측정한다.
1, 감염발생시 혈압, 호흡수, 맥박, 체온이 상승된다.
2.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2, 백혈구 수와 적혈구 침강속도가 증가한다.
치료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가슴관 삽입 부위를 무균적으로 관리한다
1. 가슴관 삽입 부위를 통하여 체내 감염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2. 필요시 항생제(Cefazolin 1g)를 IV로 투여하고 효과 및 부작용을 관찰한다.
-효과: 그람 양성 및 음성균에 작용하는 항생제
-부작용: 발적, 동통, 열감, 어지러움 등
2. 항생제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3. 모든 투약시 약물의 5Right를 준수한다.
-올바른 환자, 약물, 약용량, 시간, 경로
3. 투약의 오류를 범하지 않고, 무균술을 준수하기 위함이다.
4. Foley catheter의 삽입부위와 urine bag을 비울 시 무균적으로 관리한다.
4. 가장 쉽게 발생하는 요로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교육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Foley catheter가 대상자의 방광 아래로 오도록 교육한다.
1. Foley catheter가 방광 위로 갈 경우 관을 통한 역류로 세균감염이 일어나기 쉽다.
2. 손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도록 교육한다.
2. 환자 스스로 감염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관리한다.
Evaluation
1.수술후 3일째 대상자는 발적, 동통 등 감염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2. 퇴원시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키워드
추천자료
Multiple Myeloma(다발성골수종) - case study(케이스 스터디)
전립선비대증 (BPH, TURP) case study
★ 폐렴 케이스 스터디 (Pneumonia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뇌졸중 (Cerebral Vascular Accident ; CVA)
[모성간호학][분만간호][산욕기간호]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분만,산욕기,문헌고찰
[정신간호학][Schizophrenia][정신분열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과] Case study - depression (우울증 케이스)
신결석 및 요로결석 case study
뇌수두증 케이스 [A+자료]
위암 케이스 Early Gastric cancer [A+자료입니다.]
[간호학과] 아동간호학 빈혈 case study
폐렴+A+(신중한+자료)
소개글